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6두8334

선고일자:

200609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판결주문이 갖추어야 할 명확성의 정도 [2] 종합소득세 부과처분을 일부 취소하는 판결주문이 특정되어 있지 않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판결주문의 내용이 모호하면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가 불분명해질 뿐만 아니라 집행력·형성력 등의 내용도 불확실하게 되어 새로운 분쟁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판결주문에서는 청구를 인용하고 배척하는 범위를 명확하게 특정하여야 한다. [2] 종합소득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청구를 기각한 제1심판결 중 ‘피고의 원고에 대한 종합소득세 12,038,590원(과세표준금액 32,644,280원)의 부과처분 중 과세표준금액 12,698,219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종합소득세에 관한 부분’을 취소하고, 원고의 나머지 항소를 기각한다는 원심판결의 주문은 원고에게 부과된 세금 중 얼마를 취소하는지를 명확하게 특정한 것으로 볼 수 없고, 원심판결 이유를 살펴보아도 원심이 판시한 과세표준금액에 대하여 얼마의 세액이 산출될 것인지를 알 수 없어 판결로서 갖추어야 할 명확성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08조 / [2] 민사소송법 제208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65. 9. 21. 선고 65다1427 판결(집13-2, 민147), 대법원 1983. 3. 8. 선고 82누294 판결(공1983, 669), 대법원 1983. 5. 24. 선고 82누456 판결(공1983, 1023)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피고, 상고인】 안양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4. 13. 선고 2005누764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1.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이 사건 세금계산서들의 발행일자가 비록 원고가 주식회사 (회사명 생략)의 대표이사로 재직하던 기간 중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그와 같은 사정만으로 실제로 그 시기에 법인회계상 그 공급가액 및 그에 대한 부가가치세에 해당하는 법인재산의 사외유출이 있었던 것으로 단정하기 어려우므로, 원고의 대표이사 재직기간에 상응하는 부분만 원고에게 귀속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 내지 인정상여제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직권으로 본다. 판결주문의 내용이 모호하면 기판력의 객관적 범위가 불분명해질 뿐만 아니라 집행력·형성력 등의 내용도 불확실하게 되어 새로운 분쟁을 일으킬 위험이 있으므로 판결주문에서는 청구를 인용하고 배척하는 범위를 명확하게 특정하여야 한다( 대법원 1965. 9. 21. 선고 65다1427 판결, 1983. 3. 8. 선고 82누294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원심은, 피고의 원고에 대한 판시 종합소득세 부과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원고의 이 사건 청구를 기각한 제1심판결 중 ‘피고의 원고에 대한 종합소득세 12,038,590원(과세표준금액 32,644,280원)의 부과처분 중 과세표준금액 12,698,219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종합소득세에 관한 부분’을 취소하고, 원고의 나머지 항소를 기각한다는 판결을 선고하였다. 그러나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볼 때, 원심판결의 주문은 원고에게 부과된 세금 중 얼마를 취소하는지를 명확하게 특정한 것으로 볼 수 없고, 원심판결 이유를 살펴보아도 원심이 판시한 과세표준금액에 대하여 얼마의 세액이 산출될 것인지를 알 수 없다. 결국, 원심판결은 판결로서 갖추어야 할 명확성을 갖추지 못하여 그대로 유지될 수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잘못되었을 때, 얼마나 취소될까요?

세금 부과가 잘못된 경우,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자료가 충분하면 잘못된 부분만큼만 취소하고, 그렇지 않으면 전체를 취소한다. 법원은 스스로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의무는 없다.

#세금취소#계산자료#부분취소#전체취소

세무판례

세금 계산 오류? 그럼 세금 전부 취소? 부분 취소?

세금 계산이 잘못되어 위법한 과세 처분을 받았더라도, 재판 과정에서 정확한 세금을 계산할 수 있는 자료가 있다면 법원은 전체 과세 처분을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잘못 계산된 부분만 취소해야 합니다. 다만, 법원이 세무서에 자료 제출을 요구하거나 직접 조사할 의무는 없습니다.

#세금#과세처분#위법#재판

세무판례

세금 고지서, 제대로 써야죠! 가산세도 마찬가지!

세금 고지서에는 세금이 어떻게 계산되었는지 자세히 적어야 하고, 가산세도 마찬가지로 계산 근거를 명확히 밝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세금 부과 자체가 잘못된 것이 된다.

#세금고지서#세액산출근거#가산세#적법절차

민사판례

판결문은 명확해야 합니다! 청구 내용도 마찬가지!

법원은 판결문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써야 합니다. 원고가 요구하는 내용이 불명확하면 법원은 원고에게 명확하게 다시 써달라고 요청해야 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소송을 각하해야 합니다.

#판결 주문 특정#감사 수용 청구#청구 불명확#보정명령

세무판례

세금, 아는 만큼 돌려받는다! 감액경정, 사업소득 vs. 양도소득, 그리고 가산세에 대한 궁금증 해결!

세금을 줄여주는 감액경정을 받았더라도, 그 처분 자체가 아니라 원래 세금 중 남은 부분에 대해서만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판매 소득이 사업소득인지 양도소득인지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세금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아 발생하는 가산세는 고의나 과실 여부와 관계없이 부과됩니다.

#감액경정처분#부동산 소득 구분(사업소득#양도소득)#가산세

민사판례

판결문, 똑바로 써야죠! 애매모호한 청구는 안 돼요!

토지 관련 소송에서 원고가 요구하는 내용이 너무 추상적이어서 판결이 나더라도 실제로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없다면, 법원은 원고에게 요구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다시 제출하도록 해야 하고, 그렇게 하지 않으면 소송을 각하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지적공부 정정#청구 명확성#판결 주문#파기환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