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9.14

민사판례

신차 탁송 중 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신차를 탁송하다 발생한 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오늘은 신차 탁송 중 발생한 사고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탁송업자 A는 B에게 신차를 울산 공장에서 광주 영업소까지 운송하도록 지시했습니다. B는 동료 운전기사 C와 함께 울산으로 가서 차를 인수했고, 돌아오는 길에 C가 운전하던 중 사고가 발생하여 조수석에 타고 있던 B가 사망했습니다. B의 유족들은 A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탁송업자 A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에서 말하는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에 해당하는가?
  2. 사망한 B가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에서 말하는 '다른 사람'에 해당하는가?

법원의 판단

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탁송업자 A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의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에 해당한다. A는 B에게 운송을 지시하고 그 운행이익을 얻고 있었기 때문에, 비록 직접 운전하지 않았더라도 사고 차량의 운행을 지배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사망한 B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의 '다른 사람'에 해당한다. B는 A에게 고용된 운전기사였고, 사고 당시 A의 업무를 수행 중이었습니다. 따라서 B는 이 사고에 있어서 '다른 사람'으로 볼 수 있습니다.

판결의 의미

이 판결은 신차 탁송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해 탁송업자의 책임을 명확히 했습니다. 탁송업자는 운전기사를 고용하여 차량 운송을 지시하고 그 이익을 얻는 자로서, 사고 발생 시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합니다. 또한, 탁송업자에게 고용된 운전기사는 '다른 사람'으로 인정되어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참조조문: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탁송 중 사고,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

차량 탁송을 의뢰받은 업체가 실제 운전을 다른 사람에게 맡겼더라도, 운전기사는 탁송업체의 이행보조자로 간주되어 탁송업체가 사고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차량탁송#사고#탁송업체#손해배상

민사판례

탁송 중 사고, 보험회사는 누구에게 보험금을 줘야 할까?

자동차 탁송 중 사고가 났을 때, 보험계약서에 기재된 피보험자가 실제 탁송업자가 아니더라도 업계 관행과 계약 당시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 탁송업자를 피보험자로 인정하고, 보험금 지급 범위도 약관과 다르게 개별 약정이 있었다면 그 약정대로 판단해야 한다는 판결.

#자동차 탁송#사고#보험금#피보험자

상담사례

트럭 주인의 책임, 어디까지일까요? - 운전 미숙자 사망 사고

트럭 소유주 갑씨는 운전 미숙자 병씨에게 주차를 부탁했다가 사망사고를 유발했고, 자배법상 운전 위탁자로서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할 가능성이 높다.

#트럭#운전 미숙#사망 사고#책임

민사판례

내 차 팔려고 맡겼는데 사고가 났어요! 누구 책임일까요?

중고차를 팔아달라고 여러 단계로 위탁한 경우, 사고 발생 시 최초 위탁자는 운행지배 책임이 없다.

#중고차#위탁판매#운행지배#책임

민사판례

내 차 맡겼는데 사고가 났어요! 책임은 누구에게?

차를 팔아달라고 부탁하며 다른 사람에게 맡겼더라도, 차량에 대한 운행 지배와 이익을 유지하고 있다면 사고 발생 시 소유자에게 책임이 있다는 판결.

#차량 판매 위탁#사고 책임#소유자#운행 지배

상담사례

대리운전 도중 내렸는데, 사고 나면 보상받을 수 있을까요? 🚗💨

대리운전 중 의뢰인이 하차했더라도 최초 계약과 의뢰인의 의도에 따라 대리운전으로 인정될 수 있으며, 보험금 지급 거절은 부당할 수 있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리운전#하차#사고#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