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대출을 위한 신용보증기금의 보증 제도, 참 유용하죠? 그런데 은행이 약속한 담보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아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늘은 신용보증기금과 은행 사이의 책임 관계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중소기업이 은행에서 시설자금 대출을 받았고, 신용보증기금이 이 대출에 대해 보증을 섰습니다. 이때 신용보증계약서에는 특약이 있었는데요, "은행은 대출금으로 만들어진 시설이 준공되는 즉시 담보로 잡고 보증을 해지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은행이 이를 어기면 신용보증기금은 보증 책임을 면제받는다"는 면책 조항이었습니다. 그런데 은행은 다른 채권자들이 먼저 근저당권 등을 설정하는 바람에 1순위 담보를 확보하지 못했습니다. 이에 은행은 신용보증기금에 보증금을 청구했고, 신용보증기금은 면책 조항을 내세워 거부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은행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핵심은 '은행의 귀책사유'였습니다. 면책 조항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신용보증기금이 책임을 면하는 것은 아니고, 은행이 담보를 확보하지 못한 데에 '귀책사유'가 있는지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죠.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이 회사의 부지에 다른 채권자의 가등기가 설정된 것을 보고, 건물에도 똑같이 가처분 신청을 하는 등의 조치까지 해야 할 의무는 없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이었습니다. 즉, 은행에게 1순위 담보를 확보하지 못한 '귀책사유'가 없다는 것이죠. (참고로 가처분 신청 등은 일반적인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넘어서는 과도한 조치라고 판단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결론
신용보증기금의 보증과 은행의 담보 설정 의무 사이의 관계, 생각보다 복잡하죠? 면책 조항이 있다고 해서 신용보증기금이 무조건 책임을 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은행의 귀책사유가 있는지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는 것이 이번 판결의 핵심입니다. 중소기업 대출과 관련된 분쟁에서 참고할 만한 중요한 판례라고 생각합니다.
민사판례
은행이 기계 설치 자금 대출에 대한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으면서 약정된 담보 설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기계가 처분된 경우, 보증기관의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은행의 잘못으로 담보를 확보하지 못했더라도, 보증기관은 담보로 확보할 수 있었을 가치만큼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민사판례
은행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을 실행하면서 담보를 제대로 설정하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보증 채무를 면제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은행은 단순히 형식적인 담보 설정에 그치지 않고, 신용보증기금이 나중에 대출금을 대신 갚게 되더라도 손해를 보지 않도록 적법하고 충분한 담보를 확보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민사판례
은행이 신용보증기금과 보증계약을 맺을 때 담보 설정을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보증 책임에서 벗어난 사례입니다.
민사판례
회사가 돈을 빌릴 때 신용보증기금이 보증을 서 주고, 은행은 담보를 설정하기로 약속했는데, 회사가 어려워져도 은행이 담보를 설정하면 보증기금은 담보 가치만큼 보증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판결.
민사판례
은행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을 실행할 때, 담보 설정 등 약정된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있다. 은행은 단순히 형식적인 담보 설정에 그치지 않고,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다해야 한다.
민사판례
은행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해주면서 약속한 담보를 제때 확보하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손해를 볼 위험에 처했을 경우,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