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처리특례법위반·도로교통법위반

사건번호:

2013도10958

선고일자:

201505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1항, 제2항 단서, 형법 제268조를 적용하여 공소가 제기된 사건에서, 심리 결과 같은 법 제3조 제2항 단서에서 정한 사유가 없고, 같은 법 제3조 제2항 본문이나 제4조 제1항 본문의 사유로 공소를 제기할 수 없으며, 피고인이 같은 법 제3조 제1항의 죄를 범하였다고 인정되지 않는 경우,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 공소기각판결이 아닌 무죄판결을 선고한 것이 위법한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교통사고처리 특례법 제3조 제1항, 제2항, 제4조 제1항, 형법 제268조, 형사소송법 제325조, 제327조 제2호

참조판례

대법원 2015. 5. 14. 선고 2012도11431 판결(공2015상, 82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청주지법 2013. 8. 22. 선고 2013노11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증거능력 및 진술의 신빙성에 대하여 원심은, 피고인이 이 사건 교통사고와 관련하여 신호를 위반하였다는 점에 부합하는 듯한 증인 공소외 1의 법정진술, 목격자 공소외 2와의 대화내용을 기재한 수사보고서 및 거짓말탐지검사 결과는 모두 증거능력이 없고, 피해자 공소외 3의 법정 및 수사기관에서의 진술을 기재한 조서는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믿기 어려우며, 달리 이를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증거능력 및 증거의 증명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위법이 없다. 2. 공소기각 판결의 요건에 대하여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 제2항 단서, 형법 제268조를 적용하여 공소가 제기된 사건에서, 심리 결과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에서 정한 사유가 없고 같은 법 제3조 제2항 본문이나 제4조 제1항 본문의 사유로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면 공소기각의 판결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사건의 실체에 관한 심리가 이미 완료되어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 단서에서 정한 사유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고 달리 피고인이 같은 법 제3조 제1항의 죄를 범하였다고 인정되지 않는 경우, 설령 같은 법 제3조 제2항 본문이나 제4조 제1항 본문의 사유가 있더라도, 사실심법원이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의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의 실체판결을 선고하였다면, 이를 위법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2015. 5. 14. 선고 2012도11431 판결 참조). 원심은, 피고인이 교통신호를 위반하여 차량을 운행한 과실로 피해자로 하여금 약 2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경추의 염좌 및 긴장 등의 상해를 입히고 피해차량 수리비 시가 61,090,480원(대물한도 5천만 원 초과) 상당의 재물을 손괴함으로써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 제2항 단서 제1호 및 도로교통법 제151조에 해당한다는 공소사실에 대하여, 앞서 본 바와 같이 신호위반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판단한 다음,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이 신호위반 외의 다른 업무상 과실로 이 사건 교통사고를 일으켰다고 인정할 만한 별다른 증거나 사정을 찾을 수 없는 이상, 원심이 피고인의 이익을 위하여 무죄의 판결을 유지한 것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공소기각 판결의 요건을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3. 결론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덕(재판장) 이인복 고영한 김소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통사고, 무죄? 공소기각? 차이를 아시나요?

교통사고를 냈지만 종합보험에 가입된 운전자가 신호위반으로 기소되었는데, 실제로는 신호위반을 하지 않은 것이 밝혀지면 법원은 무죄가 아닌 공소기각 판결을 내려야 한다.

#종합보험#교통사고#신호위반#공소기각

형사판례

교통사고 무죄? 공소기각? 뭐가 다른 걸까?

교통사고로 인한 형사재판에서, 검사가 기소 요건을 잘못 판단했더라도 피고인에게 유리하다면 무죄 판결을 내릴 수 있다.

#교통사고#무죄판결#공소기각#피고인

형사판례

교통사고 판결, 신호위반 무죄라고 다 무죄는 아니다?

옛날 교통사고처리 특례법에서 신호위반은 형벌을 정하는 구성요건이 아니라 검사가 기소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공소제기 조건)이므로, 다른 과실로 유죄가 인정되면 신호위반 부분을 굳이 무죄라고 판단할 필요 없다는 판례입니다.

#신호위반#과실#공소제기 조건#유죄

형사판례

중앙선 침범 교통사고, 보험 가입시 무죄? 공소기각!

교통사고가 중앙선 침범으로 공소 제기되었지만, 실제로는 중앙선 침범이 아니고 보험에도 가입되어 있었다면, 운전자의 과실 여부와 상관없이 공소 자체가 잘못된 것이므로 무죄가 아닌 공소기각 판결을 내려야 한다.

#교통사고#중앙선 침범#보험 가입#공소기각

형사판례

교통사고, 과실과 고의는 별개?

과실로 인한 교통사고로 처벌받았더라도, 고의로 사고를 내고 보험금을 타냈다면 사기죄로 다시 처벌받을 수 있다.

#교통사고#보험사기#이중처벌#일사부재리

형사판례

교통사고 후 도주하지 않았다면? 무죄? 아닙니다!

교통사고를 내고 도망가지 않았는데 '뺑소니'(정식 명칭: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로 기소된 경우, 도주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되면 '뺑소니' 무죄가 아니라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처벌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뺑소니#업무상과실치상#도주#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