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일자: 2024. 08.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식당 운영에 필수적인 원산지 표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공정한 거래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잘못 표시했다간 과태료, 심지어 징역형까지 받을 수 있으니 꼼꼼하게 확인해야겠죠?
1. 어떤 식당이 원산지를 표시해야 하나요?
휴게음식점, 일반음식점, 위탁급식영업, 집단급식소를 운영한다면 원산지 표시는 필수입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제3항, 시행령 제3조제5항 및 제4조)
2. 어떤 농수산물을 표시해야 하나요?
아래 농수산물과 그 가공품을 조리해서 판매, 제공, 배달할 경우, 또는 판매 목적으로 보관/진열할 경우 원산지 표시가 필요합니다.
3. 원산지 표시,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배추김치: "배추김치(배추 국내산, 고춧가루 중국산)" 처럼 배추와 고춧가루 원산지를 각각 표시합니다. 고춧가루를 안 썼다면 "배추김치(배추 국내산)"처럼 표시합니다. 수입 배추김치는 제조·가공국가명을 표시합니다. (예: 배추김치(중국산))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4)
쇠고기: 식육의 종류(예: 한우, 육우, 젖소)도 함께 표시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표시방법: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명확하게 표시해야 합니다. 구체적인 표시 기준과 방법은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1과 시행규칙 별표 4를 참고하세요.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제4항, 시행규칙 제5조제1항 및 제3조제2호)
4. 원산지 표시 예외는 없나요?
5. 원산지 표시, 왜 중요할까요?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거나 혼동을 주는 행위, 원산지를 위장하는 행위, 원산지가 다른 농수산물을 섞어서 파는 행위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제6조제2항, 제14조제1항) 5년 이내에 다시 위반하면 가중처벌됩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제14조제2항)
단순히 원산지 표시를 하지 않거나 표시방법을 위반하는 경우에도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제18조제1항제1호 및 제2호)
또한, 원산지가 표시된 영수증, 거래명세서 등을 6개월간 보관해야 하며, 이를 어길 시에도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8조제1항제5호)
더 자세한 내용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홈페이지(www.naqs.go.kr)와 음식점 원산지 표시 안내 전단을 참고하세요.
원산지 표시, 어렵지 않습니다! 정확한 원산지 표시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법적인 문제도 예방하세요!
생활법률
농수산물 및 그 가공품, 음식점 주요 식재료의 원산지 표시는 판매자에게 의무이며, 소비자는 이를 확인하여 건강한 먹거리를 선택해야 한다.
생활법률
농수산물 및 가공식품의 수입·생산·가공·판매·보관·진열·음식점 운영자는 법률에 따라 원산지를 정확히 표시해야 하며, 위반 시 징역, 벌금, 과징금 등의 처벌과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다.
생활법률
농수산물 및 가공품의 원산지는 유통과정의 모든 사업자가 표시해야 하며, 위반 시 과태료 또는 징역·벌금형에 처해진다.
생활법률
농수산물 및 가공품의 원산지 표시는 생산자와 소비자 보호를 위해 필수이며, 대부분의 농수산물과 가공품에 대해 원료 원산지까지 표시해야 하고, 위반 시 과태료가 부과된다.
생활법률
수산물 원산지 표시는 소비자 알 권리 보장을 위해 판매자(온/오프라인 포함)의 의무이며, 국산, 원양산, 수입산 등의 표시 기준을 준수해야 하고, 위반 시 벌금 또는 징역형에 처해진다.
생활법률
농산물 유통 과정 참여자는 모두 법률에 따라 정확한 원산지를 표시해야 하며, 위반 시 징역 또는 벌금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