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확인

사건번호:

2008다15537

선고일자:

2009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상법 부칙(1984. 4. 10.) 제5조 제2항에 의한 주식병합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주식병합 무효의 소) [2] 주식병합의 절차적·실체적 하자가 극히 중대한 경우 이를 다투는 방법 [3] 상법 부칙(1984. 4. 10.) 제5조에 의한 주식병합시 공고누락의 하자가 있는 경우 이를 다투는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상법(1991. 5. 31. 법률 제43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45조, 상법 부칙(1984. 4. 10.) 제5조 제2항 / [2] 구 상법(1991. 5. 31. 법률 제43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45조 / [3] 상법 부칙(1984. 4. 10.) 제5조 제2항, 구 상법(1991. 5. 31. 법률 제43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40조

참조판례

[3] 대법원 2005. 12. 9. 선고 2004다40306 판결(공2006상, 11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 고】 【피고 보조참가인,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동부지법 2008. 1. 16. 선고 2005나390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동부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주위적 청구 중 주식병합 무효확인청구 부분 가. (1) 구 상법(1991. 5. 31. 법률 제437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부칙 제5조 제2항에 의하여 주식 1주의 금액을 5천 원 이상으로 하기 위하여 거치는 주식병합은 자본의 감소를 위한 주식병합과는 달리 자본의 감소가 수반되지 아니하지만, 주식병합에 의하여 구 주식의 실효와 신 주식의 발행이 수반되는 점에서는 자본감소를 위한 주식병합의 경우와 차이가 없다. 그런데 위와 같은 주식병합 절차에 의하여 실효되는 구 주식과 발행되는 신 주식의 효력을 어느 누구든지 그 시기나 방법 등에서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다툴 수 있게 한다면, 주식회사의 물적 기초와 주주 및 제3자의 이해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식을 둘러싼 법률관계를 신속하고 획일적으로 확정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주식회사의 내부적인 안정은 물론 대외적인 거래의 안전도 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그 성질에 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구 상법 제445조의 규정을 유추 적용하여, 주식병합으로 인한 변경등기가 있는 날로부터 6월 내에 주식병합 무효의 소로써만 주식병합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게 함이 상당하다. (2) 한편, 구 상법 제445조에서 규정하는 ‘소’라 함은 형성의 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 민사상 무효확인의 소로써 주식병합의 무효확인을 구하거나 다른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에서 선결문제로서 주식병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주식병합의 실체가 없음에도 주식병합의 등기가 되어 있는 외관이 존재하는 경우 등과 같이 주식병합의 절차적·실체적 하자가 극히 중대하여 주식병합이 존재하지 아니한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주식병합 무효의 소와는 달리 출소기간의 제한에 구애됨이 없이 그 외관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식병합 부존재확인의 소를 제기하거나 다른 법률관계에 관한 소송에서 선결문제로서 주식병합의 부존재를 주장할 수 있다. 나.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피고의 정관에는 1주의 액면이 10,000원으로 기재되어 있고, 그 법인등기부 등본에는, 피고가 1989. 6. 9. 1주당 액면 1,000원의 총 73,500주의 구 주식을 1주당 액면 10,000원의 총 7,350주의 신 주식으로 병합하는 내용의 주식병합(이하 ‘이 사건 주식병합’이라고 한다)을 하고, 이에 관하여 1989. 6. 12. 등기를 마친 것으로 기재되어 있는 사실, 이 사건 주식병합 후 피고의 1994. 6. 17.자 주주명부에는 주식병합을 통하여 발행된 신 주식을 피고보조참가인의 피상속인 소외 1이 3,087주, 피고보조참가인이 2,352주, 소외 2가 735주, 소외 3, 4가 각 441주, 소외 5가 294주를 각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등재되어 있는 사실, 피고가 관할세무서에 재무제표를 신고하면서 첨부한 주식 등 변동상황명세서에는 신 주식을 1997년도부터 2001년도까지는 피고보조참가인의 피상속인 소외 1이 3,087주, 피고보조참가인이 2,352주, 소외 2, 6이 각 735주, 소외 3이 441주를 각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2002년도부터 2006년도까지는 피고보조참가인의 피상속인 소외 1이 3,108주, 피고보조참가인이 2,352주, 소외 2, 6이 각 735주, 소외 7이 420주를 각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각 기재되어 있는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에서 본 법리와 위 사실관계에 비추어 살펴본다. 이 사건 주식병합의 등기일인 1989. 6. 12.로부터 6월 내에 주식병합 무효의 소가 제기되어 이 사건 주식병합을 무효로 한다는 취지의 판결이 선고·확정되었음을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는 이 사건에서, 원고들이 이 사건 주식병합이 무효라고 주장하며 피고를 상대로 그 무효확인을 구하는 소 부분은 주식병합의 등기일로부터 6월 내에 형성의 소로써만 주식병합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게 한 구 상법 제445조에 반하므로 부적법하다. 그러나 한편 기록에 의하면, 위 주식병합 무효확인청구의 소 부분이 주식병합 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취지로 볼 여지도 있어 보이므로(원고들의 2007. 1. 18.자 청구취지 변경 및 청구원인 보완신청 및 2007. 5. 7.자 준비서면 등에 의하면, 원고들은 피고 주식회사가 구 상법 제440조 내지 제444조의 절차를 일체 생략하고 법인등기부상에만 주식병합을 한 것처럼 등기하였을 뿐이므로 이 사건 주식병합은 부존재한다는 취지의 주장을 하고 있다), 원심으로서는 위 주식병합 무효확인청구의 소 부분이 주식병합 부존재확인을 구하는 취지인지 여부를 심리·판단하였어야 한다. 다. 그런데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피고의 이 사건 주식병합이 무효라는 취지로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구 상법 부칙 제5조 제2항에 의한 주식병합 등의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2. 주위적 청구 중 구 주식에 기한 주주지위확인청구 및 명의개서절차이행청구 부분 가. 구 상법 부칙 제5조 제2항이 구 상법 제440조를 준용하여 주식병합에 일정한 기간을 두어 공고와 통지의 절차를 거치도록 한 취지는, 신 주권을 수령할 자를 파악하고 실효되는 구 주권의 유통을 저지하기 위하여 회사가 미리 구 주권을 회수하여 두려는 데 있다 ( 대법원 2005. 12. 9. 선고 2004다40306 판결 참조). 회사가 위와 같은 공고 등의 절차를 거치지 아니한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주식병합의 무효사유가 존재한다고 할 것이지만, 회사가 주식병합에 관한 주주총회의 결의 등을 거쳐 주식병합 등기까지 마치되 그와 같은 공고만을 누락한 것에 불과한 경우에는 그러한 사정만으로 주식병합의 절차적·실체적 하자가 극히 중대하여 주식병합이 부존재한다고 볼 수는 없다. 따라서 구 상법 부칙 제5조 제2항의 주식병합에 관하여 공고누락의 하자만을 이유로 주식병합의 무효를 주장하기 위해서는 구 상법 제445조에 따라 주식병합의 등기일로부터 6월 내에 주식병합 무효의 소를 제기하지 않으면 아니된다. 나. 원심판결 이유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고들이 구 상법 제445조에 따라 적법한 출소기간 내에 주식병합 무효의 소를 제기하지 아니한 채, 구 주식에 기한 주주지위확인청구의 선결문제로서 이 사건 주식병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아니하고, 다만 이 사건 주식병합이 부존재한다고 볼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이를 선결문제로 주장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사건 주식병합과 관련하여 구 상법 제440조의 공고가 누락되었다는 사정만으로는 주식병합이 부존재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달리 원고들이 주식병합의 부존재 사유를 증명하지 못하는 한, 원고들의 주위적 청구 중 구 주식에 기한 주주지위확인청구 부분은 이미 실효된 구 주식에 기한 과거의 법률관계의 확인을 구하는 것에 귀착되어 확인의 이익을 인정할 수 없고, 원고들이 구 주식에 기하여 주주지위에 있음을 전제로 한 구 주식에 관한 명의개서절차이행청구 부분은 배척될 수밖에 없다. 다. 그런데도 원심은, 이 사건 주식병합에 주식병합 부존재 사유가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심리·판단하지 아니한 채, 피고가 이 사건 주식병합을 하면서 구 상법 제440조에 따라 3월 이상 공고를 하지 아니한 사실이 인정된다는 사정만으로, 이 사건 주식병합은 무효이고 구 주식은 실효되지 아니하였으며 구 주식을 표창하는 구 주권을 소지하는 원고들이 피고 주식회사의 정당한 주주이므로 피고는 원고들에게 구 주식에 관하여 명의개서절차를 이행하여야 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거나 구 상법 부칙 제5조 제2항의 주식병합과 확인의 이익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3. 그러므로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식병합 무효, 어떻게 다툴 수 있을까?

