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01.19

민사판례

옛날 특별조치법 등기, 쉽게 뒤집힐 수 있을까?

과거 토지 소유권 정리가 제대로 안 돼있던 시절, 정부는 몇 차례 특별조치법(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을 만들어 간편하게 등기를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 법들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일단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었죠. 하지만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만큼 허위 등기의 위험도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는 얼마나 쉽게 뒤집을 수 있을까요? 최근 대법원 판결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원고는 자신의 땅에 대해 피고들이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를 했는데, 사실 자신은 땅을 판 적이 없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피고들은 보증서와 확인서를 통해 등기가 적법하게 이루어졌다고 맞붙어 싸웠죠.

쟁점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는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추정을 뒤집으려면 어느 정도의 증거가 필요할까요? 확실한 증거가 없으면, 등기는 유효한 것으로 인정될까요?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라도 허위임을 의심할 만한 정도의 증거만 있어도 그 추정력은 뒤집힌다고 판결했습니다. 즉, 법관이 확신할 정도의 증거가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죠.

이 사건에서는 피고들이 제출한 보증서와 확인서의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는 점이 드러났습니다. 피고들 스스로도 매매 사실을 부인하는 등 허위 정황이 충분했기 때문에, 등기의 추정력은 번복되었다고 본 것입니다.

핵심 포인트

  • 특별조치법 등기는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반드시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
  • 등기의 허위를 의심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있다면, 등기의 효력은 뒤집힐 수 있습니다.
  • 법관이 확신할 정도의 매우 강력한 증거까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민법 제186조 (추정): 사정상 추정이 있는 때에는 추정받는 자가 그 추정이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지 아니하면 추정된 사실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한다.
  •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3094호, 실효) 제6조
  •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법률 제2111호, 실효) 제5조
  • 대법원 1991.12.27. 선고 91다10480 판결
  • 대법원 1992.10.27. 선고 92다17938 판결
  • 대법원 1992.12.8. 선고 92다32067 판결

이 판결은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의 효력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토지 소유권 분쟁에 휘말렸다면, 이 판례를 참고하여 자신의 권리를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 그 추정력은 언제까지?

과거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원칙적으로 유효하다고 추정되지만, 그 등기의 근거가 된 서류가 허위라는 의심이 들 정도의 증거가 있다면 그 효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이때 법관이 확신할 정도의 증거까지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특별조치법#등기#추정력#허위서류

민사판례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 그 추정력은 언제까지?

과거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따라 된 등기는 진짜 소유권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등기의 근거가 된 서류가 허위임이 드러나면 그 추정은 뒤집힐 수 있습니다.

#특별조치법#등기#추정력#허위서류

민사판례

옛날 토지 등기에 대한 진실! 등기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까요?

옛날 특별조치법으로 한 부동산 등기는 원칙적으로 유효하다고 추정되지만, 그 등기의 근거가 된 서류가 가짜라는 의심이 들 정도로 증명되면 등기의 효력은 없어진다. 완벽한 확신까지는 필요 없다.

#특별조치법#부동산 등기#효력#추정

민사판례

옛날 임야 소유권 등기, 함부로 못 뒤집는다?

과거 임야 소유권 정리를 위해 시행되었던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소유권보존등기는 그 등기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주장하는 사람이 그 증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임야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소유권보존등기#효력#증명책임

상담사례

옛날 부동산 등기, 쉽게 바로잡을 수 있을까? (특별조치법 등기 추정력)

과거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는 일단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보증서/확인서 허위 또는 다른 취득 원인의 문제점을 "의심할 만한 정도"로 입증하면 그 효력을 뒤집을 수 있다.

#특별조치법#부동산등기#추정력#증거

민사판례

옛날 방식으로 등기했더라도 함부로 뒤집을 순 없어요! 등기의 추정력 이야기

옛날 부동산 소유권 이전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해 시행되었던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실제 소유권과 일치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추정을 뒤집으려면, 단순히 등기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등기의 근거가 된 서류가 거짓이라는 것을 확실하게 입증해야 합니다.

#부동산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추정력 번복#입증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