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6.12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과 은행의 신용보증계약, 담보 설정의 중요성

신용보증기금이란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을 서 주는 기관입니다. 만약 기업이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신용보증기금이 대신 갚아주고, 나중에 기업에게 그 돈을 돌려받게 되죠 (구상권 행사).

그런데 이 과정에서 은행이 약속을 어기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 소개할 판례는 바로 이런 상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건의 개요

한 중소기업이 은행에서 시설자금 대출을 받으면서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았습니다. 이때 신용보증기금과 은행 사이에는 특별한 약속(특약)이 있었는데, 그 내용은 은행이 대출금으로 만들어진 시설에 즉시 담보권을 설정해야 하며, 만약 이를 어길 경우 신용보증기금의 보증 책임을 면제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은행은 담보권을 설정하기는 했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담보물의 가치가 대출금에 훨씬 못 미치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신용보증기금은 은행이 담보 설정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자신의 구상권 확보가 어려워졌다며 보증 책임을 면제해달라고 주장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신용보증기금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신용보증기금과 은행 사이의 특약은 신용보증기금이 나중에 기업에게 돈을 돌려받을 권리(구상권)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즉, 은행은 단순히 형식적으로 담보권을 설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민법 제105조)를 다해 신용보증기금이 구상권을 제대로 행사할 수 있도록 적법한 담보를 확보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은행은 담보물의 가치가 대출금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데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담보를 설정했습니다. 법원은 이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으로 판단하고, 신용보증기금의 보증 책임을 일부 면제해주었습니다.

핵심 정리

  • 신용보증기금과 은행 간의 특약은 신용보증기금의 구상권 확보를 위한 중요한 장치입니다.
  • 은행은 담보 설정 과정에서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다해야 합니다.
  • 담보물의 가치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담보를 설정하는 것은 주의의무 위반이 될 수 있습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105조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권리의 행사와 의무의 이행은 신의에 좇아 성실히 하여야 한다.
  • 민법 제485조 (보증인에 대한 채권자의 담보제공의무)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채무이행을 청구하지 아니함으로 인하여 보증인이 변제할 수 없게 된 때에는 보증인은 책임을 면한다.
  • 신용보증기금법 제29조 (보증채무의 면책), 제30조 (구상권)
  • 대법원 1993. 4. 27. 선고 92다49942 판결, 대법원 1995. 7. 28. 선고 95다18734 판결, 대법원 1997. 9. 9. 선고 96다693 판결

이 판례는 신용보증기금과 은행 사이의 신용보증계약에서 담보 설정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있습니다. 은행은 단순히 형식적인 담보 설정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으로 신용보증기금의 구상권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은행의 담보 설정 의무와 신용보증기관의 책임 범위

은행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을 실행할 때, 담보 설정 등 약정된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으면 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있다. 은행은 단순히 형식적인 담보 설정에 그치지 않고,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다해야 한다.

#신용보증기금#보증채무#면책#은행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 보증과 은행의 담보 설정 의무

신용보증기금이 대출 보증을 하면서 금융기관이 대출금으로 만들어진 시설을 담보로 잡지 않으면 보증책임을 면제해주는 특약을 맺었을 때, 금융기관이 담보를 잡지 못한 데에 **금융기관의 잘못이 없다면**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신용보증기금#보증책임#면책특약#담보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의 면책, 은행의 주의의무 소홀이 원인!

은행이 신용보증기금과 보증계약을 맺을 때 담보 설정을 약속했지만 이를 지키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보증 책임에서 벗어난 사례입니다.

#신용보증기금#면책#담보설정의무#은행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책임과 은행의 담보 확보 의무

은행이 기계 설치 자금 대출에 대한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으면서 약정된 담보 설정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아 기계가 처분된 경우, 보증기관의 책임 범위는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은행의 잘못으로 담보를 확보하지 못했더라도, 보증기관은 담보로 확보할 수 있었을 가치만큼 책임을 면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기술신용보증기금#보증책임#담보설정#우선해지특약

상담사례

은행이 약속을 안 지켰어요! 보증기관은 책임을 져야 할까요? (주담보 vs. 추가담보)

은행이 추가담보 설정 약속을 지키지 않았더라도 설정된 주담보 가치만큼은 보증기관의 책임이 감면된다.

#보증#신용보증기금#은행#약속

민사판례

신용보증기금 보증과 은행의 담보 확보 의무

은행이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받아 대출해주면서 약속한 담보를 제때 확보하지 않아 신용보증기금이 손해를 볼 위험에 처했을 경우,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책임을 면할 수 있다.

#은행#담보확보의무#신용보증기금#보증책임면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