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0.02.27

세무판례

세금, 알고 내면 돈 버는 지름길! 복잡한 세금 문제, 쉽게 풀어드립니다.

세금 문제, 어렵고 복잡해서 머리 아프시죠? 하지만 꼼꼼히 따져보면 생각지도 못한 혜택을 받을 수도 있답니다. 오늘은 다양한 세금 관련 판결들을 핵심만 쏙쏙 뽑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세금 고지 후 취소해도 시효중단 효력은 유지!

세금을 내라고 고지서가 날아왔는데, 알고 보니 잘못된 고지였다면? 다행히 과세 처분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고지서가 발송된 시점에 세금 납부 의무의 소멸시효 진행이 중단된 효력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즉, 세금 낼 의무가 완전히 사라지는 건 아니라는 뜻이죠. (관련 법률: 국세기본법 제28조, 관련 판례: 대법원 1988.2.23. 선고 85누820 판결)

2. 대통령령이라고 다 되는 건 아닙니다! 법률 위임 없으면 무효!

1976년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부칙 중 일부 조항(1976.12.31. 대통령령 제8409호 부칙 제6조 제3항)은 법률에서 위임한 범위를 벗어난 내용을 담고 있어 무효라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상위법의 위임 없이 대통령령만으로 세금 관련 사항을 정할 수 없다는 중요한 원칙을 확인한 사례입니다. (관련 법률: 부가가치세법시행령 (1976.12.31. 대통령령 제8409호) 부칙 제6조 제3항, 관련 판례: 대법원 1987.8.18. 선고 84누774 전원합의체판결)

3. 차관 계약 착수금도 세금 부과 대상!

외국에서 돈을 빌려올 때(차관 계약) 받는 착수금도 '차관계약과 관련하여 생기는 기타 소득'으로 분류되어 세금을 내야 한다는 판결이 있습니다. 계약서에 착수금을 포함한 전체 금액과 지급 조건이 명시되어 있다면, 이는 과세 대상이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관련 법률: 구 외자도입법 (1983.12.31. 법률 제369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4조)

4. 해외 지점 경비, 국내 지점에서 공제 가능! (한일 조세 협약)

한국에 지점을 둔 일본 법인이 제3국에 있는 다른 지점에서 발생한 경비를 한국 지점의 소득에서 공제할 수 있을까요? 정답은 YES! 한일 조세 협약에 따르면, 해외 지점에서 발생한 경비라도 한국 지점의 이익과 관련이 있다면 비용으로 인정받아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련 법률: 소득에 관한 조세의 이중과세회피 및 탈세방지를 위한 대한민국과 일본국간의 협약 제6조 제3항 및 1970.3.3.자 일본측 공한 제1항 제2호)

5. 손금 과소계상, 가산세 계산은 신고 금액 기준!

회사가 비용(손금)을 실제보다 적게 신고해서 세금을 덜 냈다면 가산세를 물어야 합니다. 이때 가산세는 '실제로 계산해야 할 세금'이 아니라 '신고한 세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비록 손금을 적게 신고했더라도, 가산세 계산에서는 신고한 금액 자체를 기준으로 한다는 뜻입니다. (관련 법률: 법인세법 제41조, 같은법시행령 제113조의2)

오늘은 복잡한 세금 판례들을 일반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서 설명해 드렸습니다. 세금, 어렵다고 포기하지 마시고 꼼꼼히 살펴보세요! 모르는 부분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제대로 써야 효력 있어요! (부과근거, 세율 등 필수!)

세금 고지서에 세율, 적용 법조 등 필수 기재사항을 빠뜨리면, 세금 부과 자체가 위법이 될 수 있습니다. 납세자는 고지서만 보고도 어떤 이유로 얼마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알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금고지서#필수기재사항#세율#적용법조

세무판례

세금 감액 후, 원래 세금 고지서는 어떻게 되나요?

세금이 줄어든 후, 수정된 세금 고지서를 받지 못했더라도 처음 부과된 세금은 여전히 효력이 있다. 따라서 처음 부과된 세금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세금감액#수정고지서#미수령#기존세금

세무판례

세금 계산이 틀렸어도, 내야 할 세금보다 적게 나왔다면?

세금 계산 방식이 잘못되었더라도 최종적으로 부과된 세액이 정당한 세액 범위 내라면, 해당 세금 부과 처분을 취소할 수 없다.

#세금#계산방식#정당세액#부과처분취소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을 때, 얼마나 취소될까요?

세금 부과가 잘못된 경우,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자료가 충분하면 잘못된 부분만큼만 취소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체를 취소한다. 법원은 스스로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의무는 없다.

#세금취소#계산자료#부분취소#전체취소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제대로 써야죠! 세율 빠지면 무효!

세금 고지서에는 세금 계산의 근거가 되는 정보 (과세표준, 세율, 세액 등)가 반드시 기재되어야 하며, 이러한 정보가 누락된 고지서는 위법합니다.

#세금 고지서#세율#과세표준#세액

세무판례

세금 납부와 관련된 몇 가지 중요한 판단들

이 판례는 과세전 적부심사 청구 중에도 국세징수권 소멸시효는 진행된다는 점, 외국법인의 국내원천소득에 대한 지급명세서 제출의무는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있다는 점, 그리고 조세조약에 따른 비과세·면제 혜택을 받으려면 납세자가 직접 신청해야 하며, 신청하지 않으면 지급명세서 제출의무가 면제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과세전적부심사#국세징수권 소멸시효#외국법인#원천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