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사건번호:

2013다79870

선고일자:

20150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부양료청구권의 침해를 이유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경우, 제척기간의 기산일(=취소원인을 안 날 또는 법률행위가 있은 날)

판결요지

민법 제974조, 제975조에 의하여 부양의 의무 있는 사람이 여러 사람인 경우에 그중 부양의무를 이행한 1인이 다른 부양의무자에 대하여 이미 지출한 과거 부양료의 지급을 구하는 권리는 당사자의 협의 또는 가정법원의 심판 확정에 의하여 비로소 구체적이고 독립한 재산적 권리로 성립하게 되지만, 그러한 부양료청구권의 침해를 이유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경우의 제척기간은 부양료청구권이 구체적인 권리로서 성립한 시기가 아니라 민법 제406조 제2항이 정한 ‘취소원인을 안 날’ 또는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진행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406조 제2항, 제974조, 제97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청주지법 2013. 9. 17. 선고 2013나2506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민법 제974조, 제975조에 의하여 부양의 의무 있는 사람이 여러 사람인 경우에 그중 부양의무를 이행한 1인이 다른 부양의무자에 대하여 이미 지출한 과거 부양료의 지급을 구하는 권리는 당사자의 협의 또는 가정법원의 심판 확정에 의하여 비로소 구체적이고 독립한 재산적 권리로 성립하게 되지만, 그러한 부양료청구권의 침해를 이유로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경우의 제척기간은 부양료청구권이 구체적인 권리로서 성립한 시기가 아니라 민법 제406조 제2항이 정한 ‘취소원인을 안 날’ 또는 ‘법률행위가 있은 날’로부터 진행한다고 할 것이다. 2. 가.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① 원고들은 원심판시 이 사건 각 부동산에 관하여 각 처분금지가처분을 최종적으로 받은 2009. 6. 10.에는 원심판시 이 사건 증여계약이 원고들을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함을 알았다고 할 것인바, 원고들은 그로부터 1년의 제척기간이 지난 후인 2012. 8. 6.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으므로 원고들의 주위적 청구는 부적법하다고 판단한 다음, ② 이 사건에서 채권자취소권의 피보전권리가 되는 원고들의 소외인에 대한 부양료청구권은 그에 관한 법원의 심판이 확정되어야만 비로소 구체적인 권리로서 행사할 수 있으므로 원고들이 소외인을 상대로 제기한 부양료 사건에서의 제1심 심판(이하 ‘이 사건 심판’이라 한다)이 확정된 2012. 5. 24.을 제척기간의 기산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원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이 사건 심판이 이루어진 2011. 5. 31.에는 원고들의 부양료청구권이 구체적인 청구권으로서의 내용과 실질을 갖추어 독립한 재산적 권리로서의 성질을 가지게 되었다고 할 것인데, 원고들은 그로부터 1년의 제척기간이 지난 후에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으므로 원고들의 주위적 청구가 부적법하다는 결론에는 변함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나.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 심판이 그에 대한 항고 및 재항고가 모두 기각됨으로써 2012. 5. 24. 확정되었음에도, 원심이 원고들의 부양료청구권이 이 사건 심판일인 2011. 5. 31. 구체적인 청구권으로서의 내용과 실질을 갖추어 독립한 재산적 권리로서의 성질을 가지게 되었고 그로부터 1년의 제척기간이 기산된다는 취지로 판단한 것은 잘못이나, 원고들이 위 각 처분금지가처분을 최종적으로 받은 2009. 6. 10.에 이 사건 증여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함을 알았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다. 그렇다면 원심판결 이유 중에 다소 적절하지 않은 부분이 있기는 하나, 원심이 원고의 주위적 청구를 각하한 것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채권자취소권 행사의 제척기간 및 부양료청구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이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파산과 채권자취소소송, 제척기간은 언제부터? ⏰

파산 시 채권자취소소송의 제척기간은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더라도 최초 채권자가 소송을 제기한 시점부터 계산된다.

#채권자취소소송#파산관재인#제척기간#파산

상담사례

돈 받을 권리 지키기! 채권자취소권, 제척기간 증명은 누가 해야 할까요?

채권자취소권의 제척기간(취소원인 안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 있은 날로부터 5년) 도과 입증 책임은 채권자가 아닌 채권자취소소송의 상대방에게 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입증책임#채무자

민사판례

빚 갚아야 하는데 재산 빼돌렸다면? 채권자취소권 행사 기간은 언제부터?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채무자가 재산을 빼돌려 돈을 못 받게 될 위험에 처했을 때, 채무자의 재산 빼돌리기를 취소해달라고 소송할 수 있는 권리(채권자취소권)는 1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때 1년의 시작점은 단순히 재산 빼돌리기 사실을 안 날이 아니라, 빼돌리기로 인해 돈을 못 받게 될 것을 알고, 채무자가 고의로 그랬다는 사실까지 알게 된 날입니다.

#채권자취소권#행사시점#1년#사해행위

민사판례

예금보험공사의 채권자취소권 행사, 제척기간은 언제부터?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재산 빼돌리기를 취소할 수 있는 권리(채권자취소권)를 행사할 때, 예금보험공사처럼 기관이 채권자인 경우, 그 기관의 담당 직원이 빼돌리기 사실을 안 날을 기준으로 기간 계산을 시작한다는 판결입니다. 이 판결에서는 예금보험공사 직원이 이미 사해행위 사실을 알고 있었음에도 소송 제기가 늦어져 해당 소송이 기각되었습니다.

#예금보험공사#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기산점

민사판례

돈 안 갚는 채무자, 재산 빼돌리다 걸린 사연!

빚진 사람이 돈을 갚지 않기 위해 고의로 재산을 빼돌렸을 때, 채권자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권리는 아무 때나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해행위(재산 빼돌리기)를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사해행위를 안 날'이 정확히 언제인지, 그리고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가압류를 할 때 이미 사해행위를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사해행위#인지시점

민사판례

채권자취소권, 알아두면 쓸모있는 법률 지식!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 빚을 갚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채권자취소권 행사에 있어서, 채권자가 그 사실을 안 날을 언제로 볼 것인지, 돈을 받은 사람이 나쁜 의도가 있었음을 누가 증명해야 하는지, 그리고 재산을 되돌려 받는 방법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기산점#수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