가족 중 누군가 부양 의무를 다하지 않아 혼자 부양 부담을 떠안았다면, 다른 부양의무자에게 부양료를 나눠 내라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부양 의무가 있는 사람이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겨버려 부양료를 받기 어려워진 경우,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이 제척기간의 시작점을 다룬 중요한 판례가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부양료 청구는 언제부터 가능할까?
여러 사람이 부양 의무를 공동으로 부담하는 경우, 혼자 부양을 맡은 사람은 다른 부양의무자들에게 과거에 지출한 부양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974조, 제975조). 하지만 이 권리는 당사자 간 협의 또는 가정법원의 심판이 확정되어야 비로소 구체적인 권리가 됩니다. 쉽게 말해, 법원의 결정이 있어야 돈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채권자취소권의 제척기간은?
다른 부양의무자가 재산을 빼돌려 부양료를 받기 어려워진 경우,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바로 제척기간. 채권자취소권은 "취소원인을 안 날" 또는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10년 내에 행사해야 합니다 (민법 제406조 제2항).
핵심 쟁점: 제척기간의 기산일
이번 판례의 핵심은 바로 부양료 청구에 대한 채권자취소권 행사 시 제척기간이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하는 것입니다. 부양료청구권이 구체적인 권리가 된 시점(법원 심판 확정일)부터일까요, 아니면 사해행위(재산 빼돌리기)를 알게 된 날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부터일까요?
판결: 사해행위를 알게 된 날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부터!
대법원은 부양료청구권의 침해를 이유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때 제척기간은 부양료청구권이 확정된 시점이 아니라 사해행위를 안 날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부터 진행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부양료 심판 확정을 기다리다가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정리:
부양료 반환 청구와 관련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려면, 부양료 심판 확정일이 아니라 사해행위를 알게 된 날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부터 1년 이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죠?
관련 법조항:
상담사례
파산 시 채권자취소소송의 제척기간은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더라도 최초 채권자가 소송을 제기한 시점부터 계산된다.
상담사례
채권자취소권의 제척기간(취소원인 안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 있은 날로부터 5년) 도과 입증 책임은 채권자가 아닌 채권자취소소송의 상대방에게 있다.
민사판례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채무자가 재산을 빼돌려 돈을 못 받게 될 위험에 처했을 때, 채무자의 재산 빼돌리기를 취소해달라고 소송할 수 있는 권리(채권자취소권)는 1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때 1년의 시작점은 단순히 재산 빼돌리기 사실을 안 날이 아니라, 빼돌리기로 인해 돈을 못 받게 될 것을 알고, 채무자가 고의로 그랬다는 사실까지 알게 된 날입니다.
민사판례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재산 빼돌리기를 취소할 수 있는 권리(채권자취소권)를 행사할 때, 예금보험공사처럼 기관이 채권자인 경우, 그 기관의 담당 직원이 빼돌리기 사실을 안 날을 기준으로 기간 계산을 시작한다는 판결입니다. 이 판결에서는 예금보험공사 직원이 이미 사해행위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소송 제기가 늦어져 해당 소송이 기각되었습니다.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돈을 갚지 않기 위해 고의로 재산을 빼돌렸을 때, 채권자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권리는 아무 때나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해행위(재산 빼돌리기)를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사해행위를 안 날'이 정확히 언제인지, 그리고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가압류를 할 때 이미 사해행위를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 빚을 갚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채권자취소권 행사에 있어서, 채권자가 그 사실을 안 날을 언제로 볼 것인지, 돈을 받은 사람이 나쁜 의도가 있었음을 누가 증명해야 하는지, 그리고 재산을 되돌려 받는 방법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