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 보존등기 말소

사건번호:

2012다201410

선고일자:

201307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물건에 대한 점유의 판단 기준과 대지의 소유자로 등기한 사실이 인정되는 경우 점유사실의 인정 여부(원칙적 적극) 및 소유권보존등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물건에 대한 점유란 사회관념상 어떤 사람의 사실적 지배 아래에 있는 객관적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실적 지배가 있다고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건을 물리적, 현실적으로 지배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물건과 사람과의 시간적, 공간적 관계와 본권 관계, 타인지배의 배제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사회관념에 따라 합목적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특히 임야에 대한 점유의 이전이나 점유의 계속은 반드시 물리적이고 현실적인 지배를 요한다고 볼 것은 아니고, 관리나 이용의 이전이 있으면 인도가 있었다고 보아야 하고, 임야에 대한 소유권을 양도하는 경우라면 그에 대한 지배권도 넘겨지는 것이 거래에서 통상적인 형태라고 할 것이다. 또한 대지의 소유자로 등기한 자는 보통의 경우 등기할 때에 대지를 인도받아 점유를 얻은 것으로 보아야 하므로 등기사실을 인정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설시 없이 점유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해서는 아니 된다. 그러나 이는 임야나 대지 등이 매매 등을 원인으로 양도되고 이에 따라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에 그렇다는 것이지, 소유권보존등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는 없다. 소유권보존등기는 이전등기와 달리 해당 토지의 양도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어서, 보존등기를 마쳤다고 하여 일반적으로 등기명의자가 그 무렵 다른 사람으로부터 점유를 이전받는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참조조문

민법 제192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8. 11. 14. 선고 78다192 판결, 대법원 1992. 6. 23. 선고 91다38266 판결(공1992, 2239), 대법원 2001. 1. 16. 선고 98다20110 판결(공2001상, 435)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2. 7. 19. 선고 2012나939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물건에 대한 점유란 사회관념상 어떤 사람의 사실적 지배 아래에 있는 객관적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실적 지배가 있다고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건을 물리적, 현실적으로 지배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물건과 사람과의 시간적, 공간적 관계와 본권 관계, 타인지배의 배제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사회관념에 따라 합목적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특히 임야에 대한 점유의 이전이나 점유의 계속은 반드시 물리적이고 현실적인 지배를 요한다고 볼 것은 아니고, 관리나 이용의 이전이 있으면 인도가 있었다고 보아야 하고, 임야에 대한 소유권을 양도하는 경우라면 그에 대한 지배권도 넘겨지는 것이 거래에 있어서 통상적인 형태라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2. 6. 23. 선고 91다38266 판결 등 참조). 또한 대지의 소유자로 등기한 자는 보통의 경우 등기할 때에 그 대지를 인도받아 점유를 얻은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등기사실을 인정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설시 없이 점유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해서는 아니 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78. 11. 14. 선고 78다192 판결, 대법원 2001. 1. 16. 선고 98다20110 판결 등 참조). 그러나 이는 그 임야나 대지 등이 매매 등을 원인으로 양도되고 이에 따라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경우에 그렇다는 것이지, 소유권보존등기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라고 볼 수는 없다. 소유권보존등기는 이전등기와 달리 해당 토지의 양도를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어서, 보존등기를 마쳤다고 하여 일반적으로 그 등기명의자가 그 무렵 다른 사람으로부터 점유를 이전받는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원심이 이와 달리, 피고들의 선대인 망 소외인이 미등기상태에 있던 이 사건 각 토지에 관하여 1965. 3. 16. 소유권보존등기를 마친 사실만을 근거로 그때부터 망 소외인이 위 각 토지를 점유하였다고 본 것에는, 점유사실의 증명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논리와 경험칙에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이에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창석(재판장) 양창수 박병대(주심) 고영한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내 땅인데 왜 내 땅이 아닌 것 같죠? 등기 vs 점유, 진짜 주인은 누구?

부동산 소유권 분쟁 시 점유보다 등기가 더 강력한 증거이며, 등기부상 소유자의 권리가 우선한다.

#등기#점유#추정력#부동산 권리 증명

민사판례

내 땅인데, 남이 점유하고 있다면? 점유권과 본권 분쟁, 어떻게 해결할까요?

점유자가 땅을 돌려달라는 소송(점유회수청구)을 하고, 진짜 주인(본권자)이 "만일 점유자가 소송에서 이기면 내 땅이니까 나에게 돌려줘야 한다"라는 소송(장래이행의 소)을 별도로 낼 수 있다. 법원은 두 소송 모두 이유가 있다면 둘 다 인용해야 한다.

#점유권 소송#본권 소송#장래이행의 소#점유회수청구

민사판례

땅 주인이 따로 있었네?! 등기부취득시효, 함정에 빠지지 마세요!

땅 주인의 손자라고 거짓말을 하고 땅을 판 사람에게 땅을 산 경우, 산 사람은 등기부 취득시효를 주장할 수 없다. 땅을 살 때 진짜 주인이 누구인지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등기부 취득시효#선의#무과실#소유권

상담사례

내 땅인데… 점유권 확인 소송, 이길 수 있을까요? 🤔

내 땅을 누군가 점유하고 있더라도 점유권 확인 소송은 실효성이 낮으므로 부당이득반환청구, 방해배제청구 등 다른 방법을 찾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점유권 확인 소송#실효성#소의 이익#부당이득반환청구

민사판례

꼬인 땅 등기, 누구 땅일까? 중복 등기와 점유취득시효

한 필지의 땅에 두 개의 소유권 보존등기가 있는 경우, 먼저 된 등기가 유효하다면 나중 등기는 무효이며, 나중 등기를 근거로 20년간 점유했다 하더라도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중복등기#점유취득시효#무효#소유권

상담사례

내 땅?! 20년 살았으니 내 땅 맞죠?! 점유, 제대로 알고 갑시다!

20년간 사용했다고 무조건 내 땅이 되는 것은 아니며, 부동산 점유는 사회 통념상 소유자처럼 지배·관리하는 것이 중요하고, 특히 임야는 더욱 까다로운 기준이 적용된다.

#점유#부동산#사회관념#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