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집행 방해

사건번호:

2010도14484

선고일자:

20110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형법상 ‘공무원’의 의미 [2] 피고인이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자활근로자’로 선정되어 주민자치센터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복지도우미로 근무하던 甲을 협박하여 그 직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내용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甲이 공무원으로서 공무를 담당하고 있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136조 제1항 / [2] 형법 제136조 제1항, 제283조 제1항,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15조 제1항 제4호,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령 제20조,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시행규칙 제25조, 형사소송법 제32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8. 4. 25. 선고 77도3709 판결(공1978, 10831), 대법원 1997. 6. 13. 선고 96도1703 판결(공1997하, 2090), 대법원 2002. 11. 22. 선고 2000도4593 판결(공2003상, 264)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이강길 【원심판결】 울산지법 2010. 10. 8. 선고 2010노99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법상 공무원이라 함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이에 준하는 공법인의 사무에 종사하는 자로서 그 노무의 내용이 단순한 기계적 육체적인 것에 한정되어 있지 않은 자를 말한다( 대법원 1978. 4. 25. 선고 77도3709 판결 참조). 앞서 본 법리와 원심판결 및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들을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범행 당시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15조 제1항 제4호, 같은 법 시행령 제20조, 같은 법 시행규칙 제25조에 따라 자활근로자로 선정되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복지도우미로 근무하던 전인숙이 공무원으로서 공무를 담당하고 있었다고 볼 수 없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형법상 공무원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합리적인 자유심증의 범위와 한계를 벗어나 자유심증주의를 위반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국민권익위원회 기간제 근로자는 공무원일까요? 공무집행방해죄 성립 여부를 둘러싼 법적 공방!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청사 안전관리 및 민원 안내 업무를 하는 기간제 근로자는 형법상 공무원으로 볼 수 없으므로, 그 직원의 업무를 방해했다고 해서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국민권익위원회#기간제근로자#공무원#공무집행방해

형사판례

파출소 방범원도 공무원일까? 공무집행방해죄 성립 여부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방범원도 공무원으로 인정되어, 방범원의 업무를 방해하면 공무집행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방범원#공무집행방해#공무원#지방고용직공무원

형사판례

공무원의 직무유기죄, 어떤 경우에 성립할까?

경찰관이 교통사고 발생 사실을 알고도 정당한 이유 없이 수사를 미루면 직무유기죄가 성립한다. 직무유기죄는 단순히 업무를 성실히 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업무를 하지 않은 경우에 성립한다. 또한, 직무유기는 하지 않아야 할 의무를 위반한 순간 죄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의무를 계속 이행하지 않는 동안 죄가 지속되는 것으로 본다.

#경찰관#교통사고#수사지연#직무유기죄

형사판례

공무원 노조 총투표 관련 복무 점검, 공무집행방해죄 성립할까?

정부가 공무원 노조 총투표 과정에서 복무 규정 위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지자체에 공무원을 파견하여 점검하는 행위는 적법한 공무집행이며, 부당노동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무원#노조#총투표#복무점검

형사판례

공무원의 집단행위와 정당행위

이 판례는 지방공무원의 집단행위가 정당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 그리고 지방공무원법상 집단행위 금지 조항이 헌법에 위배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간단히 말해, 공무원의 집단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이 사건에서 피고인들의 행위는 정당행위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공무원의 집단행위를 금지하는 법률 조항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지방공무원#집단행위#정당행위#위법

형사판례

공무원의 실수, 무조건 직무유기일까?

단순히 직무를 성실히 하지 않았거나 실수로 잘못 처리한 것은 직무유기죄가 아니다. 고의로 직무를 방치하거나 포기해야 직무유기죄가 성립한다.

#공무원#직무유기죄#고의#방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