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4.06.25

형사판례

사기죄의 죄수, 부정수표와 사기죄의 관계, 이중담보와 배임죄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기죄와 관련된 몇 가지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1. 여러 번 속였는데 한 번의 사기죄일까?

누군가를 여러 번 속여서 돈을 빼앗았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경우 여러 개의 사기죄로 처벌받을까요, 아니면 하나의 사기죄로 처벌받을까요?

법원은 범행의 동기, 방법,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합니다. 만약 동일한 의도로,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짧은 기간 안에 여러 번 돈을 빼앗았다면 하나의 사기죄(포괄일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범행 동기나 방법이 다르거나, 기간이 오래 걸렸다면 각각 별개의 사기죄(실체적 경합범)로 처벌받게 됩니다. (관련 법조항: 형법 제347조, 참조 판례: 대법원 1989. 11. 28. 선고 89도1309 판결 등)

2. 부정수표를 발행하면 사기죄와 부정수표단속법 위반, 두 가지 죄일까?

돈을 갚을 의사나 능력 없이 수표를 발행하고, 그 수표가 부도 처리되었다면 부정수표단속법 위반입니다. 만약 이 수표를 발행해서 누군가를 속여 돈이나 물건을 받았다면 사기죄도 성립합니다. 이 경우 부정수표단속법 위반과 사기죄, 두 가지 죄가 모두 성립하는 실체적 경합범이 됩니다. (관련 법조항: 형법 제347조, 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참조 판례: 대법원 1983. 11. 22. 선고 83도2495 판결)

3. 이중 담보 설정 후 물건을 팔면 배임죄일까?

이미 담보로 잡혀있는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또 담보로 제공하고, 그 물건을 팔아버렸다면 배임죄가 성립할까요? 이 부분이 오늘 소개할 판례의 핵심입니다.

만약 두 번째 담보 설정이 법적으로 효력이 없다면, 배임죄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이 판례에서는 점유개정 방식으로 이중 담보를 설정했는데, 이 경우 두 번째 담보권자는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담보권을 갖지 못합니다. 따라서 물건의 주인이 그 물건을 처분하더라도 두 번째 담보권자에 대한 배임죄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관련 법조항: 형법 제355조 제2항)

4. 상상적 경합범 일부가 무죄면 어떻게 될까?

여러 죄가 상상적 경합 관계(하나의 행위가 여러 개의 죄에 해당하는 경우)에 있는데, 그중 일부가 무죄 판결을 받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 경우 상급 법원은 원심 판결 전체를 파기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상상적 경합범에서 유죄로 인정되는 죄의 개수는 형량을 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조항: 형법 제40조, 형사소송법 제383조, 참조 판례: 대법원 1980. 12. 9. 선고 80도384 전원합의체 판결 등)

오늘은 사기죄와 관련된 다양한 판례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법은 복잡하지만, 하나씩 뜯어보면 이해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법률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죄가 여러 개일 때, 언제 형을 줄여줄 수 있을까?

과거에 저지른 죄로 이미 형이 확정된 후, 별개로 저지른 새로운 죄에 대해서는 이전 죄와 함께 재판받았더라면 형량이 줄었을 것이라는 이유로 형을 깎아주지 않는다.

#확정판결#별개범죄#형량감경불가#경합범

형사판례

대출 사기, 여러 번 돈 빼내도 한 번의 죄?

부실한 담보를 받고 대출을 해준 행위에 대해 배임죄가 성립하는 시점과 1심에서 일부만 유죄 판결이 난 경우, 피고인만 항소했을 때 항소심의 심판 범위에 대한 판례입니다.

#부실대출#배임죄#성립시점#항소심

형사판례

사기죄 성립 범위와 이중기소 문제

사기죄로 얻은 돈 일부를 갚았더라도 전체 금액에 대해 사기죄가 성립하며, 동일한 범죄 사실로 여러 번 기소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기죄#이중기소#확정판결#일사부재리

형사판례

범행 일시만 다른 두 사실, 같은 죄일까? 사기죄와 배임죄, 횡령죄에 대한 법원의 판단

범행 일시만 다르고 나머지 내용이 동일한 사기 사건에서, 검사가 공소장을 변경하여 범행 일시와 편취 금액을 수정한 경우, 이러한 공소장 변경이 적법한지 여부를 판단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공소장 변경은 적법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소장변경#적법성#사기#범행일시

형사판례

사기죄와 업무상배임죄, 하나의 행위로 여러 죄가 성립될까? (상상적 경합 vs. 법조경합)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을 속여서 이득을 취하고 동시에 자신이 맡은 업무를 위반하여 손해를 끼친 경우, 사기죄와 업무상배임죄는 따로따로 처벌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상상적 경합) 기존 판례를 변경한 중요한 판결입니다.

#사기죄#업무상배임죄#상상적 경합#판례 변경

형사판례

사기죄, 피해자가 여러 명이면 어떻게 처벌할까요?

여러 명이 공동으로 소유한 땅을 담보로 사기를 친 경우, 피해자가 여러 명이라도 사기죄는 하나로 볼 수 있는가? 아니면 피해자 각각에 대해 별도의 사기죄가 성립하는가? 대법원은 피해자 각각의 재산권이 독립적으로 침해되었으므로 피해자별로 사기죄가 성립하고, 이는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공유부동산#사기#피해자별 죄수#상상적 경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