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압류말소회복등기

사건번호:

2000다29295

선고일자:

200208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경매신청의 기입등기가 이루어진 후에 제3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고 그 제3자가 경락인이 되어 경락대금을 완납한 상태에서 그 제3자를 채무자로 하여 이루어진 가압류등기도 경락대금의 완납에 의하여 실효 되는지 여부(적극) [2] 경매신청의 기입등기 후에 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고 갑이 경락인이 되어 경락대금을 완납한 상태에서 갑의 채권자인 을이 가압류를 하였는데 경매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와 을 명의의 가압류등기가 모두 말소된 다음 갑 명의로 낙찰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이루어지고 이에 터 잡아 병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경료된 경우, 을은 병을 상대로 말소된 가압류등기의 회복등기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를 구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부동산의 권리를 취득한 제3자가 그 취득할 때에 경매신청 또는 압류 있음을 알았을 경우에는 압류에 대항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구 민사소송법 제609조 제1항) 경매신청의 기입등기가 이루어진 후에 경료된 제3취득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경락인에게 대항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경락인이 인수하지 아니한 부동산 위의 부담의 기입에 해당하여 경락대금의 완납이 있는 경우에는 법원이 직권으로 그 말소를 촉탁하여야 하는 것이고(위 같은 법 제661조 제1항), 그 제3취득자를 채무자로 하여 이루어진 압류 또는 가압류의 등기는 경락대금의 완납에 의하여 실효되는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그 제3취득자가 경락인이 되었다거나 그 제3취득자를 채무자로 한 압류 또는 가압류의 등기가 경락대금의 완납이 있은 후에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달라지지 아니한다. [2] 경매신청의 기입등기 후에 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고 갑이 경락인이 되어 경락대금을 완납한 상태에서 갑의 채권자인 을이 가압류를 하였는데 경매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갑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와 을 명의의 가압류등기가 모두 말소된 다음 갑 명의로 낙찰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이루어지고 이에 터 잡아 병 명의의 근저당권설정등기가 경료된 경우, 을은 병을 상대로 말소된 가압류등기의 회복등기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를 구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민사소송법(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9조 제1항(현행 민사집행법 제92조 제1항 참조) , 제661조 제1항(현행 민사집행법 제144조 제1항 참조) / [2] 구 민사소송법(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09조 제1항(현행 민사집행법 제92조 제1항 참조) , 제661조 제1항(현행 민사집행법 제144조 제1항 참조) , 부동산등기법 제7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상도동동아지역주택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황철수) 【피고,상고인】 한국창업투자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건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5. 15. 선고 99나58725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1.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 가. 원심은 그 내세운 증거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인정하였다. ⑴ 이 사건 부동산은 정문원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마쳐져 있었는데, 전상희가 정문원을 채무자로 하여 위 부동산에 관하여 서울지방법원 95타경31721호로 부동산강제경매를 신청하였고, 법원이 이를 받아들여 1995. 7. 31. 강제경매기입등기가 마쳐졌다. ⑵ 1995. 8. 9.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원심공동피고 김영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이하 '구등기'라 한다)가 마쳐졌으나, 위 95타경31721호 강제경매절차가 진행되자 김영선은 입찰에 참가하여 1996. 3. 13. 낙찰허가결정을 받고 같은 해 5. 22. 낙찰 대금을 전액 납부하였다. ⑶ 원고는 김영선에 대한 111,079,821원의 약속어음금채권을 피보전채권으로 하여 서울지방법원 96카단9946호로 부동산가압류신청을 하였고, 같은 해 9. 12.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가압류등기(이하 '이 사건 가압류등기'라 한다)가 마쳐졌다. ⑷ 경매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1997. 6. 23.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낙찰허가결정을 원인으로 김영선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이하 '신등기'라 한다)가 마쳐지면서 강제경매기입등기 및 김영선 명의의 명의신탁해지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와 함께 이 사건 가압류등기도 모두 말소되었다. ⑸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1997. 6. 27. 피고 한국창업투자 주식회사를 근저당권자로 하는 근저당권설정등기가 마쳐지고, 1998. 6. 20. 원심공동피고 기술신용보증기금 명의의 가압류등기가 마쳐졌다. 나. 원심은 이러한 사실관계에 기초하여, 이 사건 가압류등기신청은 김영선이 낙찰대금을 완납함으로써 이 사건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 후에 한 것인데, 가압류 당시 등기부상 소유자와 낙찰로 인한 소유권취득자가 동일인인 관계로 채권자대위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지 아니한 채 일단 가압류기입등기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 가압류등기는 실질적으로 낙찰자가 낙찰대금을 완납하여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함으로써 압류의 효력이 소멸된 후의 가압류등기로서 낙찰자에게 대항할 수 있는 것이므로 민사소송법 제661조 제1항 제2호 규정의 경락인이 인수하지 아니한 부동산 위의 부담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따라서 집행법원이 촉탁에 의하여 위 가압류등기를 말소한 것은 부적법하므로 회복되어야 할 것이고,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인 피고는 위 가압류등기의 말소회복등기를 함에 대하여 승낙의 의사표시를 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2. 대법원의 판단 부동산의 권리를 취득한 제3자가 그 취득할 때에 경매신청 또는 압류 있음을 알았을 경우에는 압류에 대항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구 민사소송법 제609조 제1항) 경매신청의 기입등기가 이루어진 후에 경료된 제3취득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경락인에게 대항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경락인이 인수하지 아니한 부동산 위의 부담의 기입에 해당하여 경락대금의 완납이 있는 경우에는 법원이 직권으로 그 말소를 촉탁하여야 하는 것이고(위 같은 법 제661조 제1항), 그 제3취득자를 채무자로 하여 이루어진 압류 또는 가압류의 등기는 경락대금의 완납에 의하여 실효되는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그 제3취득자가 경락인이 되었다거나 그 제3취득자를 채무자로 한 압류 또는 가압류의 등기가 경락대금의 완납이 있은 후에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달라지지 아니하는 것이다 . 이 사건에서 원고의 가압류등기는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경매신청의 기입등기 후에 경료된 김영선(제3취득자) 명의의 구등기에 터잡아 위 김영선을 채무자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므로 경락대금이 완납된 후 경매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제3취득자인 김영선 명의의 구등기와 위 가압류등기가 말소된 것은 위의 법리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법하고, 따라서 위 가압류등기가 회복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원고가 위 가압류등기로써 경락인에게 대항할 수 있다는 전제 아래 이를 말소한 것은 부적법하므로 회복되어야 할 것이고 피고는 그 회복등기에 대한 승낙의 의사표시를 할 의무가 있다고 판단하고 말았으니, 원심판결에는 경매신청 기입등기 및 압류의 효력과 말소회복등기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윤재식 이규홍(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압류된 부동산, 새 주인의 빚 때문에 경매되면 가압류는 어떻게 될까?

