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자금법위반

사건번호:

2010도1380

선고일자:

201010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정치자금법에 정하지 아니한 방법으로 현금 2억 원의 정치자금을 기부받았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그 당시의 피고인을 같은 법 제3조 제1호의 ‘정치활동을 하는 자’로 인정할 수 없고, 위 돈을 같은 법에 규정된 ‘정치자금’으로 볼 수 없어 그 수수행위를 처벌할 수 없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정치자금법 제1조, 제3조 제1호, 제45조 제1항, 형사소송법 제325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6. 12. 22. 선고 2006도1623 판결(공2007상, 255), 대법원 2009. 2. 26. 선고 2008도10422 판결(공2009상, 42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이종욱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1. 8. 선고 2009노243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① 피고인이 2006. 4. 14. 공소외 1 등을 통해 공소외 2로부터 2억 원을 교부받을 당시는 오랜 기간의 정치활동을 마무리하고 공식적으로 정계은퇴를 선언한 이후로서, 검사가 들고 있는 여러 단편적 사실만으로 그 당시의 피고인을 정치자금법 제3조 제1호에서의 ‘그 밖에 정치활동을 하는 자’로 규정하기에 부족하고, 달리 피고인을 정치자금법상의 ‘정치활동을 하는 자’로 인정할 증거가 없으며, ② 공소외 2의 진술만을 근거로 위 2억 원이 피고인의 정치활동을 위한 자금으로 건네졌다고 인정할 수 없고, 관련 증거 등에 의하여 인정되는 여러 사정을 종합하더라도, 위 2억 원이 피고인이나 공소외 1 또는 공소외 3 등의 선거 관련 정치활동을 위한 자금으로 제공되었다거나, 피고인이 그와 같은 정치활동에 사용할 의사로 위 2억 원을 수령하였다고 인정하기는 어려우므로, ③ 위 2억 원은 정치자금법에 규정된 정치자금으로 볼 수 없어 그 수수행위를 처벌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옳다고 보이고, 거기에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인정하였거나 정치자금법에서의 정치자금, 정치활동 및 정치활동을 하는 자의 개념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 대법원 판결 확정!

피고인이 대법원에 상고했지만, 상고 내용이 적절하지 않거나, 원심의 판단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어 상고가 기각되었습니다. 검사의 상고 역시 기각되었습니다.

#상고기각#불법 정치자금#증거재판주의#자유심증주의

형사판례

돈을 돌려받기로 했어도 정치자금 기부?

로비 대가로 정치자금을 제공했더라도, 로비 성공 여부와 관계없이, 그리고 나중에 돈을 돌려받았더라도 정치자금법 위반이라는 판결.

#로비자금#정치자금법 위반#기부#상고기각

형사판례

선거자금 수수, 꼭 불법일까? 알면서 받았어야 처벌!

국회의원이 선거 직전 당 사무총장으로부터 현금으로 돈을 받았더라도, 그 돈이 불법정치자금인 줄 몰랐다면 범죄수익은닉죄로 처벌할 수 없다. 단순히 돈을 받은 사실이나 선거가 임박한 시점, 현금 수수 등의 정황만으로는 돈이 불법자금인 것을 알았다고 단정할 수 없다.

#불법정치자금#범죄수익은닉죄#미필적고의#증거불충분

형사판례

정치자금법 위반, 정당 기부금과 개인 정치자금의 차이는?

정치인 개인에게 제공된 돈을 정당에 기부된 정치자금으로 잘못 해석하여 유죄 판결한 원심을 대법원이 파기 환송한 사례.

#정치자금법#정당 기부#개인 기부#대법원 파기환송

형사판례

정치자금법 위반과 범죄수익 은닉, 그 경계는 어디까지?

피고인이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기업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받고 이를 숨긴 혐의에 대해 유죄가 인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정당 구성원 자격이 아닌 개인 자격으로 받은 정치자금도 처벌 대상이 되며, 받은 돈을 당에 전달한 부분은 추징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이 명확히 되었습니다.

#정치자금법 위반#범죄수익은닉#불법 정치자금#대통령 선거

형사판례

낙선 후 정치자금 사용, 가능할까요?

낙선한 국회의원도 임기가 끝나기 전까지는 후원금을 정치활동에 쓸 수 있고, 보좌 직원 격려금도 정치 활동 경비로 인정될 수 있다.

#낙선의원#후원금#정치활동#보좌직원 격려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