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10.18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얼마나 가져야 할까요? - 부당이득 반환 문제 정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파트 대지 지분과 관련된 부당이득 반환 문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한 법률 용어 때문에 머리 아프셨던 분들, 주목해주세요!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

한 상가 건물에서 대지 지분 일부를 가진 원고(서울자산관리 주식회사)가, 나머지 대지 지분을 가진 피고들에게 대지 사용료에 해당하는 부당이득을 반환하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경매를 통해 대지 지분을 취득했는데, 피고들이 자신에게 돌아가야 할 대지 지분만큼의 이득을 보고 있다고 주장한 것이죠.

쟁점:

  • 피고들이 자신에게 맞는 적정 대지 지분을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적정 지분보다 적게 가지고 있는지 (과소 대지지분)
  • 적정 지분보다 적게 가지고 있는 경우, 원고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하는지, 반환해야 한다면 얼마나 해야 하는지
  •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상가를 소유한 경우, 대지 지분을 각 상가별로 계산해야 하는지, 아니면 전체를 합쳐서 계산해야 하는지

대법원의 판단:

  • 소액사건 심리 확대: 이 사건은 소액사건이지만, 대법원은 유사한 사건이 많고 판례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법령 해석의 통일을 위해 심리했습니다. (소액사건심판법 제3조 제2호)
  • 적정 대지지분 초과 또는 매우 근소한 부족: 피고들은 각 상가별로 적정 대지지분을 넘거나, 아주 조금 부족한 정도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원고가 경매로 지분을 얻기 전까지 오랫동안 현재 상태가 유지되어 왔습니다.
  • 부당이득 반환 의무 없음: 대법원은 위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피고들이 원고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대지 지분이 아주 조금 부족하거나, 오랫동안 문제없이 유지되어 온 경우에는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하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민법 제741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 제6호, 제12조 제1항, 제20조, 제21조, 민법 제263조)
  • 구분소유권별 판단 원칙: 대법원은 대지 지분이 적정한지, 부당이득 반환 의무가 있는지, 반환 범위는 어느 정도인지 등을 판단할 때는 각각의 구분소유권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 사람이 여러 개의 상가를 소유하더라도, 각 상가별로 따로 계산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참고 판례:

  • 대법원 2018. 9. 13. 선고 2017다16778 판결
  • 대법원 2022. 8. 25. 선고 2017다257067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2023. 9. 14. 선고 2016다12823 판결

결론:

아파트나 상가의 대지 지분과 관련된 분쟁에서 부당이득 반환 여부는 단순히 지분의 비율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적정 지분에 매우 가깝거나 장기간 묵인된 경우에는 부당이득 반환 의무가 없을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또한, 여러 개의 부동산을 소유한 경우에도 각각의 부동산별로 대지 지분을 따져봐야 합니다. 이번 판례를 통해 대지 지분 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제 몫보다 적으면 어떻게 될까?

아파트 건물의 대지 일부만 소유한 사람이 대지 지분을 충분히 갖지 못한 경우, 부족한 지분에 해당하는 비율만큼 대지 공유자에게 차임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아파트#대지지분#차임#과소대지지분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내 땅인데 왜 못써? - 대지지분과 부당이득반환청구

아파트 등 집합건물의 대지 지분 일부만 경매로 낙찰받은 사람은, 비록 그 땅을 실제로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건물 소유주들에게 대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

#대지사용료#지분경매#집합건물#공유지분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부당이득 반환 문제!

아파트 등 집합건물의 대지 지분을 충분히 갖지 못한 소유자가 대지의 다른 공유자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하는 경우, 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신하여 소송을 걸 수 있는 채권자대위권 행사를 위해서는 채무자가 '진짜로' 돈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다시 확인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채무자가 다른 사람에게 빚을 넘긴 것을 고려하지 않고 채무가 있는 것처럼 계산해서 채권자대위권을 인정한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채권자대위권#보전의 필요성#계약인수#집합건물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많다고 돈 달라고 할 수 있을까?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에서 분양받을 당시 정해진 대지 지분 비율대로 대지를 공유하고 있다면, 지분 비율 차이가 있다고 해서 서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아파트#대지지분#부당이득반환청구#불가

상담사례

아파트 대지, 내 땅인 듯 내 땅 아닌 내 땅 같은 너?! 🧐 부당이득 반환, 받을 수 있을까?

아파트 대지에 외부 공유자가 존재하고 그 공유자가 토지 사용권을 포기하지 않았다면, 아파트 구분소유자들은 외부 공유자에게 토지 사용료를 부당이득으로 반환해야 할 수 있다.

#아파트 대지#구분소유#외부 공유자#부당이득반환

민사판례

아파트 대지 지분, 나도 쓸 수 있을까? - 공유지분권과 부당이득

아파트 건물과 달리 대지의 일부 지분을 따로 소유한 사람이 있는 경우, 그 사람은 아파트 소유주들에게 대지 사용료를 청구할 수 있다. 단, 예외적으로 대지 지분 소유자가 자신의 권리를 포기했거나 그런 특약을 승계한 경우에는 청구할 수 없다.

#아파트 대지 지분#경매#대지 사용료#공유지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