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3.17

일반행정판례

택지 소유 상한과 부설주차장에 대한 법 해석

안녕하세요! 오늘은 택지 소유 상한에 관한 법률과 부설주차장 관련 법률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좀 복잡해 보이지만, 차근차근 읽어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을 거예요.

1. 국가 등으로부터 택지를 사면 택지소유상한제 적용을 받을까?

국가, 지자체,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은 택지소유상한제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 제4조). 이건 공공의 역할 수행을 위한 특별한 배려 때문인데요. 만약 개인이나 일반 기업이 이들 공공기관으로부터 택지를 매입하면 어떻게 될까요?

대법원은 이 경우, 매입 전과 똑같이 사용하더라도 택지소유상한제 적용을 받는다고 판결했습니다. 공공기관에만 주어진 특혜이기 때문에, 개인이나 일반 기업이 택지를 사는 순간 일반적인 택지와 똑같이 취급되는 것이죠.

2. 부설주차장 인정 기준은 무엇일까?

택지소유상한제에서는 일정 면적 이상의 택지를 소유한 법인에게 초과소유부담금을 부과합니다. 그런데 모든 땅에 부담금을 매기는 건 아니고, 예외를 두는데요. 그 중 하나가 바로 '주차장법에 의한 부설주차장'입니다 (구 택지소유상한에관한법률시행령 제3조 제5호, 주차장법 제19조, 주차장법시행령 제6조).

그런데 주차장법이 시행되기 전부터 주차장으로 사용되던 땅은 어떻게 될까요? 주차장법 시행 이후 만들어진 '공식적인' 부설주차장만 혜택을 받을까요?

대법원은 여기서도 사실상 주차장으로 쓰였다면 인정해 줘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법의 목적이 택지의 고른 분배와 주거 안정이라면, 주차장법 시행 전후를 따지는 건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주차장으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실제로 사용되고 있었다면, 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대법원 1994.6.24. 선고 94누118 판결).

핵심 정리

  • 공공기관으로부터 택지를 매입하면 택지소유상한제 적용 대상이 됩니다.
  • 주차장법 시행 이전부터 사실상 주차장으로 사용된 토지는 초과소유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번 판결은 법률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하여 합리적인 해석을 내렸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복잡한 법률 문제도 핵심을 파악하면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과 관련된 판결 해설

택지소유상한법에 대한 위헌 여부, 그리고 택지 취득 허가 사유 및 부담금 면제 사유가 법에 명시된 것만 인정되는지(제한적·열거적 규정)에 대한 판결. 택지소유상한법은 합헌이며, 택지 취득 허가와 부담금 면제 사유는 법에 명시된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판결.

#택지소유상한법#위헌 여부#합헌#택지 취득 허가

일반행정판례

택지 취득 허가와 초과소유부담금, 주차장 면적의 관계

택지 취득 허가 시 제출한 사용계획서와 다르게 택지를 사용하면 초과소유부담금을 내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차장법 요건을 갖춘 부설주차장은 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사용계획#부설주차장

일반행정판례

주차장법 시행 전부터 사용한 주차장도 초과소유부담금 면제 대상일까?

주차장법 시행 이전부터 건물의 부설주차장으로 실제 사용되던 토지는, 설치 신고 여부와 관계없이 초과소유부담금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다.

#초과소유부담금#부설주차장#주차장법#사실상 사용

일반행정판례

택지초과소유부담금, 누구에게 부과되는 걸까요?

회사가 소유한 택지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줘서 운송 사업에 쓰이거나, 주차장법 시행 전부터 주차장으로 쓰였다고 해서 택지초과소유부담금을 면제받을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단, 법에서 정한 최소 주차장 면적은 부담금 계산에서 제외해야 합니다.

#택지초과소유부담금#임대택지#주차장#면제요건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알쏭달쏭 택지 개념 완벽 정리!

등기부상 지목이 '대'인 토지는 실제 용도와 무관하게 택지소유상한법의 적용을 받으며, 건축물이 있더라도 부속토지를 제외한 나머지 땅은 택지로 간주됩니다. 법인 소유 토지의 부속토지 범위를 개인보다 작게 계산하는 시행령 규정은 합헌입니다. 또한, 불법 건축물의 부속토지는 택지로 봅니다.

#택지소유상한법#지목 '대'#부속토지#불법건축물

일반행정판례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위헌 여부 및 초과소유부담금 부과 제외 사유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자체는 위헌이 아니며, 초과 소유 부담금 면제는 법에 명시된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택지소유상한제#위헌여부#초과소유부담금#면제사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