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면 처분 취소

사건번호:

2011두19727

선고일자:

201205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무원인 피징계자에게 징계처분을 하는 경우 징계권자가 가지는 재량권의 한계 [2] 고등학교 교사 甲이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에 응시하는 과정에서 시험을 주관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장학사에게 금품을 건넨 사실로 서울시교육감으로부터 파면처분을 받은 사안에서, 甲에 대한 징계양정이 징계기준의 적용 결과에서 벗어난 것이 아닌 이상 일반적 기준을 따르지 않은 다른 교사의 사례가 있다고 하여 甲에 대한 징계가 평등의 원칙을 위반한 것이 아니라는 등의 이유로, 위 처분이 재량권의 한계를 벗어나지 않았다고 본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국가공무원법 제56조, 제61조, 제63조, 제78조 제1항, 제79조, 행정소송법 제27조, 헌법 제11조 제1항 / [2] 국가공무원법 제56조, 제61조, 제63조, 제78조 제1항, 제79조, 행정소송법 제27조, 헌법 제11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9. 8. 20. 선고 99두2611 판결(공1999하, 1903), 대법원 1999. 11. 26. 선고 98두6951 판결(공2000상, 73),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8두6387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교육감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세양 담당변호사 한창수)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1. 7. 20. 선고 2011누221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공무원인 피징계자에게 징계사유가 있어서 징계처분을 하는 경우 어떠한 처분을 할 것인가는 징계권자의 재량에 맡겨진 것이지만, 그 징계권의 행사가 일반적으로 징계사유로 삼은 비행의 정도에 비하여 균형을 잃은 과중한 징계처분을 선택함으로써 비례의 원칙에 위반하거나 또는 합리적인 사유 없이 같은 정도의 비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온 기준과 어긋나게 공평을 잃은 징계처분을 선택함으로써 평등의 원칙에 위반한 경우에 이러한 징계처분은 재량권의 한계를 벗어난 처분으로서 위법하다 할 것이다( 대법원 1999. 11. 26. 선고 98두6951 판결 등 참조). 다만 대략 같은 정도의 비위를 저지른 자들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직무의 특성, 금전 수수의 경우에는 그 액수와 횟수, 의도적·적극적 행위인지 여부, 개전의 정이 있는지 여부 등에 따라 징계의 종류의 선택과 양정에 있어서 차별적으로 취급하는 것은 사안의 성질에 따른 합리적 차별로서 이를 자의적 취급이라고 할 수 없어 평등의 원칙 내지 형평에 반하지 아니한다( 대법원 1999. 8. 20. 선고 99두2611 판결,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8두6387 판결 등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원고가 2009. 6.경 교육전문직 임용시험에 응시하였는데, 그 과정에서 위 시험을 주관하는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원정책과 중등인사 담당부서에 근무하는 장학사 소외 1로부터 ‘현장실사 평가위원들에게 부탁하여 평가를 잘 받을 수 있도록 해 주겠으니 그에 대한 대가를 달라’는 요구를 받고, 2009. 6.경 500만 원을 건네준 사실, 원고는 이러한 비위행위에 관하여 2010. 1. 29. 뇌물공여죄로 기소되어 벌금 200만 원을 선고받아 확정되었고, 아울러 징계에 회부되어 2010. 4. 6. 피고로부터 파면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 한다)을 받은 사실을 인정하였다. 원심은 나아가, 그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사정들을 종합하여, 원고의 위 비위행위가 비난가능성이 크고, 이 사건 징계기준에서는 금품 수수액수가 500만 원 이상이면 직무와 관련된 것인 이상 그 경위를 묻지 않고 오로지 파면으로만 징계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점 등을 고려하여 비행의 정도에 비하여 균형을 잃은 과중한 징계처분이 아니라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또한 원심은, 소외 1에게 뇌물로 1,000만 원을 교부한 소외 2는 피고로부터 감봉 3개월 징계처분을 받는 데 그쳤지만, 소외 2의 경우 소외 1의 요구를 도저히 거절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었고 합격자 발표 이후 돈을 교부하였으며 수사 초기단계에서 범죄사실을 시인하는 등 수사에 적극 협조한 사정이 있어 원고보다 비행 정도가 무겁지 않고, 설령 감봉 3개월이라는 처분이 지나치게 가볍다고 하더라도, 피고가 다른 유사 사건들의 경우에는 모두 원고와 마찬가지로 위 징계기준을 엄격히 적용한 점 등에 비추어 소외 2에 대한 징계양정이 ‘같은 정도 비행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하여 온 기준’이라고 볼 수는 없고, 따라서 원고에 대해 소외 2에 대한 징계양정과 달리 하였다는 점만으로 평등 원칙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앞에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볼 때, 원고에 대한 징계결과를 소외 2의 경우와 개별적으로 대비하면 형평에 어긋나는 것으로 볼 여지가 없지는 않지만, 위 소외 2의 경우를 피고가 유사한 여러 사례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적용한 징계기준이라고 볼 것은 아니고, 오히려 보통은 이 사건 징계기준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보일 뿐인데다 원고에 대한 징계양정이 이 사건 징계기준의 적용 결과에서 벗어난 것이 아닌 이상, 일반적 기준을 따르지 아니한 위 소외 2의 사례가 있다고 하여 원고에 대한 징계가 평등의 원칙을 위반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원심의 판단도 결국 같은 취지라 할 것이어서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징계처분에 있어서 비례의 원칙, 평등의 원칙 등 재량권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이에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하도록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능환 이인복 박병대(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학습지 채택료와 수사무마 시도, 교사 징계는 정당할까?

