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2002다64872

선고일자:

20030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보험계약에서 피보험자에게 보험료 지급을 최고하지 않고 보험금 미지급을 이유로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주소변경통보 불이행시 종전 주소지를 보험회사 의사표시의 수령장소로 본다는 보험약관의 효력(한정 유효)

판결요지

[1] 분할보험료가 약정한 시기에 지급되지 아니한 경우 보험자는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보험계약자에게 최고하고 그 기간 안에 보험료가 지급되지 아니한 때에는 그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으나,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때에는 상법 제650조 제3항에 따라 피보험자에게도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보험료의 지급을 최고한 뒤가 아니면 그 계약을 해지하지 못한다. [2]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가 주소변경을 통보하지 아니하는 한 보험증권에 기재된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주소를 보험회사의 의사표시를 수령할 지정장소로 본다는 개인용 자동차보험 특별약관의 규정은 보험회사가 과실 없이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주소 등 소재를 알지 못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된다.

참조조문

[1] 상법 제650조 제2항, 제3항/ [2] 상법 제650조 제3항, 제663조, 약관의규제에관한법률 제9조 제2호, 제12조 제3호

참조판례

[2] 대법원 1991. 12. 24. 선고 90다카23899 전원합의체판결(공1992, 652), 대법원 2000. 10. 10. 선고 99다35379 판결(공2000하, 2297)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현대해상화재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양동학) 【피고,상고인】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명택) 【원심판결】 광주지법 2002. 8. 30. 선고 2002나 194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분할보험료가 약정한 시기에 지급되지 아니한 경우 보험자는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보험계약자에게 최고하고 그 기간 안에 보험료가 지급되지 아니한 때에는 그 보험계약을 해지할 수 있으나, 보험계약자와 피보험자가 다른 때에는 상법 제650조 제3항에 따라 피보험자에게도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보험료의 지급을 최고한 뒤가 아니면 그 계약을 해지하지 못한다. 한편, 이 사건 보험계약에 적용되는 개인용자동차보험 특별약관의 보험료 분할납입특별약관 제3조 제3항은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가 주소변경을 통보하지 아니하는 한 보험증권에 기재된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주소를 보험회사의 의사표시를 수령할 지정장소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 규정은 보험회사가 과실 없이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의 주소 등 소재를 알지 못한 경우에 한하여 적용된다( 대법원 2000. 10. 10. 선고 99다35379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가 이 사건 보험계약에 따른 분할보험료가 지급되지 아니하자 보험계약자인 소외 1에게 보험료 납입을 최고하는 한편, 보험료를 지급하지 아니하면 보험계약이 해지된다는 통지를 하였으나, 피보험자인 소외 2에게도 이러한 통지를 하였다고 볼 수 없으므로, 소외 1에 대한 보험료 납입최고기간이 지났고 그 기간 안에 보험료가 지급되지 아니하였다는 사유만으로 이 사건 보험계약이 해지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든 주장과 같은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피고가 부담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자동차보험료 납부, 주소 바뀌었는데 계약 해지됐다고요? 잠깐!

자동차보험료 미납으로 계약 해지 시, 보험회사는 변경된 주소 확인 등 주의 의무를 다해야 하며, 이를 게을리하여 발생한 해지는 부당하다.

#자동차보험료#납부#주소변경#계약해지

민사판례

보험료 납부 깜빡했는데, 보험사가 바로 계약 해지해도 될까요?

보험료를 연체했더라도 보험사가 계약자에게 제대로 된 통지 없이 일방적으로 보험계약을 해지하거나 실효시키는 것은 위법입니다. 계약자의 주소나 연락처가 바뀌었더라도 보험사는 최고(독촉)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보험료 연체#최고(독촉) 절차#보험계약 해지/실효 무효#주소/연락처 변경

민사판례

보험료 밀렸다고 바로 보험계약 해지? 안 됩니다!

보험료 분납 약정이 있는 경우, 보험료를 연체했다고 해서 보험사가 바로 보험계약을 해지하거나 실효시키는 약관은 무효입니다. 보험사는 반드시 상당한 기간을 정해 납입을 독촉하고, 그 기간 내에도 납입하지 않을 경우에만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보험료 연체#계약 해지/실효 무효#분납 약정#납입 최고

상담사례

보험료 안 냈다고 보험금 토해내야 하나요? 😱

보험료 연체로 보험계약이 해지됐더라도 연체 *전* 발생 사고의 보험금은 반환할 필요 없지만, 연체 *후* 발생 사고는 보장받지 못한다.

#보험료 연체#보험금 반환#상법 제655조#대법원 판례

생활법률

보험계약 해지,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

보험 해지는 가입자(임의해지), 보험회사 파산, 보험회사(보험료 연체, 고지의무 위반, 위험 변경 미고지 등)에 의해 가능하며, 해지 시 해약환급금은 납입 보험료보다 적을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보험금 지급이 제한될 수 있음.

#보험해지#임의해지#보험회사파산#보험료연체

민사판례

보험료 밀렸다고 바로 보험 해지? 안 돼요!

보험료를 분할 납부하기로 약정한 경우, 보험료를 제때 내지 못했다고 해서 보험회사가 바로 보험계약을 해지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보험회사는 반드시 상당한 기간을 주고 납부를 독촉(최고)해야 하며, 그 기간 내에도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만 해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화물차 공제조합의 공제계약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보험료#분납#체납#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