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2.02.25

민사판례

선하증권, 보증도, 그리고 운송인의 책임

국제무역에서 선하증권은 화물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중요한 문서입니다. 하지만 실무상 '보증도'라는 관행 때문에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보증도와 관련된 운송인의 책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증도란 무엇인가요?

수입자가 선하증권 원본 없이도 물건을 찾아갈 수 있도록 운송인에게 보증을 서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은행이 발행하는 화물선취보증장을 담보로 제공합니다. 수입자는 이를 통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지만, 위조된 보증장으로 인해 정당한 선하증권 소지인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이번 판례의 핵심은 무엇인가요?

이번 판례는 운송인이 보증도를 할 때 진짜 보증장인지 확인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했습니다. 위조된 보증장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물건을 내주어 선하증권 소지인이 손해를 입었다면, 운송인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 책임을 져야 합니다. 보증장이 은행 명의로 발행되었다 하더라도 운송인의 확인 의무는 면제되지 않습니다.

또한, 보증도로 인해 선하증권 소지인이 손해를 입을 경우, 손해배상청구권은 선하증권에 포함되어 양도된다는 점도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운송물이 없어진 후에 선하증권을 받았더라도, 소지인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은 무엇인가요?

  • 상법 제820조 & 제129조: 운송인은 선하증권 원본이 제시되어야 운송물을 인도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민법 제750조: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일반 조항입니다.
  • 상법 제132조 & 제133조: 선하증권의 양도와 관련된 조항입니다.
  • 상법 제746조 & 제747조: 선박소유자의 유한책임에 관한 규정입니다. 하지만 이 판례에서는 불법행위 책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했습니다.
  • 상법 제814조: 신용장 거래에 관한 조항입니다.
  • 하환신용장에 관한 통일규칙 및 관례(UCP) 제41조 c항, 제43조 b항: 신용장과 선적서류 간의 일치성에 대한 국제규칙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선하증권의 기재와 신용장 사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그 차이가 경미하고 신용장 조건을 해치지 않는다면 일치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습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1991.12.10. 선고 91다14123 판결
  • 대법원 1992.2.14. 선고 91다4249 판결
  • 대법원 1991.4.26. 선고 90다카8098 판결
  • 대법원 1989.3.14. 선고 87다카1791 판결
  • 대법원 1992.1.21. 선고 91다14994 판결
  • 대법원 1990.5.8. 선고 88다카7641 판결
  • 대법원 1990.8.28. 선고 88다카30085 판결
  • 대법원 1985.5.28. 선고 84다카696 판결

결론적으로, 이번 판례는 보증도 관행에서 운송인의 책임을 강화하고, 선하증권 소지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판결입니다. 국제무역 거래 시 선하증권과 보증도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선하증권과 보증도, 그리고 운송인의 책임

해상 운송에서 '보증도'라는 관행 때문에 은행이 손해를 입었는데, 운송인과 그 대리점은 고의 또는 중과실에 의한 불법행위 책임을 져야 한다. 선하증권에 적힌 외국 법원 관할 합의나 면책 약관은 이 경우 적용되지 않는다.

#보증도#운송인#대리점#불법행위

민사판례

선하증권, 보증도, 그리고 책임: 복잡한 무역 거래 속 숨겨진 위험

선박대리점이 위조된 보증장에 속아 선하증권 없이 화물을 내주었다가 정당한 선하증권 소지자인 은행에 손해배상책임을 지게 된 사례. 다만, 은행도 신용장 관리 소홀에 대한 과실이 인정되어 손해배상액이 일부 감경되었다.

#선박대리점#위조 보증장#선하증권#화물인도

민사판례

선하증권과 보증도, 그리고 손해배상 책임에 관하여

운송회사가 선하증권(화물 소유권 증명서) 없이 화물을 인도(보증도)한 경우, 선하증권 소지인에게 불법행위 책임을 져야 하며, 선하증권에 있는 면책 약관도 고의 또는 중과실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선하증권#보증도#불법행위#면책약관

민사판례

선하증권과 화물 인도, 그리고 은행의 책임

선박대리점이 위조된 보증장을 믿고 정당한 소유권자(은행)에게 돌아갈 화물을 다른 사람에게 인도했을 때, 선박대리점은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만, 은행 측에도 화물 관리에 소홀한 부분이 있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는 판결.

#위조 보증장#화물 부당인도#선박대리점#손해배상

민사판례

선하증권 없이 화물 인도, 운송인의 책임은?

운송인이 선하증권 없이 화물을 인도했을 때, 은행 등 선하증권 소지인이 입은 손해는 화물 인도 당시의 가치만큼 배상해야 하며, 다른 채권과 상계하거나 책임을 제한할 수 없다.

#선하증권#무단인도#손해배상#전액배상

민사판례

선하증권 분실과 배상 책임: 은행, 운송회사, 그리고 수출업자 간의 복잡한 관계

은행이 수출업자로부터 매입한 선하증권을 통해 화물에 대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데, 운송인이 선하증권 없이 화물을 인도해버린 경우, 은행은 운송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수출업자에게 받은 다른 채권이 있다고 해서 이 손해배상 청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선하증권#운송인#손해배상#무단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