이 판례는 회사가 주식을 병합할 때, 주주들이 이에 불만이 있을 경우 어떤 종류의 소송을 어떤 기간 내에 제기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단순한 절차상의 문제인지, 아니면 주식병합 자체가 무효가 될 정도의 심각한 문제인지에 따라 소송 종류와 기간이 달라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주식병합#무효확인소송#부존재확인소송#소멸시효

민사판례

1인 회사의 주식병합과 주식 양도, 그 숨겨진 이야기

실질적으로 1인 회사인 경우, 주식병합 시 법률에 정해진 공고 및 통지 절차를 거치지 않았더라도 주식병합의 효력이 발생한다. 또한, 사문서의 진정성립은 법원의 자유로운 심증에 따라 판단되며, 증인의 증언을 통해 인정할 수 있다.

#1인회사#주식병합#공고·통지절차#효력발생시점

민사판례

주식병합 후 명의개서, 비상장주식 가치 평가, 그리고 소멸시효

주식병합 후 신주권이 발행되지 않아도 주식 양수인은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으며, 비상장주식의 가액은 여러 평가방법을 고려하여 공정하게 산정해야 한다.

#주식병합#명의개서#비상장주식#가액평가

민사판례

주식상속과 주식병합, 6개월의 마법

상속으로 주식을 받기로 했는데, 주식이 병합된 후 회사가 새 주권을 발행하지 않아 실제 주권을 받지 못했더라도 주식을 소유한 것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주식병합#신주권미발행#주식양도#효력인정

상담사례

내 주식이 ⅓이나 날아갔다고?! 합병,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feat. 불공정 합병비율)

불공정한 합병비율(예: 회사 가치 17:1인데 합병비율 1:1)로 주식 가치가 하락한 경우, 주주총회 찬성 여부와 관계없이 합병무효소송을 통해 주주 권리를 보호해야 한다.

#합병#불공정 합병비율#주주 권리#흡수합병

상담사례

1000억 회사가 빚더미 회사랑 1:1 합병? 내 주식은 어떻게 되나요?! (합병무효소송)

자산 규모 차이가 큰 두 회사의 1:1 합병으로 주주 가치가 훼손될 경우, 불공정한 합병 비율을 이유로 합병무효소송을 제기하여 권리를 지킬 수 있다.

#합병무효소송#불공정합병비율#신의성실원칙#공평의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