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여러 가지 규제에 맞닥뜨리게 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감차명령'인데요, 택시 공급 과잉을 막기 위해 행정청이 택시 회사에 택시 대수를 줄이도록 명령하는 것입니다. 만약 감차명령이 부당하다고 생각되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승소하여 확정판결을 받으면 행정청은 그 판결에 따라야 합니다. 이를 확정판결의 기속력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만약 행정청이 이전과는 다른 사유로 다시 감차명령을 내린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를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신미운수와 주호교통은 서울시로부터 택시 감차명령(종전 처분)을 받았습니다. 명의이용행위(택시 회사가 아닌 다른 사람이 택시 회사 명의로 택시 영업을 하는 것)를 했다는 이유였죠. 두 회사는 이에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명의이용행위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감차명령을 취소했습니다. 이 판결은 확정되었습니다(이 사건 확정판결).
그런데 서울시는 다시 두 회사에 감차명령(이 사건 처분)을 내렸습니다. 이번에는 소외 1, 소외 2 등에게 택시를 임대하여 명의이용행위를 하게 했다는 다른 이유였습니다. 두 회사는 또다시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이 사건 처분 중 일부는 확정판결의 기속력에 어긋난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확정판결의 기속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판시했습니다.
기속력 vs. 기판력: 취소 확정판결의 기속력(행정소송법 제30조 제1항)은 행정청이 판결 취지대로 행동해야 할 의무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반면 기판력(민사소송법 제216조, 제218조,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은 동일한 소송을 다시 제기할 수 없도록 하는 효력입니다.
다른 사유에 의한 처분 가능성: 종전 처분이 취소되었더라도, 다른 사유를 근거로 새로운 처분을 하는 것은 기속력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다만, 새로운 처분 사유가 종전 처분 사유와 기본적 사실관계에서 동일한 경우에는 기속력에 위배됩니다. 이때 '기본적 사실관계'는 법률적 평가 이전의 구체적 사실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사유의 발생: 행정청은 종전 처분 이후 발생한 새로운 사유를 근거로 다시 처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처분 사유가 종전 처분 당시 이미 존재했더라도, 그것이 종전 처분 사유와 기본적 사실관계에서 다르다면 기속력에 위배되지 않습니다.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 사건 처분 중 일부는 종전 처분과 기본적 사실관계가 동일하여 기속력에 위배되지만, 나머지 부분은 다른 사유에 해당하여 기속력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명의이용행위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형식적인 요소보다는 실질적인 사업 운영 주체, 손익 부담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12조 제1항)
핵심 정리
참조조문:
참조판례:
일반행정판례
택시회사가 불법 지입제 경영(명의이용금지 위반)으로 면허취소 처분을 받았는데, 처분 근거 법률 조항이 위헌 결정을 받은 후 다른 조항으로 변경되었더라도 면허취소 처분 자체는 유효하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지입 차량 비율, 위반 전력 등을 고려했을 때 면허취소 처분이 과도하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택시회사가 지자체와 맺은 감차 합의를 어길 경우, 지자체는 택시회사의 동의 없이도 강제로 택시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감차 명령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된다.
일반행정판례
개인택시 운전자의 운전면허가 취소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택시 사업면허까지 취소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면허 취소로 인한 개인의 불이익과 공익을 비교하여 판단해야 한다.
일반행정판례
택시 운행정지 처분을 받은 기사가 처분 기간이 끝난 후에도 그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향후 가중 처벌의 가능성 때문에 취소 소송을 제기할 이익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행정처분에 대한 집행정지 신청은 그 처분 자체가 정당한지 옳은지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집행정지가 필요할 정도로 긴급하고, 집행을 했다가 나중에 취소되더라도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일반행정판례
택시회사가 불법 지입(차량 명의만 빌려주고 실제 운영은 다른 사람이 하는 것)으로 면허취소 처분을 받았는데, 소송 중 관련 법 조항이 위헌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후 행정청이 법적 근거를 다른 조항으로 바꾸어 처분을 유지했는데, 대법원은 이를 합법적인 처분으로 인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