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6.30

형사판례

술값 안 내고 폭행하면 무조건 강도죄? 꼭 알아야 할 '불법영득의사'

술값 시비 끝에 주인을 폭행한 사건, 단순 폭행일까요, 아니면 술값을 떼먹기 위한 강도상해일까요? 오늘은 폭행과 강도의 경계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 바로 '불법영득의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남자가 술집에서 술을 마신 후 술값을 다 내지 않고 나가려다 주인과 시비가 붙었습니다. 그는 주인과 종업원을 폭행했고, 결국 강도상해 혐의로 기소되었습니다.

쟁점: 술값 미지급 + 폭행 = 강도상해?

핵심 쟁점은 이 남자가 폭행을 통해 '술값을 떼먹을 의도'를 가지고 있었느냐는 것입니다. 단순히 홧김에 폭행한 것이라면 폭행죄지만, 술값을 내지 않기 위해 폭행했다면 강도죄, 나아가 피해자에게 상해를 입혔다면 강도상해죄가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불법영득의사 없다면 강도 아니다!

대법원은 이 사건을 강도상해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폭행은 있었지만, 폭행의 목적이 '술값을 떼먹기 위한 것'이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죠. 대법원은 '불법영득의사'를 판단할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피고인과 피해자의 관계
  • 채무의 종류와 액수
  • 폭행에 이르게 된 경위
  • 폭행의 정도와 방법
  • 폭행 이후의 정황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술값 문제로 주인과 말다툼을 하다가 흥분하여 폭행을 저질렀고, 폭행 후에도 현장을 벗어나지 않고 머물렀다는 점, 미지급된 술값이 크지 않았다는 점 등을 근거로 불법영득의사를 인정하기 어렵다고 보았습니다. 즉, 술값을 안 내려고 작정하고 폭행한 것이 아니라, 시비 끝에 우발적으로 폭행한 것으로 판단한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 '불법영득의사'의 중요성

이 판례는 폭행과 강도를 구별하는 핵심 기준으로 '불법영득의사'를 제시하고, 이를 판단할 때 고려해야 할 구체적인 정황들을 명시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단순히 돈을 갚지 않고 폭행했다고 해서 무조건 강도죄가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이죠.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형법 제333조 (강도) 폭행 또는 협박으로 타인의 재물을 강취하거나 기타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한 자는 3년 이상의 유기징역에 처한다.
  • 대법원 2004. 5. 14. 선고 2004도1370 판결: 강도죄 성립에 있어 불법영득의사의 존재는 중요한 판단 기준임을 명시.

이처럼 법적인 판단은 여러 정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비슷한 상황에 처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법률적 판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술값 안 내고 도망치면서 폭행? 이건 준강도가 아니라고요!

술집에서 술을 마신 후 술값을 지불하지 않고 도망치면서 술집 주인을 폭행한 경우, 절도의 실행에 착수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준강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술값 미지불 도주#폭행#준강도죄 불성립#절도 실행 착수 부정

형사판례

폭행 후 절도, 강도죄일까?

주점 도우미와 시비 끝에 폭행 후, 피해자가 알아채지 못하는 사이에 금품을 가져간 경우, 폭행과 절도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면 강도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폭행#절도#강도죄#인과관계

형사판례

빈 술병도 위험한 물건? 강도죄와 폭력죄에 대한 오해와 진실

폭행과 협박으로 타인의 신용카드 매출전표에 서명하게 하여 이를 갈취한 행위는 강도죄에 해당하며, 빈 양주병과 같은 물건도 상황에 따라 위험한 물건으로 간주될 수 있다.

#강도죄#신용카드 매출전표#재산상 이익#협박

형사판례

훔친 돈 갚을 생각이었다고요? 강간은 어떤 경우에 성립할까요?

돈을 훔치면 갚을 생각이 있어도 절도죄이고, 상대방이 무서워서 저항하기 힘들 정도로 폭행·협박하면 강간죄, 강간 과정이나 그로 인해 상처를 입히면 강간치상죄가 성립한다.

#절도죄#강간죄#강간치상죄

형사판례

술값 때문에 사람을 죽였다면? 강도살인죄일까?

술집에서 술값을 내지 않으려고 주인을 살해하고 바로 돈을 훔쳤다면, 단순 살인이 아니라 강도살인죄로 더 무겁게 처벌받는다.

#술값#살인#강도살인#무기징역

형사판례

빚 받으려다 폭행하면 강도죄?!

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빚 회수를 부탁받았더라도, 빚진 사람을 폭행하거나 협박해서 돈을 받아내면 강도죄가 성립합니다.

#빚 회수#폭행#협박#강도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