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및위자료등

사건번호:

2003므941

선고일자:

2003081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이혼 배우자에게 지급할 위자료나 재산분할의 액수를 정함에 있어서 성년에 달한 자녀들에 대한 부양의무 부담의 사정을 참작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이혼하는 부부의 자녀들이 이미 모두 성년에 달한 경우, 부(父)가 자녀들에게 부양의무를 진다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부(父)와 자녀들 사이의 법률관계일 뿐, 이를 부부의 이혼으로 인하여 이혼 배우자에게 지급할 위자료나 재산분할의 액수를 정하는 데 참작할 사정으로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837조 , 제839조의2 , 제84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3. 4. 11. 선고 2002르273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원심이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원고와 피고의 혼인이 파탄에 이르게 된 경위에 관한 판시 사실들을 인정한 다음, 그와 함께 원고와 피고의 동거 기간·연령·재산상태 등 변론에 나타난 제반 사정 등을 참작하여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할 위자료의 액수를 4천만 원으로 정한 제1심판결을 유지한 것은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등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위자료 산정에 있어서 재량의 범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또한,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원고가 자신의 명의로 2,200만 원의 임차보증금 반환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사실, 피고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어 있는 구미시 원평동 629의 25 답 800㎡ 및 구미시 고아읍 황산리 434 대 179㎡의 원심 변론종결 당시의 시가 합계액이 3,575만 원인 사실, 피고가 원고와 사이에서 낳은 딸들의 학자금 마련을 위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공무원연금관리공단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현재 그 대출 잔액이 2,617만 원인 사실, 피고의 예상 퇴직금액이 1억 원 정도인 사실 등 판시 사실들을 인정한 다음, 위 각 분할 대상 자산의 취득 및 유지에 대한 원고의 기여도를 순자산 총액의 30%로 평가하고, 다만 분할 대상 자산의 형태, 이용상황, 현재의 소유명의와 취득의 경위 및 혼인생활의 과정, 원·피고의 연령, 이혼 이후 당사자 쌍방의 생활능력, 피고가 가까운 장래에 1억 원 가량의 퇴직금을 수령할 예정인 점 등의 사정을 두루 참작하여, 위 분할 대상 자산 및 채무를 보유·부담의 현황 그대로 원고와 피고에게 확정적으로 귀속시키되, 그와 별도로 피고가 원고에게 1,000만 원을 추가로 지급함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위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모두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 또는 채증법칙 위배로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재산분할액을 정함에 있어서 법원의 재량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특히 원고와 피고의 딸들은 원심 변론 종결 당시 모두 성년에 달하였으므로, 피고가 딸들에게 부양의무를 진다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피고와 딸들 사이의 법률관계일 뿐, 이를 원고와 피고의 이혼으로 인하여 피고가 원고에게 지급할 위자료나 재산분할의 액수를 정하는 데 참작할 사정으로 볼 수는 없다). 따라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인 원고가 부담하도록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배기원 박재윤(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이혼할 때 성인 자녀 부양해야 한다면? 재산분할에 영향 있을까요?

이혼 시 재산분할에는 미성년 자녀 양육 의무는 고려되지만, 성인 자녀 부양 의무는 고려되지 않는다.

#이혼#재산분할#성인 자녀 부양의무#미성년 자녀 부양의무

생활법률

이혼, 재산과 자녀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요?

이혼 시 재산은 위자료(혼인 파탄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 3년 내 청구)와 재산분할(기여도에 따른 재산 분배, 2년 내 청구)로 나뉘며, 자녀 문제는 친권자/양육자 지정 및 양육 사항(양육비, 면접교섭 등)을 결정해야 한다.

#이혼#재산분할#위자료#친권

가사판례

이혼 시 재산분할, 위자료, 빚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요?

이혼 시 재산분할 대상, 채무 분담 범위, 재산 평가 방법, 위자료 산정 기준 등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부부 공동의 이익을 위한 채무는 공동으로 부담해야 하며, 재산분할 시에는 상속받은 재산, 혼인 파탄 경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이혼#재산분할#위자료#채무분담

민사판례

이혼 재산분할, 위자료 포함될 수 있을까? 그리고 빚 때문에 재산분할을 취소할 수 있을까?

이혼할 때 하는 재산분할에 위자료 성격도 포함될 수 있고, 재산분할이 과도하게 이루어진 경우 채권자는 그 초과 부분을 취소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이혼#재산분할#채권자취소권#사해행위

생활법률

이혼 위자료, 꼭 알아야 할 모든 것!

배우자의 유책행위로 인한 이혼 시 정신적 손해배상인 위자료는 협의·재판·혼인무효 시 청구 가능하며, 쌍방 과실 상계되고, 확정 시 양도·상속 가능하며, 재산분할과 별개로, 여러 사정을 고려해 산정된다.

#이혼#위자료#유책행위#위자료청구권

생활법률

이혼할 때 돈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요? (손해배상 & 재산분할)

이혼 시 배우자의 잘못으로 인한 정신적/재산적 손해는 위자료로, 부부 공동으로 형성한 재산은 재산분할로 청구 가능하며, 둘 다 혼인 파탄 원인과 책임,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혼#손해배상#위자료#재산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