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2.02.09

민사판례

주식상속과 주식병합, 6개월의 마법

돌아가신 부모님으로부터 주식을 상속받는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회사의 주식병합 등의 절차가 진행 중이라면 더욱 복잡해지죠. 오늘은 주식상속, 주식병합, 그리고 주권 미발행 시 6개월이라는 기간이 갖는 법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돌아가신 아버지가 남긴 유언장에는 아들 甲에게 회사 주식 전부를 상속한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상속재산 중 일부 주식의 주권을 다른 상속인 乙이 잃어버린 상황이었습니다. 甲은 乙을 통해 나중에 재발행된 주권을 받았지만, 그 사이에 회사는 주식병합을 진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회사는 6개월이 지나도록 신주권을 발행하지 않았습니다. 과연 甲은 상속받기로 한 주식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을까요?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甲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핵심은 '주권 미발행'과 '6개월'입니다.

  • 주권발행 전 주식양도: 주식회사 설립 후 혹은 신주 납입일 후 6개월이 지나면 주권이 발행되지 않았더라도 주식양도의 효력이 회사에도 발생합니다 (구 상법 제335조 제2항, 현행 상법 제335조 제3항). 즉, 주권 없이도 주식을 양도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주식병합과 주권: 주식병합 후에는 구주권은 효력을 잃고 새로운 신주권이 발행됩니다. 하지만 신주권 역시 병합 전 주식과 동일한 권리를 나타냅니다 (상법 제442조 제1항).

  • 6개월의 의미: 주식병합 후 회사가 6개월 내에 신주권을 발행하지 않으면, 주권 없이도 주식양도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는 주식병합 전에 양도 계약이 체결되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사례에서, 상속재산 분할 협의는 주식양도 계약과 같은 효력을 갖습니다. 따라서 회사가 주식병합 후 6개월 안에 신주권을 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甲은 주권을 받지 않았더라도 상속재산 분할 협의만으로 주식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한 것으로 인정됩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상법 제335조 제2항 (현행 상법 제335조 제3항)
  • 상법 제336조 제1항
  • 상법 제442조 제1항
  • 대법원 1995. 5. 23. 선고 94다36421 판결
  • 대법원 2002. 3. 15. 선고 2000두1850 판결
  •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다51887 판결

결론:

주식 상속과 주식병합 과정에서 주권 발행 여부와 6개월이라는 기간은 주식 소유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주권이 미발행된 상태에서 주식병합이 이루어진 경우, 6개월이라는 기간이 경과하면 주권 없이도 주식 양도의 효력이 발생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복잡한 법률 문제에 직면했을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주식, 종이 없어도 괜찮아요! (feat. 주권 미발행 주식 양도)

회사 설립 후 6개월이 지났다면, 주식증서가 없더라도 주식을 양도할 수 있고, 그 효력은 회사에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주식증서가 없는 경우 주식 양도는 일반적인 채권 양도처럼 당사자 간의 합의만으로 이루어집니다.

#주식양도#주권#주식증서#상법 제335조

민사판례

주식병합 후 명의개서, 비상장주식 가치 평가, 그리고 소멸시효

주식병합 후 신주권이 발행되지 않아도 주식 양수인은 명의개서를 청구할 수 있으며, 비상장주식의 가액은 여러 평가방법을 고려하여 공정하게 산정해야 한다.

#주식병합#명의개서#비상장주식#가액평가

민사판례

주식 발행 전 양도? 내 주식은 안전할까?

주권이 발행되기 전에 주식을 양도받았더라도 회사 설립 6개월 후의 양도라면 회사에 대해 효력이 있으며, 회사가 임의로 제3자에게 명의개서를 하고 주권을 발행했더라도 원래 양수인의 주주권은 유효하다.

#주권발행전#주식양도#주주권#명의개서

상담사례

주식, 언제부터 내꺼? 주권 발행 전 양도, 이것만 알면 끝!

주권 발행 전 주식 양도는 회사 설립/신주 납입 후 6개월 기준으로, 6개월 전 양도는 회사에 효력 없지만 당사자 간 유효, 6개월 후 양도는 당사자 합의로 유효하나 회사 통지/승인 필요하며 확정일자 받으면 더욱 확실하다.

#주식#주권#양도#6개월

민사판례

주식병합 무효, 어떻게 다툴 수 있을까?

이 판례는 회사가 주식을 병합할 때, 주주들이 이에 불만이 있을 경우 어떤 종류의 소송을 어떤 기간 내에 제기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단순한 절차상의 문제인지, 아니면 주식병합 자체가 무효가 될 정도의 심각한 문제인지에 따라 소송 종류와 기간이 달라짐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주식병합#무효확인소송#부존재확인소송#소멸시효

민사판례

옛날 주식 합치기, 뭐가 문제였을까? (주식병합과 그 효력)

이 판례는 옛날 상법(1991년 이전)에 따른 주식병합의 효력을 다투는 방법, 특히 병합 절차상 하자(특히 공고 누락)가 있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룹니다. 주식병합 후 일정 기간(6개월) 내에 '주식병합 무효의 소'를 제기해야 하며, 그 기간이 지나면 매우 심각한 하자가 아닌 이상 다툴 수 없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주식병합#무효의 소#부존재확인의 소#공고누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