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심금

사건번호:

2008다73311

선고일자:

200901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어선보험의 대상인 어선에 대한 근저당권자가 ‘어선 보험금청구권’에 대한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지 않고 일반 채무명의에 기하여 그 권리를 압류한 경우, 그 압류의 효력(=무효)

판결요지

참조조문

어선원 및 어선재해보상보험법 제5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0. 12. 26. 선고 90다카24816 판결(공1991, 62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구룡포새마을금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준혁) 【피고, 피상고인】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광준) 【피고 보조참가인】 구룡포수산업협동조합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광준)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8. 9. 4. 선고 2008나184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본다. 1. 어선원 및 어선재해보상보험법 제56조는 ‘어선보험의 보험급여를 지급받을 권리는 이를 압류할 수 없다. 다만, 민법, 상법 그 밖의 법률의 규정에 따라 어선보험의 대상인 어선에 대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를 갖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물상대위권을 갖는 채권자가 동시에 채무명의를 가지고 있으면서 채무명의에 의한 강제집행의 방법을 선택하여 채권의 압류 및 추심명령을 얻은 경우에는 비록 그가 물상대위권을 갖는 실체법상의 우선권자라 하더라도 원래 일반채무명의에 의한 강제집행절차와 담보권의 실행절차는 그 개시요건이 다를 뿐만 아니라 다수의 이해관계인이 관여하는 집행절차의 안정과 평등배당을 기대한 다른 일반채권자의 신뢰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점에 비추어 일반채무명의에 의한 채권압류를 물상대위권의 행사로 볼 수 없으므로( 대법원 1990. 12. 26. 선고 90다카24816 판결 참조), 어선보험의 대상인 어선에 대한 근저당권자로서 ‘어선보험의 보험급여를 지급받을 권리’에 대하여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여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가 있는 자라 하더라도,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고 일반채무명의에 기하여 ‘어선보험의 보험급여를 지급받을 권리’를 압류하였다면 그 압류에 의하여는 우선변제를 받을 권리가 없으므로, 그 압류는 강행법규인 어선원 및 어선재해보상보험법 제56조 본문에 위반되어 무효라고 봄이 상당하다.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어선에 대한 근저당권자의 지위에서 물상대위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고, 이 사건 공정증서에 기한 일반채권자의 지위에서 이 사건 어선 보험금청구권을 압류·추심한 원고의 이 사건 추심명령이 어선원 및 어선재해보상보험법 제56조에 위반되어 무효라고 본 원심판단은 정당하고,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심리미진, 판단누락, 석명의무 해태, 어선원 및 어선재해보상보험법 제56조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원심판결에 민사집행법 제273조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은, 원심의 가정적, 부가적 판단에 관한 것으로서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원고의 이 사건 추심명령이 무효라고 본 원심판단이 정당한 이상 더 나아가 살피지 않는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영란(주심) 이홍훈 양창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압류된 보험금, 누가 받을 수 있을까?

내 채권이 압류되어 다른 사람에게 추심 권리가 넘어갔다면, 더 이상 내가 그 채권으로 소송할 수 없고, 추심 권리를 가진 사람만 소송할 수 있다. 법원은 이러한 당사자 자격 문제를 직접 확인해야 한다.

#압류#추심권#당사자적격#소송

민사판례

땅 주인이 보상금을 이미 받았다면? 근저당권자의 물상대위권 행사는 불가능!

토지가 수용될 때 근저당권자가 보상금을 받으려면 수용 보상금 지급 *전에* 압류해야 합니다. 압류할 때는 정확하게 어떤 종류의 보상금인지 명확히 해야 하며, 애매하게 압류하면 보상금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토지수용#보상금#근저당권#물상대위권

민사판례

배가 압류됐을 때, 보증금 내고 풀어준다면? 다른 채권자들은 어떻게 될까?

선박경매가 취소되고 보증금이 배당되면, 배당에 참여한 채권자의 권리는 소멸하지만, 배당에 참여하지 않은 채권자의 권리는 유지됩니다. 경매 신청 채권자의 권리는 배당 여부와 관계없이 소멸합니다.

#선박경매#취소#보증금#배당

상담사례

보험금 압류해놨는데, 보험사가 계약을 해지해버렸다면?!

보험금 청구권을 압류해도 보험계약 해지 시 청구권이 소멸되어 보험금을 받을 수 없다.

#보험금 압류#계약 해지#청구권 소멸

민사판례

저당권 사라지면 압류도 취소! 물상대위의 함정?!

저당권을 근거로 돈을 받으려고 채무자의 다른 채권을 압류했는데, 나중에 저당권의 기반이 된 빚 자체가 없다는 판결이 나오면, 그 압류는 취소해야 한다.

#저당권#채권압류#취소#물상대위

상담사례

토지수용보상금, 내 돈 받을 수 있을까? (담보물권 vs 일반채권)

토지수용 보상금에서 일반 채권자는 담보물권(ex. 근저당)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 명확한 압류 범위를 설정하면 보상금을 받을 수 있다.

#토지수용보상금#담보물권#일반채권#압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