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무효확인

사건번호:

2001다54038

선고일자:

2001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소속 직원의 근로관계의 성질 [2] 종합유선방송위원회가 사무국 조직을 축소·개편하여 그 정원을 감축하면서 정원 외 직원을 직권면직한 것은 근로기준법상의 정리해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구 종합유선방송법(2000. 1. 12. 법률 제6139호로 전문 개정된 방송법 부칙 제2조 제2호에 따라 폐지)상의 종합유선방송위원회는 그 설치의 법적 근거, 법에 의하여 부여된 직무, 위원의 임명절차 등을 종합하여 볼 때 국가기관이고, 그 사무국 직원들의 근로관계는 사법(私法)상의 계약관계이므로, 사무국 직원들은 국가를 상대로 민사소송으로 그 계약에 따른 임금과 퇴직금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2] 종합유선방송위원회가 사무국 조직을 축소·개편하여 그 정원을 감축하면서 정원 외 직원을 직권면직한 것은 근로기준법상의 정리해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종합유선방송법(2000. 1. 12. 법률 제6139호로 전문 개정된 방송법 부칙 제2조 제2호에 따라 폐지) 제42조 / [2] 근로기준법 제31조 , 구 종합유선방송법(2000. 1. 12. 법률 제6139호로 전문 개정된 방송법 부칙 제2조 제2호에 따라 폐지) 제42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8. 22. 선고 98두9295 판결(공2000하, 202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대한민국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동진 외 5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 1. 7. 11. 선고 2000나58516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1. 원심이, 구 종합유선방송법(2000. 1. 12. 법률 제6139호로 전문 개정된 방송법 부칙 제2조 제2호에 따라 폐지)상의 종합유선방송위원회는 그 설치의 법적 근거, 법에 의하여 부여된 직무, 위원의 임명절차 등을 종합하여 볼 때 국가기관이고, 그 사무국 직원들의 근로관계는 사법(私法)상의 계약관계이므로, 원고들은 국가를 상대로 민사소송으로 그 계약에 따른 임금과 퇴직금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종합유선방송위원회가 그 사무국의 조직을 축소 개편하여 그 정원을 감축함에 따라 정원을 초과하는 인원수에 해당하는 직원들을 직권면직한 것은 근로기준법상 경영상의 이유에 의한 해고에 해당하는데, 합리적이고 공정한 해고의 기준에 따라 그 대상자를 선정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원고들에 대한 직권면직이 무효라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의 부담을 정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회사의 부당한 전직과 해고, 정당한 이유 없다면 무효!

신문사가 경영진을 비판한 기자들을 업무직으로 전직시키고, 이에 항의하자 해고한 것은 부당하다고 판결. 전직과 해고 모두 회사의 권리 남용이며, 특히 해고는 노조 활동을 방해하기 위한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한다고 판단.

#부당전직#부당해고#권리남용#부당노동행위

민사판례

직위해제, 징계, 그리고 부당해고에 대한 법원의 판단

직위해제 후 동일 사유로 징계처분을 받으면 직위해제는 효력을 잃는다. 징계 재심에서 새로운 사유를 추가할 수 없고, 일부 징계사유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나머지 사유로 징계가 정당하다면 징계는 유효하다. 부당해고가 불법행위가 되려면 해고가 악의적이거나 명백한 잘못에 기반해야 한다.

#직위해제#징계처분#징계사유#징계양정

일반행정판례

부당해고 판결, 법원은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까?

법원은 부당해고 소송에서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으며, 회사가 해고의 정당성을 입증해야 합니다. 또한, 해고는 단체협약과 취업규칙의 관계에 따라 정해진 사유로만 가능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단체협약에 어긋나는 취업규칙으로 해고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부당해고#직권조사#변론주의#단체협약

생활법률

억울한 해고?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는 NO! 알아두면 쓸모 있는 해고 관련 법률 지식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는 불법이며, 사용자는 해고의 정당성을 입증해야 한다.

#부당해고#정당한 이유#해고 종류#입증 책임

일반행정판례

회사 징계, 부당노동행위일까?

회사가 단체협약을 위반하거나 확정되지 않은 범죄를 징계사유로 삼아 해고하더라도, 그 자체만으로는 부당노동행위라고 볼 수 없다는 판결.

#징계해고#절차적 하자#부당노동행위#실질적 이유

민사판례

부당해고와 징계위원회 구성에 관한 대법원 판결 해설

이 판례는 부당해고 구제명령이 확정되었다고 사용자가 민사소송에서 해고의 정당성을 다툴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징계위원회를 노사 동수로 구성해야 한다면 근로자 의견을 반영하여 위원을 선정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부당해고#구제명령#징계위원회#노사동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