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인도·토지인도등·소유권이전등기

사건번호:

2008다29147,29154,29161

선고일자:

200909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甲의 장남 乙이 혼인 후 후손 없이 사망하자 당시의 구관습에 따라 차남인 丙이 차양자가 되었다가, 그 후 甲이 사망하고 丙의 장남인 丁이 출생하자, 당시의 구관습에 따라 丁이 乙의 사후양자가 되어 丙이 차양자로서 일시 승계하였던 토지를 종국적으로 상속받은 것으로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00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반소피고), 피상고인】 【피고(반소원고), 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8. 3. 20. 선고 2006나95104, 95111, 2007나81812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반소원고)들이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이 사건 제1, 4 토지는 1910. 8. 14. 소외 1 명의로 사정된 후 1925. 3. 14.(원심판결 중 ‘1921. 3. 14.’은 오기로 보인다) 그의 동생인 소외 2 명의로 소유권보존등기가 경료되었다가 1934. 11. 7. 소외 2의 장남인 소외 3 명의로 상속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사실, 이 사건 제2, 3 토지는 1918. 4. 28. 위 소외 2 명의로 사정된 후 1927. 12. 12. 소외 3 명의로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사실, 그 후 위 4필지의 이 사건 토지에 관하여 1943. 12. 24. 위 소외 3의 장남인 소외 4 명의로 증여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사실, 위 소외 4는 2004. 7. 15. 사망하였는데, 원고 1(반소피고,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은 소외 4의 처이고 나머지 원고들은 소외 4의 자녀들인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토지는 원고들이 위 소외 4로부터 상속받은 원고들 소유의 토지라고 판단하는 한편, 위 소외 2를 상속한 사람은 위 소외 1에게 사후양자로 출계한 장남 소외 3이 아니라 피고 1(반소원고, 이하 ‘피고’라고만 한다)의 부친이자 소외 2의 차남인 소외 5이므로, 그의 상속인인 피고 1이 이 사건 토지의 정당한 소유자라는 피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우선 이 사건 제2, 3 토지에 관하여는 소외 2의 생전인 1927. 12. 12. 소외 3 명의로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었으므로, 소외 5가 소외 2로부터 제2, 3 토지를 상속받을 수 없음이 명백하고, 제1, 4 토지의 경우, 소외 6의 장남인 소외 1이 혼인 후 1875년 후손 없이 사망하자, 당시의 구관습에 따라 차남인 소외 2가 소외 6의 차양자가 되었다가, 그 후 1897년 소외 6이 사망하고 1899년 소외 2의 장남인 소외 3이 출생하자, 당시의 구관습에 따라 소외 3이 위 소외 1의 사후양자가 되어 소외 2가 차양자로서 일시 승계하였던 제1, 4 토지를 상속받은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여, 피고들의 위 주장을 모두 배척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및 심리미진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구관습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채택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 인정 사실에 나타난 여러 사정을 종합해 보면, 피고들은 그 성질상 소유의 의사가 없는 것으로 보이는 권원에 바탕을 두고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점유를 취득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피고들의 이 사건 토지에 대한 점유는 타주점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및 심리미진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시효취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들이 제출한 증거들만으로는 피고들이 소외 4로부터 이 사건 토지에 현재와 같은 주택 등을 건립하고 카페영업을 위하여 수목을 식재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 사건 토지를 점유할 수 있도록 사용승낙을 받았다는 피고들의 주장을 인정하기 부족하다는 이유로 피고들의 위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및 심리미진으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없다. 4.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이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홍훈 차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차양자 제도와 상속, 당신의 가족사에 숨겨진 이야기

옛날 관습법에 따라 아들이 없이 사망한 장남의 대를 잇기 위해 조카를 양자로 들여(차양자), 그 조카가 아들을 낳으면 그 아들이 당연히 죽은 장남의 양자로 인정되어 할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는다는 판결입니다. 호적에 정식으로 입양신고가 되어있지 않더라도 관습법이 적용되는 시기였다면 상속권을 인정합니다.

#차양자#상속#관습법#양자

민사판례

땅 주인이 누구야? 점유와 소유의 관계

남의 땅을 허락 없이 오랫동안 점유했다고 해서 무조건 소유권을 취득하는 것은 아닙니다. 점유자가 소유 의사 없이 점유했음을 입증할 객관적인 사정이 있다면 시효취득을 인정할 수 없습니다. 또한, 일반 민사소송과 가처분 이의신청은 별개의 절차이므로 함께 재판할 수 없습니다.

#점유취득시효#소유의사#객관적 사정#매매계약서 진정성

민사판례

할아버지 땅, 누가 상속받을까요? 아들 딸 손주들의 상속 분쟁 이야기

옛날 법(민법 시행 전) 시대에 할아버지가 아들, 딸, 부인을 두고 있었는데, 아들이 먼저 죽고 할아버지도 돌아가셨습니다. 그때는 아들이 없으면 딸들은 상속을 못 받고 부인이 모든 재산을 상속받았습니다. 그런데 부인도 나중에 현재 법(민법 시행 후) 시대에 돌아가셨습니다. 이때, 먼저 죽은 아들에게 딸(손녀)이 있었다면 손녀도 할아버지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을까요? 네, 상속받을 수 있습니다!

#대습상속#손녀#상속#구민법

민사판례

돌아가신 할아버지 땅, 내 땅 맞을까? - 종중 땅과 상속, 그리고 등기 추정력

과거 시행되었던 부동산과 임야 소유권 이전 등기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라도 허위 보증서를 통해 만들어졌다면 효력이 없으며, 제사 관련 토지(금양임야, 묘토)는 호주 상속인이 단독으로 상속받는다는 내용입니다.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허위 보증서#금양임야

민사판례

묘지 옆 숲, 누구 땅일까요? 상속과 점유에 대한 이야기

옛날 법에 따라 조상 묘를 관리하기 위한 땅(금양임야)을 혼자 상속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그 땅이 실제로 그런 목적으로 사용되었는지를 증명해야 하며, 증여받았다고 주장하는 땅에 대한 점유취득시효 주장이 인정되지 않더라도 그 땅을 소유할 의사 없이 점유했다고 바로 단정 지을 수는 없다는 내용입니다.

#금양임야#상속#점유취득시효#증명책임

민사판례

조상 묘 땅은 누구 땅? + 명의신탁 받은 땅, 내 땅처럼 점유하면 진짜 내 땅 될까?

조상이 자신의 묘를 위해 산 땅은 자손 개인이 상속받는 것이 아니라, 후손 전체의 공동 재산(종중 재산)으로 봐야 한다. 또한, 명의만 빌려준 사람(명의수탁자)이나 그 상속인은 땅을 오랫동안 점유했다 하더라도 함부로 자신의 땅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조상묘#종중땅#개인땅#명의수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