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소방관의 실수로 불이 다시 번졌다면? 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옆집에 불이 났습니다. 소방관들이 출동해 불을 껐다고 생각했는데, 몇 시간 후 꺼진 줄 알았던 불씨가 다시 살아나 제 건물까지 태워버렸습니다. 이런 경우, 소방관의 실수로 피해를 입었으니 국가에 배상을 요구할 수 있을까요? 생각보다 쉽지 않은 문제입니다.

핵심은 '중대한 과실'입니다.

소방관의 실수가 있었다고 해서 무조건 배상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소방관의 실수가 **'중대한 과실'**에 해당하는지가 핵심적인 판단 기준입니다.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 (법률 제9648호)은 불을 낸 사람의 책임을 경감해주기 위한 법입니다. 불이 옮겨붙어 피해가 커지는 경우, 불을 낸 사람에게 과도한 책임을 지우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죠. 이 법은 소방관의 실수로 인한 화재에도 적용됩니다. (대법원 1998. 5. 8. 선고 97다36613 판결)

소방관의 실수 = 실화?

소방관이 불을 끄는 과정에서 실수로 불이 다시 번졌다면 이것도 '실화'로 볼 수 있을까요? 대법원은 소방관의 화재 진압 활동은 공권력 행사이지만, 동시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활동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소방관의 실수로 인한 화재에도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을 적용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1다9298 판결)

중대한 과실이란?

그렇다면 '중대한 과실'은 어떻게 판단할까요? 단순한 부주의나 실수가 아니라, 상황에 비추어 현저히 주의를 결여한 행위를 말합니다. 화재의 원인과 규모, 피해 정도, 소방관이 피해 확대를 막기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 제3조)

모든 피해에 배상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소방관의 실수로 불이 직접 옮겨붙은 부분이미 불이 붙은 부분에 대한 소방 활동에 대해서는 실화책임법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미 불이 붙은 부분에 대한 소방관의 활동으로 인한 추가 피해는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배상받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대법원 2008. 12. 24. 선고 2005다56650 판결)

결론적으로, 소방관의 실수로 불이 다시 번져 피해를 입었다면, 소방관의 행위가 '중대한 과실'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피해가 '직접 연소'에 의한 것인지 '연소 확대'에 의한 것인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상 여부와 범위가 결정될 것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소방관의 화재진압과 실화책임법 적용 여부

소방관의 화재진압 과정에서의 과실로 화재 피해가 확대된 경우, 이미 불이 붙은 부분에 대한 진화 행위에는 실화책임법이 적용되지 않고, 일반적인 과실 책임을 물어야 한다.

#소방관#화재진압#과실#실화책임법

민사판례

소방관의 화재 진압 중 발생한 2차 화재, 책임은 누구에게?

소방관이 화재 진압 후 잔불 정리를 했지만, 몇 시간 뒤 다른 곳에서 다시 불이 난 경우, 소방관의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소방관이나 지자체에 배상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소방관#2차 화재#배상 책임#중과실

민사판례

우리 공장에 불이 났는데, 옆 공장 책임 물을 수 있을까? - 실화 책임에 대한 오해와 진실

화재가 발생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다면, 단순히 화재가 시작된 공장의 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인접 공장의 피해를 배상할 책임은 없다.

#공장 화재#원인 불명#인접 공장 피해#배상 책임 없음

민사판례

건물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건물에 화재 예방 시설이 미흡하여 화재가 확산된 경우, 건물주는 확산된 부분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도 져야 한다. 다만,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건물 하자#화재 확산#건물주 책임#손해배상

민사판례

불이 났어요! 실화법, 어떤 걸 적용해야 할까요?

2007년 8월 30일 이전에 발생한 불 관련 사고라도, 재판이 진행 중이었다면 위헌 결정 이후 개정된 새로운 실화법을 적용해야 한다.

#실화법#위헌#소급적용#새 법 적용

상담사례

이웃 상가 화재로 우리 집이 전소됐어요! 소방점검 부실로 국가배상 청구 가능할까요?

이웃 상가 화재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국가배상 청구 가능성은 소방관의 점검 부실과 피해 확대 사이의 인과관계 입증 여부에 달려있다.

#화재#소방점검 부실#국가배상#인과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