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3.12.12

일반행정판례

재건축 아파트, 일부 주민 반대로 사업 진행 못한다면?

아파트 재건축을 하려는데, 일부 주민들이 반대해서 사업이 진행되지 않는 답답한 상황, 겪어보셨나요? 이런 경우를 대비해 만들어진 법 조항이 바로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41조 (주택재건축사업의 범위에 관한 특례)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법 조항과 관련된 대법원 판례를 통해, 재건축 사업 진행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상가 주민들의 반대로 멈춰버린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 당시, 아파트 주민들은 대부분 재건축에 찬성했지만, 단지 내 상가 주민들의 반대로 조합 설립 인가를 받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재건축 추진위원회는 상가 부분 토지에 대한 분할을 법원에 청구했고, 이와 동시에 상가 주민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민들의 동의를 얻어 조합 설립 인가를 신청했습니다. 관할 구청은 이를 승인했고, 일부 주민들은 이 처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핵심 쟁점: 토지 분할 전, 새로운 동의서가 필요한가?

소송의 핵심은 토지 분할 소송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상가 주민들을 제외한 나머지 주민들의 동의만으로 조합 설립 인가를 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토지 분할을 전제로 한 새로운 조합 설립 동의서, 특별결의, 정관 변경 등이 필요한지 여부였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토지 분할 전이라도, 일정 요건 충족 시 조합 설립 인가 가능

대법원은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제41조는 다수의 토지 소유자의 피해를 방지하고 재건축 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특별 규정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법원에 토지분할이 청구된 경우, 분할 대상 토지 소유자 수가 전체의 10분의 1 이하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토지 분할이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조합 설립 인가를 받을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즉, 토지 분할을 전제로 한 새로운 조합 설립 동의서나 특별 결의, 정관 변경 등은 원칙적으로 필요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판결의 의미: 재건축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길

이 판결은 재건축 사업에 있어 일부 주민들의 반대로 사업 진행이 어려운 경우, 일정 요건을 갖추면 토지 분할 소송 진행 중에도 조합 설립 인가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이는 재건축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중요한 판례로, 많은 재건축 조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참고 조문: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10. 4. 15. 법률 제1026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건축 사업시행인가, 얼마나 찬성해야 할까?

재건축조합의 사업시행인가를 받을 때에는 조합 설립 시와 같은 엄격한 의결정족수가 필요하지 않으며, 사업시행계획이 초기 재건축결의 내용과 달라도 인가 자체는 유효하다.

#재건축#사업시행인가#의결정족수#재건축결의

민사판례

아파트 재건축, 알쏭달쏭한 법적 쟁점들 정리!

이 판례는 아파트 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재건축 결의, 조합 설립 결의, 조합원의 권리와 의무, 조합규약 개정 및 동호수 배정, 그리고 변론재개신청 등에 관한 법률적 쟁점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결의의 무효가 조합 설립 결의의 무효까지 이어지지는 않으며, 조합 설립 인가는 조합원 사이의 사법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재건축결의#조합설립결의#조합원권리의무#조합규약개정

일반행정판례

재건축조합 설립 변경과 사업시행계획 인가, 그 험난한 여정

이 판례는 재건축조합 설립 후 사업구역 확장 등 변경인가를 받을 때 필요한 동의 요건과, 선행 변경인가가 무효가 된 경우 후행 변경인가의 효력에 대해 다룹니다. 핵심은 변경인가 시에도 조합 설립 시와 같은 수준의 동의를 받아야 하지만, 정비계획 변경에 따른 사업구역 확장 등 일부 변경은 '경미한 변경'으로 보아 기존 동의를 유효하게 인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사업비 증액처럼 조합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변경은 조합원 3분의 2 이상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재건축조합#설립변경인가#동의요건#사업구역확장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조합설립 변경인가, 언제 새로운 조합설립인가로 볼 수 있을까?

기존 조합설립인가에 문제가 있어 새로 변경인가를 받을 때, 어떤 요건을 갖춰야 진짜 새로운 인가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이때 누구에게 동의를 받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조합설립변경인가#효력#동의요건#새로운총회

일반행정판례

재건축조합 설립인가, 그 후 변경과 동의에 관한 이야기

재건축조합 설립 인가에 필요한 동의 요건을 행정청이 잘못 해석하여 인가를 내준 경우, 그 하자가 명백하더라도 당연 무효는 아니며, 이후 변경인가가 있더라도 기존 인가처분에 대한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는 판결.

#재건축조합 설립인가#동의요건#하자#당연무효

민사판례

재건축 조합 설립 인가 문제로 다시 절차 밟으면 매도청구 할 수 있을까?

재건축조합 설립인가에 문제가 있어서 다시 절차를 밟아 조합설립변경인가를 받았다면, 이 변경인가가 새로운 설립인가와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이를 근거로 매도청구를 할 수 있다.

#재건축조합#설립인가#하자치유#변경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