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8.02.29

민사판례

재건축 사업에서 토지만 소유한 사람의 권리

아파트 재건축! 낡은 아파트를 허물고 새 아파트를 짓는다는 기대감에 부푼 사람들도 있지만, 재건축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와 땅을 함께 소유한 사람이 아닌, 땅만 소유한 사람은 재건축 과정에서 어떤 권리를 가지는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에 대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핵심 쟁점: 재건축 사업에서 땅만 소유한 사람은 조합원 자격이 있을까요? 재건축에 동의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법원의 판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조합원 자격: 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원은 "토지 등 소유자"입니다. 도시정비법에서는 주택재건축사업의 "토지 등 소유자"를 정비구역 안의 건축물과 그 부속토지 소유자로 정의합니다. 따라서 땅만 소유한 사람은 조합원 자격이 없습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조 제9호 나목, 제19조 제1항) 당연히 조합 설립 동의의 대상도 아닙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16조 제2항, 제3항)

  2. 매도청구권 행사: 재건축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땅만 소유한 사람도 예외는 아닙니다. 땅만 소유한 사람은 조합 설립 동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일반적인 아파트 소유자에게 요구되는 최고(재건축 참여 여부를 묻는 절차) 없이도 매도청구가 가능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8조)

  3.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매도청구권은 조합설립등기 후 2개월 이내에 행사해야 합니다. 기간 내에 행사하지 않으면 효력을 잃습니다. 이는 매도청구 상대방의 권리를 보호하고 재건축 관련 법률관계를 빨리 확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땅만 소유한 사람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39조,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8조 제4항, 대법원 2000. 6. 27. 선고 2000다11621 판결, 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0다22812 판결)

  4. 매도청구권 행사 시점 기준: 재건축조합은 조합설립등기를 마친 때부터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2조 제8호, 제18조 제2항, 제39조)

요약하자면, 재건축 사업에서 땅만 소유한 사람은 조합원은 아니지만, 재건축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조합으로부터 매도청구를 당할 수 있습니다. 조합은 조합설립등기 후 2개월 안에 매도청구를 해야 하며, 이 기간을 넘기면 매도청구권은 효력을 잃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래시장 재건축 시 조합원 자격과 매도청구권 행사에 관한 법원의 판단

이 판례는 재래시장 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원 자격, 동의 철회 가능성, 매도청구권 행사 가능성 등에 대한 법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조합 설립 후 새로운 재건축 결의에 동의하지 않았다고 해서 기존 조합원 자격이 바로 상실되는 것은 아니며, 조합은 이들을 상대로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재래시장 재건축#조합원 자격#매도청구권#동의 철회

민사판례

재건축, 땅 주인이라고 무조건 내쫓을 수 있을까?

아파트 재건축 결의 전부터 건물 부분(구분소유권) 없이 땅만 소유하고 있던 사람에게는 재건축 조합이 땅을 팔라고 요구할 수 없습니다.

#재건축#매도청구#대지소유자#결의 이전

민사판례

아파트 재건축, 반대하는 사람의 소유권은 어떻게 될까?

낡은 아파트 재건축 시 반대하는 소유자에게도 재산권이 있지만, 공익을 위해 일정 조건 하에서는 재건축조합이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재건축조합이 매도청구 소송을 제기할 때 반드시 조합원 총회 결의를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아파트 재건축#매도청구권#재산권#공익

민사판례

재건축 매도청구, 알고 계신가요?

재건축에 동의하지 않는 소유주에 대한 조합의 매도청구권 행사와 관련하여, 조합 설립 과정의 하자, 동의서 내용, 매도청구권 행사 방식 등이 쟁점이 된 사례. 대법원은 조합 설립의 하자가 치유되었고, 동의서 내용과 매도청구권 행사 방식에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여 조합의 손을 들어주었다.

#재건축#매도청구권#조합설립#동의서

민사판례

재건축조합의 매도청구권, 그 핵심 쟁점 살펴보기

재건축조합이 재건축에 반대하는 소유자에게 매도청구 소송을 했을 때, 이 소송은 민사소송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조합 설립 동의서에 비용 분담 등의 내용이 추상적으로 기재되어 있더라도 관련 법령과 조합 정관에 구체적인 내용이 있다면 동의서는 유효하다.

#재건축조합#매도청구#민사소송#조합설립동의서

민사판례

재건축 조합 탈퇴 후 다시 조합원이 될 수 있을까?

재건축 조합 설립에 동의했다가 철회한 후 매도청구 소송에서 패소했더라도, 분양 신청 기간 전에 다시 조합 설립에 동의하면 조합원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재건축#조합설립동의#철회#재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