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반환

사건번호:

2013다200285

선고일자:

201304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로 점유·사용하고 있는 토지에 관하여 도로에 편입된 이후 도로가 개설되지 아니하였더라도 당해 토지의 현실적 이용상황이 주위 토지와 같이 변경되었을 것임이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된 경우, 그 토지에 대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액 산정을 위한 토지의 기초가격 평가 방법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74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1다60866 판결(공2002상, 111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파주시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일산 담당변호사 사형환 외 1인) 【원심판결】 의정부지법 2012. 12. 13. 선고 2012나5040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의정부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도로로 점유·사용하고 있는 토지에 대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액을 산정하기 위한 토지의 기초가격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종전부터 일반 공중의 교통에 사실상 공용되던 토지에 대하여 도로법 등에 의한 도로 설정을 하여 도로관리청으로서 점유하거나 또는 사실상 필요한 공사를 하여 도로로서의 형태를 갖춘 다음 사실상 지배주체로서 도로를 점유하게 된 경우에는 도로로 제한된 상태 즉, 도로인 현황대로 감정평가하여야 하나, 도로에 편입된 이후 당해 토지의 위치나 주위 토지의 개발 및 이용상황 등에 비추어 도로가 개설되지 아니하였더라도 당해 토지의 현실적 이용상황이 주위 토지와 같이 변경되었을 것임이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된 때에는, 그 이후부터는 그 변경된 이용상황을 상정하여 토지의 가격을 평가한 다음 이를 기초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액을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대법원 2002. 4. 12. 선고 2001다60866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이 사건 토지는 원래 지목이 ‘도로’였거나 ‘전’에서 ‘도로’로 지목이 변경된 후 피고가 그 일부 지상에 농어촌 도로를 개설하고 포장공사 등을 통하여 유지·관리하면서 일반 공중의 통행에 제공해 온 사실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이 사건 토지는 농촌 취락인 사월동 마을 서측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해 있고, 주위 토지 대부분이 농가주택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이 사건 토지 중 일부 또한 현재 대지로 이용되고 있고, 피고가 이 사건 토지를 도로로 점유할 무렵 인근 토지인 파주시 적성면 (지번 1 생략), (지번 2 생략) 토지의 지목이 ‘대지’로 변경된 점 등에 비추어, 이 사건 토지가 도로로 이용되지 아니하였을 경우 주위 토지와 같이 대지로 이용되었을 것임이 명백하다고 보아, 이 사건 토지의 이용상황을 대지로 상정하여 토지의 가격을 평가한 다음 이를 기초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액을 산정하였다. 3. 그러나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대로 수긍하기 어렵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더라도 이 사건 토지는 농촌 취락인 사월동 마을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해 있다는 것이고,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토지 중 일부가 대지로 사용될 수 있었던 것은 나머지 일부가 도로에 편입된 데 따른 결과이며, 파주시 적성면 (지번 3 생략) 토지를 비롯한 주위 토지 중 상당 부분은 여전히 전, 답과 같은 농지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토지가 속한 지역이 경제개발과 인구의 팽창으로 도시화가 진전되어 모두 대지로 이용되고 있다고 볼 수 없는 이상, 주위 토지 중 일부가 대지로 이용되고 있다고 하여 이 사건 토지의 현실적 이용상황 역시 그 토지와 같이 대지로 변경되었을 것임이 객관적으로 명백하게 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사건 토지 중 도로에 편입된 부분에 대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액을 산정하기 위한 토지의 기초가격은 원칙으로 돌아가 도로로 제한된 상태, 즉 도로인 현황에 따라 평가함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 사건 토지가 도로로 이용되지 아니하였을 경우 대지로 이용되었을 것임이 명백하다고 보아 대지인 상태를 상정하여 평가한 토지 가격을 기초로 임료 상당의 부당이득금액을 산정하고 말았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부당이득의 범위에 관한 법리 등을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있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병대(재판장) 양창수 고영한 김창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우리 땅, 도로로 쓰이고 있는데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는 땅에 대한 보상금을 계산할 때, 원래 도로였던 땅과 새로 도로가 된 땅은 계산 방식이 다르고, 주변 땅값이 오르면 그걸 반영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보상금 계산에 사용되는 이자율은 여러 가지 금리를 고려하여 정합니다.

#도로보상금#토지보상#기대이율#주변땅값

민사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는데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국가가 도로로 쓰고 있는 내 땅에 대한 보상금은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도로가 된 이후 주변 땅값이 많이 올랐다면 그걸 반영해야 할까? 이 판례는 '주변 땅값 상승이 명백하다면 보상금 계산에 반영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도로#토지보상#부당이득반환청구소송#주변땅값상승

민사판례

내 땅을 도로로 쓰고 있다면?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국가가 허락 없이 사유지를 도로로 사용했을 경우, 토지 소유주에게 지급해야 할 보상금은 토지가 **원래 도로였는지**, 아니면 **나중에 도로가 되었는지**에 따라 계산 방식이 달라집니다.

#사유지#도로#보상금#계산방법

일반행정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인다면? 보상은 어떻게 받을까?

공익사업으로 토지를 수용할 때, '사실상 사도'로 인정되어 보상액이 감액되려면 해당 토지가 사도와 유사한 기능을 해야 하지만, 반드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공공 도로일 필요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또한, 토지 소유자가 자신의 편의를 위해 만든 도로라도 그로 인해 인접 토지의 가치가 상승했다면 사실상 사도로 볼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사실상 사도#보상액#토지 수용#공익사업

민사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다면? 부당이득 반환 청구!

국가나 지자체가 도로로 쓰고 있는 땅에 대한 보상금(부당이득)을 계산할 때, 원래 도로였던 땅인지, 아니면 나중에 도로가 된 땅인지에 따라 기준이 달라진다는 판결.

#도로#부당이득#보상금#기존도로

민사판례

내 땅이 도로로 쓰이고 있다면?

개인 땅이 도로로 사용될 때, 토지 소유자가 사용을 허락했는지, 국가가 정당한 권리 없이 사용했는지에 따라 보상 기준이 달라진다. 특히 도시계획 도로로 지정된 경우, 실제 도로로 사용된 현황을 기준으로 보상해야 한다.

#사유지#도로#보상#부당이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