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8.10.15

형사판례

헌법 위반 법률로 진행된 재판은 무효! + 임금 체불, 무조건 불법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흥미로운 대법원 판결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번 판결은 헌법에 위반되는 법률을 적용한 재판은 무효라는 점과, 임금 체불에 대한 법률 해석을 다루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함께 살펴볼까요?

사건의 개요

피고인은 임금 및 퇴직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재판을 받았습니다. 1심 법원은 피고인에게 소환장을 보냈지만 송달되지 않았고, 피고인의 소재도 확인되지 않자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3조'를 적용하여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하여 유죄를 선고했습니다. 이에 불복한 피고인은 항소했습니다.

쟁점 1: 헌법 위반 법률 적용

문제는 1심에서 적용된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3조'가 이미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97헌바22)을 받아 효력을 잃었다는 점입니다. 이 법 조항은 피고인의 소재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피고인 없이 재판을 진행할 수 있도록 규정했는데, 헌법재판소는 이것이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은 헌법에 위배되는 법률을 적용한 1심 재판은 무효라고 판시했습니다. 피고인에게는 재판에 참석하여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증거를 제출할 권리가 있는데, 1심은 이러한 기회를 박탈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1심 법원으로 돌려보냈습니다(환송).

쟁점 2: 임금 체불과 기일 연장 합의

두 번째 쟁점은 임금 및 퇴직금 지급 기일 연장에 관한 것입니다. '구 근로기준법 제30조'는 임금 등은 지급 사유 발생일로부터 14일 이내에 지급해야 하지만,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당사자 합의로 기일을 연장할 수 있다고 규정했습니다. 그런데 '구 근로기준법시행령 제12조'는 이 기일 연장을 3개월 이내로 제한했습니다.

대법원은 시행령이 법률에서 정한 내용보다 형벌 범위를 넓히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시행령은 법률의 위임 범위 내에서만 제정되어야 하는데, '구 근로기준법시행령 제12조'는 모법의 위임 없이 형사처벌 대상을 확대했으므로 위임입법의 한계를 벗어나 무효라고 판시했습니다. 죄형법정주의(헌법 제12조 제1항, 제13조 제1항, 형법 제1조 제1항) 원칙 위반인 것입니다.

이 사건에서 피고인은 근로자들과 임금 및 퇴직금 지급 기일을 연장하는 합의를 했습니다. 비록 3개월을 초과했지만, 유효한 합의가 있었으므로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핵심 정리

  • 헌법에 위반되는 법률로 진행된 재판은 무효입니다.
  • 법률의 위임 없이 시행령에서 형벌 범위를 확대할 수 없습니다.
  • 임금 및 퇴직금 지급 기일은 당사자 합의로 연장할 수 있으며, 유효한 합의가 있다면 기일 연장 기간이 3개월을 초과하더라도 형사처벌 대상이 아닙니다.

참고 조문 및 판례

  •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3조
  • 헌법 제12조 제1항, 제13조 제1항
  • 형법 제1조 제1항
  • 구 근로기준법 제30조(현행 제36조 참조), 제109조(현행 제112조 참조)
  • 구 근로기준법시행령 제12조(현행 제13조 참조)
  • 헌법재판소 1998. 7. 16. 선고 97헌바22 결정
  • 대법원 1989. 9. 26. 선고 89도550 판결
  • 대법원 1995. 4. 25. 선고 94도2347 판결
  • 대법원 1996. 11. 28.자 96모100 결정

이번 판결은 헌법과 법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례입니다. 법 앞에 모든 국민은 평등하며, 정당한 법적 절차를 통해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퇴직금 및 임금 체불, 그리고 투자 사기 미수 사건

항공사 대표가 직원들 임금을 체불하고 투자금을 받았다고 거짓말하며 돈을 빌린 혐의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임금 체불과 사기 혐의를 유죄로 판결했습니다. 또한, 위조된 예금통장 사본을 이용한 사기 시도를 중지미수가 아닌 사기미수로 판단했습니다.

#임금체불#사기#사문서위조#사기미수

민사판례

못 받은 돈, 받을 수 있을까? - 임금 체불과 시효, 그리고 신의성실

학교법인이 교직원들에게 체불임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하고 일부를 지급했음에도 나머지 임금에 대해 소멸시효가 지났다고 주장한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어긋난다는 대법원 판결.

#임금체불#학교법인#소멸시효#권리남용

일반행정판례

헌법 위반 법률에 따른 행정처분, 무효일까?

헌법재판소가 어떤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하기 *전*에, 그 법률에 따라 이루어진 행정처분은 원칙적으로 유효합니다. 즉, 위헌 결정이 나기 전까지는 그 법률에 기반한 행정처분은 무효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헌법재판소#위헌결정#행정처분#효력

형사판례

상소 중 구금기간 산입, 헌법 위반 아니다!

재판이 길어져서 상소(항소, 상고) 후 판결 전까지 구금된 기간을 형기에 산입하는 법 조항(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은 합헌이다.

#상소후판결전구금일수산입#합헌#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24조#재판지연방지

민사판례

위헌 법률에 따른 행정처분, 무조건 무효일까?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난 법률을 근거로 이루어진 과거의 행정처분은 무조건 무효인 것은 아니며, 법원이 위헌 여부 심판 중인 법률 관련 소송에서 판결을 미루지 않고 선고할 수 있다.

#위헌 법률#행정처분 효력#위헌 심판 계류#소송 진행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헌법재판소 위헌 결정의 효력은?

정년퇴직한 공무원은 면직처분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할 실익이 없으며,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은 위헌결정 이후 제소된 사건에도 효력이 있다.

#면직처분 무효확인#확인의 이익#헌법재판소#위헌결정 효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