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3.10.08

민사판례

지방도 관리 책임, 도에서 군으로 위임되면 누가 관리청일까?

지방도 관리는 누가 할까요? 도지사일까요, 아니면 군수일까요? 오늘은 지방도 관리 책임에 대한 흥미로운 판례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대법원 1993.04.27. 선고 93다6143 판결)

사건의 발단

원고는 이 사건 도로 부지에 대한 점유이득을 반환하라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원고는 도로를 점유하고 이득을 얻고 있는 주체는 경상북도라고 주장했죠. 그러나 원심은 도로법에 따라 지방도 관리청은 도지사이고, 사무 위임이 있더라도 기본적인 사항은 도지사 권한이므로 경상북도가 이득을 얻는 주체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원심의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도로법(제15조, 제22조 제1항, 제24조)에 따르면 지방도 관리 책임은 도지사에게 있습니다. 그러나 지방자치법(제95조 제2항)은 도지사가 조례로써 권한의 일부를 군수에게 위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죠.

이 사건에서는 경상북도지사가 사무위임조례를 통해 도로의 관리유지사무를 군수에게 위임했습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도로의 관리유지사무에 관한 관리청은 군수라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1991.11.12. 선고 91다22148 판결 참조)

또한, 군이 도로를 관리하는 것은 단순히 도를 위해서만이 아니라 군 자체에도 이익이 되는 것이므로, 관리청인 군에게 법률상 원인 없는 이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대법원 1991.7.12. 선고 91다1110 판결, 민법 제741조 참조)

결론

결국, 지방도라 하더라도 도지사가 조례로써 관리유지사무를 군수에게 위임한 경우, 해당 도로의 관리청은 군수가 됩니다. 그리고 군이 도로 관리를 통해 이득을 얻었다면, 법률상 원인 없는 이득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죠. 이 판례는 지방자치단체 간 사무 위임과 관련된 분쟁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지방도 관리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도지사가 관리 권한을 위임한 지방도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위임받은 군수 소속의 군에 손해배상 책임이 있다.

#지방도#관리위임#손해배상#군수

민사판례

우리 동네 길, 누가 관리할까요? 도로 점유에 관한 이야기

오랫동안 마을 주민들이 도로처럼 사용하던 사유지에 대해, 지자체가 주민들의 포장공사에 대부분의 비용을 지원하고 이후 도로 관리도 맡게 되었다면, 지자체가 그 땅을 점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사유지#도로#지자체 점유#대법원

민사판례

도로 관리 책임과 부당이득 반환 의무: 누가 책임져야 할까요?

상급 지자체(ex: 서울시)로부터 도로 관리 업무를 위임받은 하위 지자체(ex: 노원구)는 도로 부지를 점유·사용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따라서 토지 소유자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할 의무가 있다.

#도로관리#위임#하위지자체#부당이득

민사판례

도로 관리 책임, 누구에게 있을까요?

상급 지자체가 하급 지자체에 도로 유지·관리를 위임한 경우, 위임받은 하급 지자체 공무원의 과실로 사고가 발생해도 손해배상 책임은 상급 지자체에 있습니다.

#도로 유지·관리 위임#손해배상 책임#상급 지자체#기관 위임

일반행정판례

도지사가 군수에게 권한을 재위임할 수 있을까?

도지사가 장관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다시 군수에게 재위임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정부조직법에 따라 재위임이 가능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권한 재위임#도지사#군수#정부조직법

민사판례

국도 관리 책임, 누구에게 있을까?

국가가 지방자치단체에 국도 관리를 위임했더라도, 국가는 여전히 도로 관리상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져야 합니다. 또한, 비용 부담을 지는 지자체는 이를 근거로 손해배상 청구자에게 책임을 떠넘길 수 없습니다.

#국도 관리 위임#국가 배상 책임#지자체#손해배상 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