가압류된 부동산이 새 주인에게 넘어간 후 경매로 팔리면, 가압류는 보통 말소됩니다. 하지만 새 주인이 가압류를 떠안는 조건으로 경매가 진행되었다면 가압류는 유효하게 남아있습니다. 따라서 경매가 진행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가압류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경매 과정을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가압류#부동산경매#말소#인수

민사판례

잘못 말소된 가압류, 경매 후에는 어떻게 될까?

부동산에 걸려있던 가압류가 실수로 삭제된 후, 그 부동산이 다른 사람에게 팔리고 경매까지 진행되었다면, 원래의 가압류는 효력을 잃습니다. 단, 경매 과정에서 가압류가 있다는 사실을 명시하고 매수자가 이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경매가 진행된 경우는 예외입니다. 또한, 가압류를 다시 등기하려면 현재 등기부상 소유자의 동의가 필요한데, 법적으로 동의해야 할 의무가 없는 한 소유자는 동의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가압류#말소#경매#효력소멸

민사판례

가등기 후 가압류, 그리고 경매… 내 집은 누구 것?

가등기된 부동산에 가압류가 설정된 후 본등기가 이루어지고 제3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었더라도, 가압류 채권자는 제3자에 대해 가압류의 효력을 주장할 수 있으며, 가압류 채권자의 경매 신청으로 낙찰받은 사람의 소유권은 유효합니다.

#가등기#가압류#본등기#제3자

민사판례

경매로 가압류 등기가 말소되어도 가압류 취소신청 가능할까?

부동산 경매로 가압류 등기가 말소되었다 하더라도 가압류 결정 자체는 유효하며, 이해관계인은 가압류 취소를 신청할 수 있다. 특히 경매 배당금이 공탁되어 있는 경우, 후순위 채권자는 가압류 취소로 추가 배당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가압류 취소 신청의 이익이 있다.

#가압류#경매#말소#효력유지

민사판례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가압류의 효력과 한계

돈을 빌려주고 못 받았을 때, 채무자가 갖고 있는 부동산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을 가압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가압류는 채무자와 제3채무자 사이에만 효력이 있고, 제3자가 해당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했을 경우에는 그 소유권에 대항할 수 없습니다.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가압류#효력범위

상담사례

억울하게 가압류가 사라졌어요! 내 권리는 어떻게 되나요?

부당하게 말소된 가압류라도 제3자에게 소유권 이전 후 경매로 새로운 소유자가 탄생하고 매각대금이 완납되면 해당 가압류는 효력을 잃는다.

#가압류#말소#경매#매각대금완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