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1.06.01

민사판례

어음 돌려받으면 돈 갚아야 할까? - 어음 점유와 채무 관계

혹시 어음 때문에 골치 아픈 일을 겪고 계신가요? 특히 발행한 어음이 어떤 이유로든 다시 내 손에 들어왔는데, 돈을 갚아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 주목! 오늘은 흥미로운 판례를 통해 어음의 점유와 채무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어음은 제시증권이자 상환증권입니다. (어음법 제38조, 제39조) 즉, 어음을 가지고 있어야만 돈을 받을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돈을 갚을 때는 어음을 돌려받아야 합니다. 이는 채권자가 누구인지 명확히 하고, 채무자가 두 번 돈을 갚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입니다.

그런데 만약 어음이 채무자의 손에 들어가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의 핵심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원고(채권자)가 어음을 소지하고 있다가 채무자의 계열사에게 잠시 보관하게 했습니다. 그런데 계열사가 약속을 어기고 어음을 채무자에게 돌려주었고, 채무자는 어음을 은행에 반환하여 없애버렸습니다. 원고는 어음 없이 채무자에게 돈을 갚으라고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은 채무자에게 돈을 갚으라고 판결했습니다. 어음은 원래 채권자가 가지고 있어야 권리를 행사할 수 있지만, 이미 채무자가 어음을 돌려받은 경우에는 굳이 어음을 제시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채권자가 누구인지 채무자가 이미 알고 있고, 이중지급의 위험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채무자가 같은 그룹 계열사를 통해 어음을 돌려받았고, 이미 지급 거절된 어음이었기 때문에 채무자가 돈을 갚아야 한다는 사실을 명확히 알고 있었다는 점도 고려되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어음이 채무자에게 돌아간 경우, 채권자는 어음 없이도 돈을 받을 권리를 행사할 수 있고, 채무자는 "어음이 없으니 돈 못 갚겠다"는 주장을 할 수 없습니다.

참고:

  • 어음법 제16조, 제38조, 제39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어음 되돌리기로 빚 갚았다고 할 수 있을까?

빚을 갚기 위해 약속어음을 줬는데, 은행이 "어음 되막기"라는 방식으로 처리했다면 원래 빚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어음 되막기는 기존 어음 대신 새 어음을 발행해서 결제하는 방식인데, 이 경우 새 어음을 통해 원래 빚의 지급을 유예한 것일 뿐, 새 어음이 만기에 제대로 지급되어야만 원래 빚이 없어집니다.

#어음 되막기#변제#채무소멸#약속어음

상담사례

부도난 어음, 돌려줬는데 돈 안 주면 어떡하죠? 😰

부도난 약속어음을 채무자에게 돌려줬더라도, 채무자가 어음을 가지고 있다면 어음 없이도 돈을 받을 수 있다는 판례가 있어 좌절하지 말고 관련 자료를 챙겨 청구해야 한다.

#약속어음#부도#어음반환#대금청구

민사판례

돈 받을 권리 압류했는데, 어음으로 갚았다면?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돈을 받기 전에 채무자가 빌린 돈을 갚기 위해 어음을 발행하고 제3자에게 양도했는데, 그 후에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을 압류한 경우, 채무자는 어음을 통해 빚을 갚았다고 주장하여 압류를 무효화할 수 있다.

#압류#어음발행#양도#채권자대항

민사판례

어음 시효와 원인 채권 소멸: 돈 받을 권리, 어떻게 될까요?

원래 빚을 받기 위해 발행된 어음이 시효로 소멸했더라도, 채무자가 부당한 이득을 얻었다고 볼 수 없어 돈을 돌려받을 수 없다는 판결.

#어음#시효소멸#이득상환청구권#기각

민사판례

어음 반환과 채무 이행, 꼭 동시에 해야 할까?

돈을 빌리고 어음을 발행했을 때, 돈을 갚아야 할 의무와 어음을 돌려받아야 할 의무는 서로 별개이며, 채무자가 돈을 갚을 때 어음을 바로 돌려받지 못하더라도 돈을 갚아야 할 의무는 유효하고, 기한이 지나면 연체 이자도 내야 한다. 또한, 부대상고는 상고이유서 제출 기간 내에 제기해야 한다.

#어음반환#원인채무#동시이행#연체이자

민사판례

어음 샀는데, 전 주인에게 문제가 있었다면?

어음을 받은 사람이 단순히 부주의해서 어음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몰랐더라도, 어음에 적힌 돈을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어음#선의취득#단순과실#항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