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1995.05.09

형사판례

현행범 체포, 어디까지 허용될까요?

경찰관에게 폭행을 행사한 피고인이 공무집행방해죄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오늘은 현행범 체포의 요건과 절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주민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들이 피고인을 연행하려고 하자, 피고인이 이를 거부하며 경찰관에게 폭행을 가했습니다. 검찰은 피고인을 공무집행방해죄로 기소했지만, 법원은 피고인의 행위가 정당하다고 판단했습니다.

현행범 체포의 요건: 시간적, 장소적 근접성 + 명백한 증거

형사소송법 제211조 제1항은 '범죄의 실행 직후인 자'를 현행범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대법원은 이에 대해 "체포하는 자가 볼 때 범죄 실행행위를 종료한 직후의 범인이라는 것이 명백한 경우"라고 해석합니다. 즉, 단순히 시간적으로 가깝다고 해서 무조건 현행범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시간과 장소를 고려했을 때, 체포 대상이 방금 범죄를 저지른 범인이라는 명백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대법원 1991.9.24. 선고 91도1314 판결, 1993.8.13. 선고 93도926 판결).

이 사건에서는 싸움이 이미 종료된 후 피고인이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였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피고인을 현행범으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현행범 체포의 절차: 범죄사실 고지, 체포 이유 설명, 변호인 선임권 고지, 변명 기회 부여

현행범으로 체포하더라도, 정당한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헌법 제12조, 형사소송법 제72조, 제212조에 따라, 경찰관은 피의자에게 다음 사항을 고지해야 합니다.

  • 범죄사실의 요지
  • 체포의 이유
  • 변호인을 선임할 수 있음

그리고 피의자에게 변명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강제로 연행하는 것은 적법한 공무집행이 아닙니다 (대법원 1994.3.11. 선고 93도958 판결, 1994.10.25. 선고 94도2283 판결).

이 사건에서 경찰관들은 현행범 체포 절차를 따르지 않았고, 스스로도 임의동행을 요청하려 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따라서 법원은 피고인의 폭행이 적법한 공무집행을 방해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결론

현행범 체포는 엄격한 요건과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단순히 범죄 발생 시간과 가깝다는 이유만으로, 또는 정당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는 함부로 체포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원칙을 지키는 것이 개인의 기본권을 보호하고, 공권력의 남용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 경찰관 체포 과정에서의 저항, 공무집행방해죄 성립할까?

경찰관이 현행범을 체포한 후에 범죄사실 등을 고지했더라도, 그 체포 과정이 정당하다면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할 수 있다. 체포 장소와 시간 등이 기록과 조금 다르더라도, 그 차이가 사소하다면 체포는 여전히 적법하다고 볼 수 있다.

#현행범 체포#고지 의무#공무집행방해죄#적법한 공무집행

형사판례

현행범 체포, 언제까지 가능할까? - 교사 협박 사건으로 알아보는 현행범 체포의 조건

범죄 직후 상당한 시간이 지나고 다른 장소에서 발견된 사람을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체포가 위법한 경우 체포를 방해한 행위가 공무집행방해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현행범 체포#공무집행방해#위법 체포#시간적 근접성

형사판례

현행범 체포, 어디까지 정당한가? - 정당방위와 불법체포

진짜 현행범이 아닌 사람을 경찰이 현행범으로 체포하려 할 때, 저항하다가 경찰에게 상해를 입히면 정당방위로 인정될 수 있다.

#현행범체포#정당방위#불법체포#저항

형사판례

경찰의 강제 연행, 정당한 공무집행일까요? - 공무집행방해죄 성립 여부

경찰이 긴급구속 사유가 없는 사람을 강제로 연행하려 할 때, 저항하여 경찰관을 폭행하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경찰의 공무집행은 적법해야 하며, 단순히 임의동행을 거부한다는 이유로 강제 연행하는 것은 불법이기 때문입니다.

#강제연행#임의동행거부#공무집행방해죄#적법성

형사판례

목욕탕 싸움 후 현행범 체포, 정당한 공무집행이었을까?

목욕탕에서 다른 사람을 폭행한 피고인을 경찰이 현행범으로 체포한 것이 정당한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피고인이 폭행 직후 현장에서 체포되었으므로 현행범 체포 요건을 충족한다고 판단하여, 원심의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목욕탕#폭행#현행범#체포

형사판례

경찰관의 부당한 연행, 폭행으로 제지해도 공무집행방해죄 아니다!

벌금 5만원 이하 등의 경미한 범죄 현행범을 경찰이 영장 없이 강제 연행하려 할 때, 이를 막기 위해 경찰에게 폭행을 가했더라도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판례.

#경미한 범죄#현행범#불법 연행#공무집행방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