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동의없는부당전출명령취소

사건번호:

2008두5759

선고일자:

2008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에 정한 인사교류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소속 공무원을 전출하는 경우, 본인의 동의가 필요한지 여부(적극) [2] 구청장이 본인의 동의 없이 소속 공무원에게 임명권자를 달리하는 다른 구로 전출을 명한 것은 위법한 처분이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에 정한 인사교류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소속 공무원을 전출하는 것은 임명권자를 달리하는 지방자치단체로의 이동인 점에 비추어 반드시 당해 공무원 본인의 동의를 전제로 하는 것이고, 따라서 위 법 규정의 위임에 따른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27조의5 제1항도 본인의 동의를 배제하는 취지의 규정은 아니라고 해석하여야 한다. [2] 구청장이 본인의 동의 없이 소속 공무원에게 임명권자를 달리하는 다른 구로 전출을 명한 것은 위법한 처분이라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27조의5 제1항 / [2]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1. 12. 11. 선고 99두1823 판결(공2002상, 29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고승덕)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8. 3. 25. 선고 2007누2245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은 “시·도지사는 당해 지방자치단체 및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인사교류의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당해 시·도에 두는 인사교류협의회에서 정한 인사교류기준에 따라 인사교류안을 작성하여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인사교류를 권고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의 인사교류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소속 공무원을 전출하는 것은 임명권자를 달리하는 지방자치단체로의 이동인 점에 비추어 반드시 당해 공무원 본인의 동의를 전제로 하는 것이고 ( 대법원 2001. 12. 11. 선고 99두1823 판결, 헌법재판소 2002. 11. 28. 선고 98헌바101, 99헌바8 결정 등 참조), 따라서 위 법 규정의 위임에 따른 지방공무원 임용령 제27조의5 제1항도 본인의 동의를 배제하는 취지의 규정은 아니라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원심이 확정한 사실관계에 의하면, 피고는 위 규정에 의한 인사교류의 일환으로 그 소속 공무원인 원고에 대하여 그 동의를 받지 아니한 채 임명권자를 달리하는 구로구로 전출을 명하는 이 사건 전출명령을 한 점을 알 수 있고, 사정이 그와 같다면, 이 사건 전출명령은 원고의 동의 없이 이루어진 위법한 처분으로서 취소되어야 할 것이다. 원심은 이와 달리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위 규정에 의한 인사교류에는 당해 공무원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전제에서 원고의 동의를 받지 않은 이 사건 전출명령이 적법하다고 판단하였으니, 원심판결에는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의 인사교류에 당해 공무원의 동의가 필요한지 여부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쳤음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고현철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전출, 내 맘대로 안 된다고?!

지방공무원의 다른 지자체로의 전출은 본인의 동의가 필수적이며, 동의 없는 전출 명령은 위법하고, 이를 근거로 한 징계 처분 역시 위법하다.

#공무원#전출#동의#위법

일반행정판례

시·도지사 권고 없는 지방공무원 인사교류는 위법!

시·도지사의 승인 없이 시장이 단독으로 진행한 공무원 인사교류는 법적 절차를 위반하여 무효라는 판결입니다.

#공무원 인사교류#도지사 승인#당연무효#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상담사례

내 맘대로 발령? 동의 없이 근무지 옮겨도 될까요? 😱

근로계약서에 특정 근무지가 명시된 경우, 회사는 근로자 동의 없이 근무지를 변경할 수 없다.

#근로계약서#근무지 변경#동의#부당발령

상담사례

협의 없이 갑자기 다른 부서로 발령? 억울해요!

협의 없는 전보 발령은 업무상 필요성과 직원의 불이익 정도에 따라 유효할 수 있으며, 협의 부재 자체만으로는 무효가 아니다.

#전보#협의#효력#권리남용

민사판례

계열사 전출, 내 맘대로 되는 거 아니에요!

대기업 그룹 내에서 한 계열사 직원을 다른 계열사로 전출시키려면 원칙적으로 근로자의 동의가 필요하며, 사전에 포괄적인 동의를 받았더라도 전출될 회사와 업무 등 기본적인 근로조건을 명시해야 유효합니다.

#계열사 전출#근로자 동의#포괄적 동의#근로조건 명시

민사판례

직원 인사이동, 회사 마음대로 해도 될까? - 전보와 권리남용에 대한 법원의 판단

회사가 업무상 필요에 의해 근로자를 다른 곳으로 전보시킬 권한은 어디까지 인정될까요? 이 판례는 회사의 전보 명령이 정당한 인사권 행사인지, 아니면 근로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부당한 처분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전보#인사권#권리남용#업무상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