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심판제청

사건번호:

2014그247

선고일자:

20150106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위헌제청신청 기각결정에 대하여 항고, 재항고 또는 특별항고를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헌법 제107조 제1항,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1항, 제4항, 제6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439조, 제442조, 제449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3. 8. 25.자 93그34 결정(공1993하, 2728), 대법원 2009. 1. 19.자 2008부4 결정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원심결정】 서울중앙지법 2014. 8. 18.자 2014카기4698 결정 【주 문】 특별항고를 각하한다. 【이 유】 특별항고인의 위헌 여부 심판의 제청신청을 기각한 원심의 결정에 대하여 특별항고인은 ‘즉시항고장’을 제출하여 불복하였으나, 헌법재판소법 제41조 제4항은 위헌 여부 심판의 제청에 관한 결정에 대하여는 항고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68조 제2항은 위헌 여부 심판의 제청신청이 기각된 때에는 그 신청을 한 당사자는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므로, 위헌제청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에 대하여는 민사소송에 의한 항고나 재항고를 할 수 없다. 한편 재판의 전제가 되는 어떤 법률이 위헌인지의 여부는 재판을 담당한 법원이 직권으로 심리하여야 하는 것이어서 당사자가 그 본안사건에 대하여 상소를 제기한 때에는 그 법률의 재판의 전제성과 위헌 여부는 상소심이 독자적으로 심리·판단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위헌제청신청 기각결정은 본안에 대한 종국재판과 함께 상소심의 심판을 받는 중간적 재판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특별항고의 대상이 되는 불복을 신청할 수 없는 결정에는 해당되지 않는다(대법원 1993. 8. 25.자 93그34 결정, 대법원 2009. 1. 19.자 2008부4 결정 등 참조). 따라서 이 사건 특별항고는 특별항고의 대상이 될 수 없는 재판에 대한 것으로서 부적법하다. 그러므로 특별항고를 각하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이인복(재판장) 김용덕 고영한(주심)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 기각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법원에서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을 기각했을 경우, 그 기각 결정에 대해 항고나 특별항고를 할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 기각#항고 불가#특별항고 불가#본안사건 상소

민사판례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 기각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법원이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을 기각한 결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항고(재항고 포함)나 특별항고를 할 수 없습니다.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 기각#항고 불가#특별항고 불가

일반행정판례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 기각 결정에 대한 재항고, 받아들여질까?

법원이 위헌법률심판 제청신청을 기각한 결정에 대해서는 재항고(항고에 대한 항고)를 할 수 없고,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해야 합니다.

#위헌법률심판#제청신청#기각#재항고

일반행정판례

위헌법률심판 제청, 두 번은 안돼요! (상고심도 마찬가지)

같은 사건에서 법원에 위헌법률심판 제청을 신청했지만 기각된 경우, 상고심에서 같은 이유로 다시 제청 신청을 할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제청#기각#상고심

민사판례

재심 소송이 기각될 게 뻔하면 위헌 심판도 못 받아?

재심 소송이 요건을 갖추지 못해 각하될 것이 명백한 경우, 그 소송에서 다투는 법률이 위헌이라 주장하더라도 법원은 헌법재판소에 위헌법률심사를 제청할 수 없다.

#재심#요건 불비#위헌법률심사 제청 불가

형사판례

위헌심판제청신청, 제대로 알고 하세요!

단순히 과거 재판 결과에 불복한다는 이유만으로는 위헌심판을 제청할 수 없으며, 어떤 법률 조항이 왜 위헌인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위헌심판#제청#요건 미비#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