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10.13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채권 넘겨줬는데, 사해행위일까?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빚 때문에 골치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여러 채권자에게 빚을 지고 있을 때, 어떤 채권자에게 먼저 빚을 갚아야 할지 고민되죠. 그런데 혹시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기 위해 다른 재산을 넘겨주는 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사해행위'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 빚을 갚기 위해 다른 채권을 양도한 행위가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대법원 판례를 살펴보겠습니다. (민법 제406조 제1항 관련)

사례:

A 회사는 B 회사와 C 회사에게 빚을 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A 회사는 B 회사에 대한 빚을 갚기 위해 D 회사에게 받을 예정이었던 돈(채권)을 B 회사에게 넘겨주었습니다. C 회사는 A 회사의 이러한 행위가 자신에게 피해를 주는 사해행위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채무자가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기 위해 다른 채권 등을 양도하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다른 채권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사해행위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 사해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사해행위 판단 기준:

  • 양도된 채권이 채무자의 전체 재산에서 차지하는 비중
  • 채권 양도로 인해 채무자가 얼마나 더 빚을 갚기 어려워졌는지(무자력 정도)
  • 채권 양도가 이루어진 경위와 경제적인 목적
  • 채무자와 채권을 받은 사람 사이에 다른 채권자들을 해할 의도가 있었는지(통모 여부) 등

대법원은 위와 같은 기준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채권 양도 행위가 궁극적으로 다른 채권자들을 해하는 행위인지 판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원심 법원은 A 회사와 B 회사 사이에 다른 채권자들을 해할 의도가 없었다는 점만을 근거로 사해행위가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다른 판단 기준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며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즉, 단순히 통모 여부만 볼 것이 아니라 위에 언급된 다른 기준들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2010. 9. 30. 선고 2007다2718 판결
  • 대법원 2011. 3. 10. 선고 2010다52416 판결

결론:

여러 채권자에게 빚을 지고 있는 상황에서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을 갚기 위해 다른 재산을 넘겨줄 때는 신중해야 합니다.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사해행위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법률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점 잊지 마세요.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사람에게 돈 받을 권리를 넘겨줬는데, 사해행위일까요?

돈을 빌려준 사람이 빚을 갚으라고 요구하는 것은 당연한 권리입니다. 빚진 사람이 빚을 갚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받을 돈(채권)을 양도하는 것도 원칙적으로는 사해행위가 아닙니다. 다른 채권자를 해할 목적으로 짜고 채권을 양도한 경우가 아니라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채권양도#사해행위#변제#대법원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돈 받을 권리를 넘겨줬는데, 사기라고?

돈을 갚아야 할 사람이 돈 대신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넘겨주는 경우, 그것이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려는 의도가 없었다면 사해행위가 아니다.

#사해행위#채권양도#해할의도#채무초과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 없을 때,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 대신 다른 재산 넘겨주면 사해행위일까?

빚이 많은 채무자가 여러 채권자 중 특정 채권자에게만 빚 대신 다른 재산을 넘겨주는 행위는,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사해행위로 판단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른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사해행위가 아닐 수도 있다.

#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채무자#채권자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재산 넘겼는데, 사해행위라고?

빚을 진 사람이 가진 재산을 특정 채권자에게만 갚는 대신 넘겨주는 행위(대물변제)가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에 대한 판례입니다. 단순히 특정 채권자에게 재산을 넘겨줬다고 해서 무조건 사해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대물변제#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무자력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빚을 냈는데, 사해행위일까요?

빚을 갚기 위해 새로운 빚을 얻고, 그 새로운 빚에 대한 담보를 제공했다고 해서 무조건 사해행위가 되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인 재산이 줄어들지 않았다면 사해행위로 보기 어렵다.

#사해행위#채무#담보#재산감소

민사판례

빚 갚으려고 다른 사람에게 받을 돈을 은행에 넘겼다면? 사해행위가 될 수도 있습니다!

빚이 재정보다 많은 회사가 유일한 재산인 다른 회사에 대한 돈 받을 권리를 주거래은행에 넘겨 빚을 갚은 행위는 다른 채권자들에게 손해를 끼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채권양도#편파변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