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특수공무집행방해·업무방해·공문서위조·위조공문서행사

사건번호:

2003도687

선고일자:

2003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기업의 경영권을 헌법상의 권리로 볼 수 있는지 여부(적극) 및 그 내용 [2] 경영권과 노동3권이 충돌하는 경우에 이를 조화시키는 한계를 설정하는 기준 [3] 구조조정이나 합병 등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경영주체의 경영상 조치가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적극) [4] 쟁의행위가 형법상 정당행위가 되기 위한 요건 [5] 노동조합의 쟁의행위에 대하여 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헌법 제23조 제1항, 제119조 제1항, 제15조 규정들의 취지를 기업활동의 측면에서 보면, 모든 기업은 그가 선택한 사업 또는 영업을 자유롭게 경영하고 이를 위한 의사결정의 자유를 가지며, 사업 또는 영업을 변경(확장 축소 전환)하거나 처분(폐지 양도)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있고, 이는 헌법에 의하여 보장되고 있는 것이다. [2] 경영권이 노동3권과 서로 충돌하는 경우 이를 조화시키는 한계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기업의 경제상의 창의와 투자의욕을 훼손시키지 않고 오히려 이를 증진시키며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3] 구조조정이나 합병 등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경영주체의 경영상 조치는 원칙적으로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그것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나 합리적인 이유 없이 불순한 의도로 추진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동조합이 그 실시를 반대하기 위하여 벌이는 쟁의행위에는 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 [4]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형법상 정당행위가 되기 위하여는 첫째 그 주체가 단체교섭의 주체로 될 수 있는 자이어야 하고, 둘째 그 목적이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한 노사간의 자치적 교섭을 조성하는 데에 있어야 하며, 셋째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요구에 대하여 단체교섭을 거부하였을 때 개시하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합원의 찬성결정 등 법령이 규정한 절차를 거쳐야 하고, 넷째 그 수단과 방법이 사용자의 재산권과 조화를 이루어야 함은 물론 폭력의 행사에 해당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여러 조건을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 [5] 쟁의행위의 목적이 경영권의 본질에 속하는 공장이전 자체의 반대를 위한 것이므로 그 목적에 있어 정당성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수단과 방법이 사용자의 재산권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폭력을 행사한 것이어서 정당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헌법 제15조 , 제23조 제1항 , 제119조 제1항 / [2] 헌법 제15조 , 제23조 제1항 , 제33조 제1항 , 제119조 제1항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1조 / [3] 형법 제20조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1조 , 제4조 , 제37조 제1항 , 근로기준법 제31조 / [4] 형법 제20조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4조 , 제37조 제1항 / [5] 형법 제20조 ,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4조 , 제37조 제1항

참조판례

[1] 헌법재판소 1997. 8. 21. 선고 94헌바19, 95헌바34, 97헌가11 결정(헌공23, 608), 헌법재판소 1998. 10. 29. 선고 97헌마345 전원재판부 결정(헌공30, 808) / [3] 대법원 2002. 2. 26. 선고 99도5380 판결(공2002상, 1290), 대법원 2003. 2. 11. 선고 2000도4169 판결, 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2도5881 판결, 대법원 2003. 3. 14. 선고 2002도5883 판결, 대법원 2003. 3. 28. 선고 2002도6060 판결, 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2도7225 판결(공2003하, 1798) / [4] 대법원 1990. 5. 15. 선고 90도357 판결(공1990, 1306), 대법원 1991. 5. 24. 선고 91도324 판결(공1991, 1817),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도1959 판결(공1996상, 838), 대법원 1996. 2. 27. 선고 95도2970 판결(공1996상, 1184), 대법원 1998. 1. 20. 선고 97도588 판결(공1998상, 636), 대법원 2000. 5. 12. 선고 98도3299 판결(공2000하, 1454), 대법원 2001. 6. 12. 선고 2001도1012 판결(공2001하, 1662), 대법원 2001. 10. 25. 선고 99도4837 전원합의체 판결(공2001하, 2624)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변호사 김기덕 외 3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3. 1. 10. 선고 2002노5577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헌법 제23조 제1항, 제119조 제1항, 제15조 규정들의 취지를 기업활동의 측면에서 보면, 모든 기업은 그가 선택한 사업 또는 영업을 자유롭게 경영하고 이를 위한 의사결정의 자유를 가지며, 사업 또는 영업을 변경(확장·축소·전환)하거나 처분(폐지·양도)할 수 있는 자유를 가지고 있고, 이는 헌법에 의하여 보장되고 있는 것인데, 이러한 경영권이 노동3권과 서로 충돌하는 경우 이를 조화시키는 한계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기업의 경제상의 창의와 투자의욕을 훼손시키지 않고 오히려 이를 증진시키며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바,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구조조정이나 합병 등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경영주체의 경영상 조치는 원칙적으로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 수 없고, 그것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나 합리적인 이유 없이 불순한 의도로 추진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동조합이 그 실시를 반대하기 위하여 벌이는 쟁의행위에는 목적의 정당성을 인정할 수 없다 할 것이다 ( 대법원 2002. 2. 26. 선고 99도5380 판결, 2003. 7. 22. 선고 2002도7225 판결 참조). 한편, 근로자의 쟁의행위가 형법상 정당행위가 되기 위하여는 첫째 그 주체가 단체교섭의 주체로 될 수 있는 자이어야 하고, 둘째 그 목적이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한 노사간의 자치적 교섭을 조성하는 데에 있어야 하며, 셋째 사용자가 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에 관한 구체적인 요구에 대하여 단체교섭을 거부하였을 때 개시하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조합원의 찬성결정 등 법령이 규정한 절차를 거쳐야 하고, 넷째 그 수단과 방법이 사용자의 재산권과 조화를 이루어야 함은 물론 폭력의 행사에 해당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여러 조건을 모두 구비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0. 5. 12. 선고 98도3299 판결, 2001. 10. 25. 선고 99도4837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사실에 기초하여 이 사건 쟁의행위의 목적이 경영권의 본질에 속하는 공장이전 자체의 반대를 위한 것이므로 그 목적에 있어 정당성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수단과 방법이 사용자의 재산권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폭력을 행사한 것이므로 이 사건 쟁의행위는 정당행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원심이 인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면, 한국시그네틱스 주식회사 노동조합의 조합원인 피고인들이 방해한 업무는 위 회사의 본래의 업무수행의 일환으로 행하여진 것이거나 주된 업무와 밀접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업무라 할 것이므로, 피고인들에 대한 업무방해의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조무제 이용우(주심) 이규홍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회사 경영에 간섭하는 파업, 정당할까요? (경영상황에 대한 쟁의행위)

