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07다64303

선고일자:

200908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토지가 ‘간석지’로 되어 원상복구가 불가능한 경우 그 토지소유권을 상실하는지 여부(적극) 및 바다와 같은 자연공물이 사법상 거래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소극) [2] 공유수면관리법 제5조 제1항 제4호의 규정만으로 ‘간석지’가 항상 개인의 소유권이 성립될 수 있는 ‘민법상의 토지’에 해당한다고 해석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공유수면관리법 제2조 제3호, 제4호, 민법 제211조, 제212조 / [2] 공유수면관리법 제2조 제4호, 제5조 제1항 제4호, 민법 제211조, 제212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4677 판결(공1992하, 3001), 대법원 1995. 8. 25. 선고 95다18659 판결(공1995하, 3271), 대법원 2000. 12. 8. 선고 99다11687 판결(공2001상, 233), 대법원 1995. 11. 14. 선고 94다50922 판결(공2002하, 1689)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선정당사자), 피상고인】 【피고(선정당사자) 겸 망 이권재의 소송수계인,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북부지법 2007. 8. 22. 선고 2005나515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토지소유권의 상실 원인이 되는 포락이라 함은 토지가 바닷물에 개먹어 무너져 바다에 떨어져 그 원상복구가 불가능한 경우를 말하고 이 경우 만조수위선을 기준으로 토지와 바다를 구분하여야 하는데(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다24677 판결, 대법원 1995. 8. 25. 선고 95다18659 판결, 대법원 2000. 12. 8. 선고 99다11687 판결 등 참조), 공유수면관리법 제2조 제4호의 간석지는 만조수위선 이하를 말하는 것이므로 바다에 속하고 따라서 토지가 간석지로 된 경우에도 위 포락의 법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바다와 같은 자연공물의 경우에는 자연적 상태에 의한 물건의 성상 그 자체로 당연히 공공의 사용에 제공되는 것이므로 불융통물로서 사법상 거래의 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 대법원 1995. 11. 14. 선고 94다50922 판결 등 참조). 한편, 공유수면관리법 제5조 제1항 제4호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포락지 외에 ‘개인의 소유권이 인정되는 간석지’를 토지로 조성하는 행위에 대하여 점용 또는 사용 허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위 조항은 기본적으로 공유수면의 점용 또는 사용의 허가에 관한 사항을 정한 규정으로서 ‘개인의 소유권이 인정되는 간석지’도 그 문언 그대로 간석지 중에서 개인의 소유권이 인정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고 해석될 뿐, 그 규정만을 가지고 간석지가 항상 개인의 소유권이 성립될 수 있는 민법상의 토지에 해당한다고 해석할 수는 없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 증거들을 종합하여 이 사건 토지가 오랜 기간 전부터 바닷물에 개먹어 무너져 바다에 떨어져 있었고 원상복구비용도 복구 후 토지의 가치를 초과하는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토지는 포락되어 사권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소유권의 상실 원인으로서의 포락의 법리나 공유수면관리법상의 간석지에 관한 법리오해 등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원고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차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바닷물에 잠긴 내 땅, 아직 내 땅일까? - 토지 포락과 소유권 상실

바닷물에 잠긴 땅(포락된 토지)의 소유권은 언제 없어지는 걸까요? 이 판례는 '땅이 잠긴 당시'를 기준으로 사회통념상 복구가 불가능하다면 소유권이 사라진다고 판단했습니다.

#포락#토지#소유권#소멸시점

민사판례

바닷물에 잠긴 내 땅, 다시 내 땅이 될 수 있을까? – 토지 포락과 소유권에 대한 이야기

바닷물에 잠겨 땅의 기능을 잃은 토지는 소유권이 사라지고, 나중에 다시 흙을 덮어 메워도 원래 주인이 소유권을 되찾을 수 없다. 바다와 땅의 경계는 가장 높은 만조 수위를 기준으로 한다.

#포락#소유권#만조#약최고만조위

상담사례

바닷속에 잠긴 내 땅, 다시 메워지면 내 땅 될까요? 🌊🏝️

바닷가 땅이 자연재해로 잠겨 '포락'되면 소유권을 잃고, 후에 매립되더라도 소유권은 되찾을 수 없다.

#포락#토지소유권#자연재해#해일

민사판례

바닷물에 땅이 잠겼어요! 내 땅은 어떻게 되나요? (토지 포락)

바닷물에 땅이 잠겨 원상복구가 불가능해지면 토지 소유권을 잃게 되는데, 이때 '원상복구 불가능' 여부는 땅이 잠긴 당시의 상황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미래의 개발 가능성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판례.

#포락#토지 소유권#원상복구#당시 상황

민사판례

바닷가 땅이 사라졌어요! 내 땅은 어디로? (토지 포락)

바닷물에 땅이 잠겨 원상복구가 불가능해지면 토지 소유권을 잃을 수 있습니다. 이를 '포락'이라고 하는데, 단순히 잠긴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사회 통념상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여야 합니다. 복구 비용과 복구 후 토지 가치를 비교해서 판단하며, 복구 비용이 더 적다면 소유권은 유지됩니다.

#포락#토지소유권#원상복구#복구비용

민사판례

바닷물에 잠기던 땅, 내 땅 맞나요? - 방조제 건설 후 토지 소유권 분쟁

만조 때 바닷물에 잠기고 간조 때는 갯벌이던 땅에, 국가 예산으로 방조제가 건설되어 땅으로 바뀐 경우, 원래 땅 주인의 소유권이 사라졌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은 원래 주인의 소유권이 사라졌다고 단정 지은 원심 판결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다시 심리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소유권#포락#방조제#간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