학습지 채택료를 받고 수사무마를 시도한 사립학교 교사들 중, 잘못을 인정한 교사는 정직/감봉, 인정하지 않은 교사는 파면 처분을 받았는데, 이는 학교의 재량권 범위 내에 있는 적법한 처분이라는 판결입니다. 잘못을 인정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는지 여부에 따라 징계 수위를 달리하는 것은 합리적인 차별이라는 것입니다.

#학습지 채택료#수사무마#징계처분#적법성

일반행정판례

경찰관의 뇌물 중개 및 수수, 파면은 정당한가?

경찰관이 뇌물을 주고받는 것을 중개하고 그중 일부를 받았으며, 아내도 같은 명목으로 돈을 받은 경우, 파면 처분은 적법하다.

#경찰관#뇌물#중개#수수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교원 해임, 정당했을까? - 징계 재량권과 그 한계

사립학교 교원의 성희롱 및 강제추행으로 인한 해임처분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기준과 교육공무원 징계양정 규칙의 참작 여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원심은 교원의 비위 정도가 중하지 않고, 교육공무원 징계양정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해임처분이 재량권을 일탈·남용했다고 판단했으나, 대법원은 교원의 비위행위의 심각성, 교원의 지위와 직업윤리, 교육 현장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하여 해임처분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며 원심 판결을 파기환송했습니다.

#사립학교#교원#해임#성희롱

일반행정판례

교사 임용 전 뇌물 공여, 징계 사유 될까?

교사 임용 전에 뇌물을 준 행위라도, 임용 후 교사의 위신이나 체면을 손상시켰다면 징계 사유가 될 수 있다. 또한 징계시효는 뇌물을 준 시점이 아니라 임용된 시점부터 시작된다.

#임용 전 뇌물#교사 징계#징계시효#임용시점

일반행정판례

사립학교 교원 징계, 어디까지 가능할까? 해임처분의 정당성을 묻다

이 판례는 사립학교 교원의 품위 손상 행위에 대한 징계는 학교 내부 규정과 관계없이 사립학교법에 따라 가능하며, 징계 수위를 정할 때는 재량권 남용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사건에서는 교수의 발언과 행동 일부가 품위 손상에 해당한다고 보았지만, 해임 처분은 지나치게 가혹하다고 판단하여 재량권 남용을 인정했습니다.

#사립학교#교원#징계#품위 손상

민사판례

사립학교 교원 징계, 재량권 일탈했다고 무조건 불법행위일까?

사립학교 교원에 대한 징계가 정해진 절차를 지켰다면, 징계 수위가 적절하지 않았더라도 징계위원들에게 불법행위 책임을 물을 수 없다.

#사립학교#교원#징계#재량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