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11.23

특허판례

스파이더 vs 스파이더맨, 상표권 분쟁의 결말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흥미로운 상표권 분쟁 사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SPIDER"와 "SPIDER-MAN"의 상표권 분쟁입니다. 누가 봐도 비슷해 보이는 두 상표, 과연 법원은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요?

사건의 개요

누군가 "SPIDER"라는 상표를 등록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미 "SPIDER-MAN"이라는 상표가 등록되어 있었죠. "SPIDER-MAN" 상표권자는 당연히 "SPIDER" 상표 등록에 반대했습니다. 너무 비슷해서 소비자들이 헷갈릴 수 있다는 이유였죠. 결국 이 분쟁은 법원까지 가게 되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SPIDER"와 "SPIDER-MAN"이 유사한 상표라고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칭호: "스파이더"와 "스파이더맨"은 발음이 비슷합니다. 특히 "스파이더맨"의 앞부분인 "스파이더"가 강하게 발음되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 외관: 두 상표 모두 "SPIDER"라는 글자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SPIDER-MAN"은 "SPIDER"와 "MAN"이 하이픈(-)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SPIDER" 부분이 눈에 띄기 때문에 전체적인 외관이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 관념: "SPIDER"는 "거미"를 뜻하고, "SPIDER-MAN"은 "거미 인간"을 뜻합니다. 비록 "SPIDER-MAN"에 "MAN"이라는 단어가 추가되었지만, "SPIDER" 부분 때문에 "거미"라는 관념을 떠올리게 됩니다.

게다가 두 상표 모두 스웨터 등 비슷한 상품에 사용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고 법원은 판단했습니다. (상표법 제7조 제1항 제7호)

기본상표와 연합상표

이 사건에는 또 다른 쟁점이 있었습니다. 바로 기본상표와 연합상표의 관계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복잡하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SPIDER"는 다른 상표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연합상표의 일부였습니다. 출원인은 이 연합상표의 기본상표가 "SPIDER-MAN"과 유사하지 않다는 이전 심결이 있었으므로, 이번에도 유사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연합상표는 독립된 상표이기 때문에 기본상표와 관계없이 유사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표법 제11조, 대법원 1964.6.11. 선고 63후27 판결; 1974.10.8. 선고 74후48 판결; 1990.6.12. 선고 89후1370 판결) 즉, 기본상표에 대한 이전 심결이 연합상표의 유사성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결론

결국 "SPIDER" 상표 등록은 거절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상표의 유사성 판단 기준과 연합상표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보여주는 중요한 판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 1991.12.24. 선고 91후1205 판결; 1992.3.10. 선고 91후1465 판결; 1993.7.13. 선고 93후466 판결) 상표권 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표 등록 전에 기존에 등록된 상표들과의 유사성을 꼼꼼히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센스'와 '센스미', 너무 비슷한 거 아닌가요? 상표권 분쟁 이야기

'쎈스(SENSE)'라는 상표와 '센스미'라는 상표는 유사하여,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으므로 '센스미' 상표 등록은 거절되었다.

#상표#유사#쎈스#센스미

특허판례

금빛 거미 vs 말 두 마리, 당신의 상표는 안전할까요?

"Gold SPIDER" 상표는 "골드"와 말 그림이 결합된 상표와 유사하지 않다.

#Gold SPIDER#골드#말 도형#상표 유사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핵심은 '소비자 혼동'!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상표#유사#그림#핵심 단어

특허판례

HYPER HAD vs HYPER-1: 상표권 분쟁, 유사 상표란 무엇일까?

"HYPER HAD"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HYPER-1"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두 상표 모두 핵심 부분인 "HYPER"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HYPER"는 제품의 특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 아니므로 상표로서 기능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HYPER HAD#HYPER-1#상표 유사#등록 거절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승리자들' vs '승리자' 누가 이겼을까?

그림과 글자가 결합된 '위너스(Winners)' 상표가 기존에 등록된 '위너(Winner)' 상표와 유사하여 등록 거절된 사례. 비록 외관은 다르지만, 발음과 의미가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는 판단.

#상표#유사#위너스#위너

특허판례

ST. MICHAEL vs. MICHAEL'S PETS: 상표권 분쟁, 누구 말이 맞을까?

이미 등록된 상표 "MICHAEL'S PETS"와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 우려가 있으므로 "ST. MICHAEL" 상표 등록이 거절되었습니다. 다른 상품에 "ST. MICHAEL" 상표가 등록되었다 하더라도 이번 사건의 상표 등록이 허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ST. MICHAEL#상표등록거절#MICHAEL'S PETS#상표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