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을 줄이기 위해 다른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맡기는 것을 명의신탁이라고 합니다. 탈세 목적으로 악용되는 경우가 많아 법적으로 엄격하게 제재하고 있죠. 그런데, 만약 세금과는 상관없는 다른 이유로 명의신탁을 했는데, 우연히 세금이 조금 줄어들었다면 어떨까요? 이것도 처벌받아야 할까요?
최근 대법원 판례를 통해 이와 비슷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한 사람이 주식을 다른 사람 명의로 신탁했습니다. 이로 인해 양도소득세가 약간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했죠. 세무서는 이를 조세 회피 목적의 명의신탁으로 보고 세금을 추징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다른 판단을 내렸습니다.
핵심은 명의신탁의 진짜 목적이 무엇이냐는 것이었습니다. 이 사례에서는 조세 회피가 아니라, 이전에 있었던 다른 명의신탁을 해지하고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는 과정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한 것이었음이 인정되었습니다. 세금 감소는 그저 부수적인 결과였을 뿐이라는 거죠. 더욱이 감소된 세금 액수도 미미했기 때문에 조세 회피 목적이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법원의 판단이었습니다.
즉, 명의신탁을 했다고 무조건 조세 회피로 보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명의신탁의 주된 목적이 조세 회피가 아니고, 부수적으로 발생한 세금 감소 효과가 사소한 수준이라면, 조세 회피 목적으로 명의신탁을 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는 판례입니다.
관련 법 조항: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2007. 12. 31. 법률 제882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5조의2 제1항
참고 판례: 대법원 2006. 5. 12. 선고 2004두7733 판결
세무판례
경영난 타개를 위해 주식을 명의신탁했는데 세금을 피하려는 목적이 없었다면 증여세를 물리면 안 된다는 대법원 판결.
세무판례
다른 사람 이름으로 재산을 등록(명의신탁)한 경우, 세금을 피하려는 목적이 없었다는 것을 명의를 빌려준 사람이 증명해야 합니다. 단순히 증여세만 피하려는 목적이 아니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다른 세금, 예를 들어 소득세 등을 피하려는 목적도 없었음을 입증해야 합니다.
세무판례
단순히 증여세 회피 목적이 없다고 명의신탁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조세 회피 목적이 있는지도 살펴봐야 한다.
세무판례
부동산이나 주식처럼 등기/등록이 필요한 재산을 다른 사람 이름으로 해놓는 '명의신탁'을 할 때, 단순히 세금을 아끼려는 목적이 아니라면 증여로 보지 않고 증여세를 물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종합소득세처럼 다른 세금을 줄이려는 목적이 포함된 경우에는 증여로 간주하여 증여세를 부과합니다.
세무판례
다른 사람 이름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명의신탁은 조세 회피 목적이 없다는 것을 명의자가 증명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증여로 간주되어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이 판례에서는 친척 이름으로 주식을 명의신탁한 경우, 조세 회피 목적이 없었다는 것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해 증여로 인정되었습니다.
세무판례
빚을 받기 위해 부동산 소유권 이전 관련 서류를 받은 사람이, 원래 부동산 주인의 협조 거부로 어쩔 수 없이 제3자에게 명의신탁한 경우, 조세 회피 목적이 없다고 판단하여 증여세 부과를 취소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