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12.22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매매와 가처분, 그리고 경매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를 사고팔 때는 복잡한 법적 절차가 따르는데요, 오늘은 허가 없이 체결된 매매계약의 효력과 가처분, 그리고 경매와 관련된 법원의 판단을 살펴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사람이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를 매수하기로 계약했지만, 관할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매도인이 토지를 다른 사람에게 팔려고 하자, 매수인은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해 처분금지가처분을 신청했습니다. 이후 해당 토지가 경매로 넘어가 제3자가 낙찰받았는데, 이 제3자는 가처분의 효력을 주장하는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법원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에 대한 매매계약은 허가를 받아야 효력이 발생하지만, 허가 전이라도 매도인과 매수인은 서로 협력하여 허가를 받을 의무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매수인은 토지거래허가신청절차청구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처분금지가처분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민법 제568조, 민사소송법 제714조)

이러한 가처분이 집행된 후에 제3자가 경매로 토지를 낙찰받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가처분채권자인 매수인의 권리보전에 대항할 수 없습니다. (민사소송법 제719조) 즉, 경매 낙찰자는 가처분의 효력을 무시하고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허가신청이 요건 미비로 불허가되었다 하더라도, 보정이 가능한 경우라면 계약이 확정적으로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보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계약이 확정적으로 무효가 됩니다. (국토이용관리법 제21조의3, 민법 제568조)

마지막으로, 가처분 집행 후 토지 소유권이 경매로 타인에게 이전되었다 하더라도, 가처분의 효력은 유지되므로 계약이 확정적으로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가처분채권자는 여전히 새로운 소유자에게 가처분의 효력을 주장할 수 있고, 계약의 효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국토이용관리법 제21조의3 (토지거래계약에 관한 허가)
  • 민법 제568조 (매매의 의의)
  • 민사소송법 제714조 (가처분의 요건)
  • 민사소송법 제719조 (가처분의 효력)
  •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0다12243 전원합의체 판결
  • 대법원 1993. 3. 9. 선고 92다56575 판결
  • 대법원 1994. 12. 27. 선고 94다4806 판결
  • 대법원 1995. 5. 26. 선고 95다481 판결
  • 대법원 1997. 3. 25. 선고 96다54164 판결
  • 대법원 1993. 1. 12. 선고 92다36830 판결
  • 대법원 1995. 2. 28. 선고 94다51789 판결
  • 대법원 1996. 6. 28. 선고 95다54501 판결
  • 대법원 1997. 9. 12. 선고 97다6971 판결
  • 대법원 1997. 11. 11. 선고 97다36965, 36972 판결
  •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다41318, 41325 판결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매매는 복잡한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가처분, 함부로 하면 안되는 이유

허가구역 내 토지의 허가 전 매매계약은 효력이 없으므로, 이를 근거로 한 가처분도 효력이 없다. 또한, 가처분 이후 허가를 받았더라도 가처분의 효력이 되살아나는 것은 아니다. 만약 가처분 당시 피보전권리가 없었다면, 가처분의 취소를 구할 수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가처분#사정변경#취소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매매계약, 허가 없으면 무조건 무효?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허가 없이 이루어진 토지 매매계약의 효력은 '처음부터 허가를 받지 않기로 했는지' 또는 '허가를 받을 것을 전제로 했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법원은 당사자의 주장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무허가 매매계약#효력#허가 배제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매매, 허가 안 나면 어떻게 될까?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의 허가 없는 매매계약은 토지가 제3자에게 경매로 넘어가면 확정적으로 무효가 된다. 이 경우, 매수인은 실제 지급한 금액만 돌려받을 수 있고, 계약 자체가 무효이므로 단순히 계약서상의 금액을 근거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없다. 다만, 매매계약 이전에 존재하던 채권채무관계는 유효하게 존속한다.

#토지거래허가#매매계약#무효#부당이득반환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매매, 허가 전에는 효력 없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는 거래 허가를 받기 전까지는 매매계약 효력이 없으므로, 허가 전에 매도인이 계약을 어겨도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매매계약#효력#손해배상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매매, 알고 계약하자!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 매매는 허가 전까지 '유동적 무효' 상태이며, 허가 협력 의무 불이행이나 계약 철회 시 손해배상 약정이 유효합니다. 계약이 확정적으로 무효가 되는 시점은 쌍방이 허가 신청을 하지 않기로 한 때입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지매매#유동적 무효#허가협력의무

민사판례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땅 매매, 허가 없이 했다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허가 없이 토지를 샀다면, 매수인은 매도인이 제3자에게 등기를 넘겨버린 경우에도 매도인을 대신해서 그 등기를 없앨 수 있다. 또한, 허가를 피하려고 돈을 주고 산 땅을 증여받은 것처럼 등기했다면 그 등기는 무효다.

#토지거래허가구역#허가 없는 매매#대위 말소등기#채권자대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