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이의

사건번호:

2012다33709

선고일자:

201309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민법 제1037조, 민사집행법 제274조에 따른 상속재산에 대한 형식적 경매에서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가 허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민법 제1037조에 근거하여 민사집행법 제274조에 따라 행하여지는 상속재산에 대한 형식적 경매는 한정승인자가 상속재산을 한도로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 대하여 일괄하여 변제하기 위하여 청산을 목적으로 당해 재산을 현금화하는 절차이므로, 제도의 취지와 목적, 관련 민법 규정의 내용, 한정승인자와 상속채권자 등 관련자들의 이해관계 등을 고려할 때 일반채권자인 상속채권자로서는 민사집행법이 아닌 민법 제1034조, 제1035조, 제1036조 등의 규정에 따라 변제받아야 한다고 볼 것이고, 따라서 그 경매에서는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가 허용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1034조, 제1035조, 제1036조, 제1037조, 민사집행법 제27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춘천지법 강릉지원 2012. 3. 20. 선고 2011나168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준비서면’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민법 제1037조에 근거하여 민사집행법 제274조에 따라 행하여지는 상속재산에 대한 형식적 경매는 한정승인자가 상속재산을 한도로 상속채권자나 유증받은 자에 대하여 일괄하여 변제하기 위하여 청산을 목적으로 당해 재산을 현금화하는 절차이므로, 그 제도의 취지와 목적, 관련 민법 규정의 내용, 한정승인자와 상속채권자 등 관련자들의 이해관계 등을 고려할 때 일반채권자인 상속채권자로서는 민사집행법이 아닌 민법 제1034조, 제1035조, 제1036조 등의 규정에 따라 변제받아야 한다고 볼 것이고, 따라서 그 경매에서는 일반채권자의 배당요구가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원심은, 소외인이 사망하고 원고 등 공동상속인들의 한정승인신고가 수리된 사실, 법원으로부터 상속재산관리인으로 선임된 원고는 상속채권자에 대한 변제를 위하여 이 사건 부동산 등 상속재산에 대하여 민사집행법 제274조에 의한 형식적 경매를 신청한 사실, 그 경매절차에서 집행법원은 이 사건 부동산의 매각대금 중 20,070,000원을 이 사건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권자인 피고에게 1순위로 배당하는 내용의 배당표를 작성한 사실 등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의 경우 상속재산관리인으로 하여금 그 매각대금으로 민법 제1034조의 배당변제 등의 절차에 따라 상속채권자들에게 일괄적으로 변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배당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매각대금을 상속재산관리인에게 교부하는 것이 민법 제1037조 소정의 형식적 경매제도의 취지에 부합한다는 등의 이유로 피고가 이 사건 배당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나아가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가 다른 상속채권자가 없음에도 피고에 대한 금원지급의무를 면탈하려고 한다고 할 수 없고, 비록 피고가 집행권원을 취득하여 이 사건 배당절차에 참가하여 배당받는 등 적극적으로 권리행사를 하였더라도 형식적 경매제도의 취지 및 민법 제1034조 제1항에 비추어 다수의 상속채권자가 존재하고 피고가 일반채권자에 불과한 이상 피고를 다른 상속채권자들과 동등하게 취급하는 것이 형평에 반하여 부당하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잘못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소영(재판장) 신영철 이상훈(주심) 김용덕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한정승인 후 상속부동산 경매에서 채권자의 배당요구

상속받은 부동산에 담보권(예: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경매가 진행될 경우, 상속인이 한정승인을 했더라도 채권자는 경매 절차에서 배당을 요구하여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정승인#담보권 실행 경매#배당#일반채권자

상담사례

할아버지 빚 때문에 내 돈을 못 받는다고?! 한정승인과 배당, 제대로 알아보자!

한정승인 후 상속재산에 대한 배당은 상속채권자보다 근저당권자가 우선하며, 한정승인 자체가 상속채권자에게 우선권을 부여하지 않는다.

#한정승인#배당#상속채권자#근저당권자

세무판례

상속받은 부동산 경매로 양도세 내야 할까? 한정승인도 예외 없다!

한정승인을 한 상속인이라도 상속받은 부동산이 경매로 팔리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

#한정승인#상속부동산#경매#양도소득세

민사판례

한정승인, 상속채권자, 그리고 조세채권자의 관계

상속인이 한정승인을 하면 상속재산으로만 빚을 갚으면 되는데, 이때 상속받은 재산에 일반 채권자가 압류를 걸어도 상속 채권자가 우선적으로 돈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판례입니다.

#한정승인#상속채권자#우선권#상속재산

상담사례

아버지 빚, 내 돈으로 갚아야 하나요? (한정승인과 강제집행)

한정승인 후에는 상속받은 재산 범위 내에서만 빚을 갚으면 되며, 채권자는 상속인의 고유재산에 강제집행을 할 수 없다.

#아버지 빚#한정승인#강제집행#상속재산

민사판례

한정승인과 채권자 배당, 그리고 법원의 역할

상속인이 한정승인을 한 후에 새롭게 알게 된 채권자도 상속재산에서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다는 판결입니다. 즉, 채권자가 배당변제 시점까지 상속인에게 알려지면, 상속인은 그 채권자에게도 상속재산을 나눠줘야 합니다. 또한, 법원은 당사자가 주장하지 않은 내용을 석명할 수 없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

#한정승인#채권자#배당변제#석명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