경영상 어려움에 따른 구조조정 관련 파업은 원칙적으로 정당하지 않으나, 회사의 불순한 의도나 비합리적인 이유가 있다면 예외적으로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경영간섭#파업#정당성#경영권

일반행정판례

노동쟁의의 정당성과 사용자의 인사권 남용에 대한 판단

이 판례는 노동조합의 쟁의행위가 정당한 요건을 갖추었는지, 그리고 회사의 전직 명령이 정당한 인사권 행사인지, 이를 거부한 것을 이유로 한 해고가 정당한지를 판단한 사례입니다. 쟁의행위 중 일부 목적이 정당하지 않더라도 주된 목적이 정당하다면 쟁의행위 자체는 정당하며, 회사의 전직 명령이 근로자에게 불리하고 노조활동을 방해하려는 의도가 있다면 부당노동행위로 볼 수 있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쟁의행위 정당성#전직명령#부당노동행위#해고

형사판례

회사 구조조정, 노동쟁의의 대상이 될 수 있을까?

기업 구조조정은 회사 경영진의 고유 권한이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노조가 구조조정에 반대하며 벌이는 파업 등 쟁의행위는 정당하지 않다는 판결. 다만, '사전합의'라는 문구는 상황에 따라 '사전협의'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도 명시.

#구조조정#노동쟁의#파업#정당성

민사판례

사업부 폐지와 쟁의행위, 정당할까요?

회사의 적자 누적으로 인한 사업부 폐지 결정은 경영상의 판단으로 단체교섭 대상이 아니며, 폐지 백지화만을 요구하며 회사의 다른 제안을 거부하고 진행한 쟁의행위는 정당성이 없다.

#사업부 폐지#단체교섭#쟁의행위 정당성#경영권

형사판례

구조조정, 회사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단체교섭 의무와 경영권의 줄다리기

회사가 구조조정을 진행하면서 노조의 단체교섭 요구를 거부한 행위가 정당한지, 그리고 단체협약에서 '합의'의 의미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회사의 단체교섭 거부는 정당하고, 단체협약의 '합의' 조항은 '협의'로 해석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구조조정#단체교섭 거부#단체협약#합의

형사판례

노조의 구조조정 반대 파업, 업무방해죄일까?

이 판례는 기업의 구조조정에 반대하는 파업의 정당성과 그 파업이 업무방해죄를 구성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구조조정 반대 자체를 목적으로 한 파업은 원칙적으로 정당성을 인정받기 어렵지만, 설령 파업의 목적이 정당하지 않더라도 업무방해죄가 성립하려면 사용자의 사업 운영에 심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위력' 행사가 있어야 합니다.

#구조조정 반대 파업#정당성#업무방해죄#위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