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4.27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이름만 같다고 다 되는 거 아닙니다!

세금 고지서를 받았는데, 혹시 내 이름만 맞고 주민등록번호나 주소가 틀린 적 있으신가요? 뭔가 찜찜하지만 '에이, 설마...' 하고 넘어가셨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소한(?) 오류 때문에 세금 고지 자체가 무효가 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이 확인되었습니다. 납세고지서는 단순히 이름만 맞으면 되는 것이 아니라, 납세의무자를 명확히 특정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가 기재되어야 합니다.

이번 판례에서 원고는 세무서로부터 세금 고지서를 받았는데, 이름은 본인의 것이 맞았지만 주민등록번호와 주소는 전혀 다른 사람의 것이었습니다. 나중에 세무서에서 "착오가 있었다. 납세의무자는 당신이 맞다"라고 확인해 주었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사후 확인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처음부터 납세고지서에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 핵심 정보가 정확하게 기재되어 납세의무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알 수 있어야 적법한 고지로 인정된다는 것입니다. 이름만 같다고 해서 나에게 부과된 세금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는 것이죠. 만약 고지서에 오류가 있다면, 그 즉시 세무서에 정정을 요청해야 불필요한 분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판결은 국세징수법 제9조와 관련이 있으며, 과거 유사한 판례들(대법원 1984.2.28. 선고 83누674 판결, 1988.2.9. 선고 83누404 판결)에서도 일관되게 납세고지서의 정확성을 강조해 왔습니다. 세금 문제는 언제나 꼼꼼하게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기억해야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이름 잘못 쓰면 무효?! 납세의무자 표시의 중요성

세금 고지서에 세금을 내야 할 사람(납세의무자)을 잘못 적으면, 실제 납세의무가 없는 사람에게 세금을 부과한 것이 되어 위법합니다. 세무서가 나중에 "실수였고, 실제 납세의무자는 다른 곳이다"라고 주장해도 소용없습니다. 고지서에 적힌 그대로 판단합니다.

#납세고지서#납세의무자#오기#과세처분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제대로 써야 효력 있어요! (부과근거, 세율 등 필수!)

세금 고지서에 세율, 적용 법조 등 필수 기재사항을 빠뜨리면, 세금 부과 자체가 위법이 될 수 있습니다. 납세자는 고지서만 보고도 어떤 이유로 얼마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금고지서#필수기재사항#세율#적용법조

세무판례

실제 거주하지 않는 주민등록지로 보낸 세금 고지서, 효력 있을까?

납세자가 실제로 거주하지 않는 주민등록상 주소지로 납세고지서를 등기우편으로 보냈더라도, 납세자에게 실제로 전달되었다고 보기 어려워 납세고지서의 효력이 없다는 판결입니다.

#납세고지서#효력#주민등록#실거주지

세무판례

지방세 납세고지서, 꼼꼼히 확인해야 하는 이유

지방세 납세고지서에 세금 계산 근거 등 필수 정보가 빠지면 세금 부과 자체가 위법하며, 납세자가 그 근거를 알았다고 해도 위법성이 없어지지 않는다.

#지방세#납세고지서#필수기재사항#과세처분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못 받았다고 모른 척하면 안 돼요!

이 판례는 세금 고지서와 독촉장을 공시송달한 것이 적법한지, 공시송달 전에 납부기한이 지났어도 공시송달이 유효한지, 그리고 결손처분을 취소했을 때의 효력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룹니다.

#공시송달#결손처분#취소#납부기한

세무판례

이사했는데 세금 고지서는 옛날 주소로? 괜찮을까요?

이사 후 주민등록지를 옮기지 않고 이전 주소지의 새 거주자에게 우편물을 전달받기로 한 경우, 새 거주자에게 우편물 수령권한을 위임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곳으로 보낸 납세고지서 송달은 유효합니다.

#이사#주민등록#우편물 전달 위임#납세고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