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6.02.11

가사판례

이혼 후 재산분할, 약속대로 안 하면 어떻게 될까? 이행명령에 대해 알아보자!

이혼 후 재산분할은 부부가 함께 모았던 재산을 나누는 중요한 절차입니다. 그런데 재산분할에 대한 합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럴 때 활용할 수 있는 제도 중 하나가 바로 이행명령입니다. 하지만 이행명령은 만능이 아닙니다. 오늘은 이행명령의 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행명령이란 무엇일까요?

이혼 소송 과정에서 판결, 심판, 조정조서 등으로 정해진 의무(예: 양육비 지급, 재산분할 이행 등)를 상대방이 이행하지 않을 경우, 법원이 상대방에게 일정 기간 내에 의무를 이행하도록 명령하는 제도입니다. (가사소송법 제64조) 만약 이행명령을 어기면 과태료(최대 1천만 원)나 감치(최대 30일)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사소송법 제67조, 제68조)

이행명령, 함계점이 있다?!

이행명령은 기존에 정해진 의무 이행을 촉구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기존 합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의무를 만들어낼 수는 없습니다. 쉽게 말해, 원래 약속에 없던 내용을 이행명령으로 강제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실제 사례를 살펴볼까요?

부부가 이혼하면서 아파트를 5억 5천만 원 이상에 팔아서 남은 돈을 나누기로 합의했습니다. (매매가 안되면 아내가 대신 팔기로 함) 그러나 남편은 아파트를 팔지 않았고, 아내는 이행명령을 신청하여 남편에게 4개월 동안 매달 2,500만 원씩 재산분할금을 지급하라는 명령을 받아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 이행명령을 취소했습니다. 아파트를 팔고 남은 돈을 나누기로 한 것이지, 정해진 금액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원래 합의 내용과 다른 새로운 의무를 부과한 이행명령은 잘못되었다는 것입니다.

핵심 정리!

  • 이행명령은 판결, 심판, 조정조서 등으로 정해진 의무 이행을 촉구하는 제도입니다. (가사소송법 제64조)
  • 이행명령으로 기존 합의 내용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의무를 만들 수는 없습니다.
  • 재산분할 등의 분쟁 발생 시, 이행명령의 가능성과 한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관련 법 조항:

  • 가사소송법 제64조 (이행명령)
  • 가사소송법 제67조 (과태료)
  • 가사소송법 제68조 (감치)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이혼 합의 후 남편이 약속을 안 지켜요! 재산분할 다시 청구할 수 있을까요?

이혼 후 재산분할 합의를 상대방이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합의 해제 후 재산분할 소송을 다시 제기할 수 있다.

#이혼#재산분할#합의 불이행#합의 해제

상담사례

이혼 후 위자료, 못 받고 계신가요? 이행명령, 과태료, 감치 제도로 해결하세요!

이혼 후 위자료를 받지 못할 경우, 법원의 이행명령, 과태료 부과, 감치 처분 등의 제도를 활용하여 전 배우자에게 압박을 가할 수 있으며, 재산 조사를 통해 숨겨진 재산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위자료#이행명령#과태료#감치

가사판례

이혼 후 재산분할, 이런 경우도 있다?!

이혼 후 재산분할 과정에서, 공동명의로 된 부동산이 제3자의 명의신탁 재산인 것이 밝혀진 경우, 그 부동산에 대한 재산분할금 지급 의무를 강제할 수 없으며, 새롭게 발견된 재산에 대해서는 추가 재산분할 청구가 가능하다.

#이혼#재산분할#명의신탁#신의칙

민사판례

이혼과 재산분할, 알고 하세요! 함정에 빠지지 않는 재산분할 가이드

채무초과 상태인 남편이 이혼하면서 아내에게 재산을 넘겨 조세 채권자인 국가에 손해를 입힌 사건에서, 법원은 이를 사해행위로 보고 재산분할을 취소했습니다. 이 판결은 이혼 재산분할 시 채무와 재산분할의 상당성, 사해행위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이혼#재산분할#사해행위#채무초과

생활법률

위자료, 안 주면 어떻게 되나요? 이행명령부터 강제집행까지!

이혼 위자료 미지급 시, 이행명령 신청 후 불이행시 과태료, 감치, 강제집행(재산 처분) 등의 법적 절차를 통해 받아낼 수 있으며, 상대방 재산 유무에 따라 가압류/가처분 등의 사전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위자료#이행명령#과태료#감치

가사판례

이혼 후 재산분할,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이혼 후 재산분할 시, 별거 후 취득한 재산도 분할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공동채무는 단순히 한쪽 배우자에게 귀속시키는 것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임대보증금 반환 채무는 불가분채무로, 법원은 재산분할 대상을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다.

#이혼#재산분할#별거재산#공동채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