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사건번호:

2008도7631

선고일자:

200812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강제집행절차에서 채무자가 제3자를 허위채권자로 내세우는 방법으로 법원을 기망한 소송사기행위의 피해자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4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이관형외 2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8. 8. 7. 선고 2008노138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 본원 합의부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은, 이 사건 공소사실을 “피고인이 이미 전액을 변제받은 재단법인 대순진리회(이하 ‘대순진리회’라고 한다)에 대한 판결상의 채권에 기하여 대순진리회가 공탁한 341,858,500원의 공탁금회수청구권에 대하여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다음 그 공탁금에 관한 배당절차에 참가하여 배당법원을 기망하여 그 중 일부 금액을 배당받음으로써 피해자를 대순진리회로 하고 피기망자를 법원으로 하는 소송사기 범행을 저질렀다는 것”이라고 전제한 다음, 그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면, 대순진리회의 대리인인 공소외 1이 피고인의 위 공탁금에 대한 배당신청 및 그 중 일부 금전의 수령에 대하여 양해 내지 승낙을 하였다고 판단되므로, 피고인이 배당금을 수령한 것은 사기죄가 성립하지 아니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2. 그러나 이른바 소송사기죄는 법원을 기망하여 제3자의 재물을 편취하거나 재산상 이득을 취득하는 것을 기도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것이므로( 대법원 2004. 6. 24. 선고 2002도4151 판결 참조), 배당절차와 같은 강제집행절차에서 배당될 금전의 소유자 겸 채무자가 제3자와 공모하여 그 제3자를 허위채권자로 내세우는 방법으로 법원을 기망함으로써 배당을 받아 재산상 이득을 취득하는 경우, 그로 인한 피해자는 그 절차에서 법원에 대한 기망이 없었을 경우 배당을 받을 수 있었음에도 위 기망으로 인하여 배당을 받지 못하게 된 자라고 보아야 할 것인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피고인이 위 공탁금의 소유자 겸 채무자인 대순진리회의 대리인과 공모하여 허위채권에 기한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아 배당요구를 하는 기망행위를 하지 아니하였더라면 위 공탁금은 모두 공소외 2가 추심하거나 배당받을 수 있었을 것임에도, 피고인의 기망행위로 인하여 공소외 2는 피고인이 배당받게 된 금액만큼 배당을 받지 못하는 피해를 입게 되었음을 알 수 있는바, 위와 같은 사정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피고인의 위 소송사기 행위로 인한 피해자는 공소외 2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피고인이 피해자 공소외 2가 아닌 대순진리회 측으로부터 위와 같은 허위의 배당신청과 배당금 수령에 대하여 양해 또는 승낙을 얻었다는 사정만으로 피고인의 위와 같은 행위가 사기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할 수는 없다 할 것인바, 이에 어긋나는 원심의 앞서 본 판단에는 소송사기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검사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억울하게 소송사기죄로 몰렸다면? 법원은 엄격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소송에서 자기에게 유리한 주장을 했지만,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해서 모두 소송사기죄로 처벌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소송사기죄는 법원을 속여서 다른 사람의 재산을 가로채려는 범죄이기 때문에, 소송에서 거짓 주장을 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다른 증거가 필요합니다.

#소송사기죄#거짓주장#증거불충분#원심파기

형사판례

법원을 속여 이득을 취하려 했다면? 소송사기죄 성립!

이미 똑같은 소송에서 져서 확정된 사실을 숨기고, 위조된 문서까지 법원에 제출하며 상대방을 속여 이긴 것처럼 재판을 조작한 행위는 사기죄에 해당한다.

#사기죄#위조문서#패소은폐#소송사기

형사판례

내 땅이라고 믿고 소송했는데 사기죄라고요? 소송사기죄, 알고 보면 이렇습니다!

소송을 통해 부당 이득을 취하려는 '소송 사기죄'는 단순히 권리가 없는데 소송을 제기한 것만으로는 성립하지 않고, 권리가 없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법원을 속이려는 의도가 있어야 합니다.

#소송 사기죄#고의#기망행위#권리 없음 인식

형사판례

남의 돈 받아내려고 가짜 차용증 만들고 소송까지? 간접정범 소송사기죄

빌려준 적도 없는 돈에 대한 차용증을 위조하고, 이를 타인에게 양도하여 그 타인이 소송을 걸게 하면 소송 사기죄가 된다.

#소송사기#위조차용증#간접정범#이자

형사판례

빌려준 돈 받았는데도 소송까지? 소송사기 미수, 대법원 판결 뒤집히다!

빌려준 돈을 다 받았다고 주장하는 채무자를 상대로 돈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제기한 채권자에게 소송사기 미수죄가 인정되지 않은 사례. 소송사기죄는 법원을 기망하여 이득을 취하려는 행위를 처벌하는 범죄인데, 이 죄를 적용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한다는 대법원의 입장이 재확인됨.

#소송사기죄#무죄#채무 변제#대법원

형사판례

소송으로 사기치려면? 알고 속여야 사기죄!

소송에서 이기려고 거짓 주장을 했더라도, 자신이 주장하는 내용이 거짓이라는 사실을 **알고** 거짓말을 했어야만 소송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단순히 잘못 알고 있었거나 법률적으로 잘못 판단해서 거짓 주장을 한 경우에는 소송 사기죄가 아닙니다.

#소송사기죄#고의#거짓주장#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