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신청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2014두46669

선고일자:

201504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72조에 의한 토지소유자의 토지수용청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대하여 토지소유자가 불복하여 제기하는 소송의 성질 및 그 상대방

판결요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이라고 한다) 제72조의 문언, 연혁 및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위 규정이 정한 수용청구권은 토지보상법 제74조 제1항이 정한 잔여지 수용청구권과 같이 손실보상의 일환으로 토지소유자에게 부여되는 권리로서 그 청구에 의하여 수용효과가 생기는 형성권의 성질을 지니므로, 토지소유자의 토지수용청구를 받아들이지 아니한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대하여 토지소유자가 불복하여 제기하는 소송은 토지보상법 제85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는 ‘보상금의 증감에 관한 소송’에 해당하고, 피고는 토지수용위원회가 아니라 사업시행자로 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제72조, 제74조 제1항, 제85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2010. 8. 19. 선고 2008두822 판결(공2010하, 1823)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서울특별시지방토지수용위원회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4. 11. 20. 선고 2014누4673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1.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토지보상법’이라고 한다) 제72조는 사업인정고시가 된 후 ‘토지를 사용하는 기간이 3년 이상인 때(제1호)’ 등의 경우 당해 토지소유자는 사업시행자에게 그 토지의 매수를 청구하거나 관할 토지수용위원회에 그 토지의 수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위 규정의 문언, 연혁 및 취지 등에 비추어 보면, 위 규정이 정한 수용청구권은 토지보상법 제74조 제1항이 정한 잔여지 수용청구권과 같이 손실보상의 일환으로 토지소유자에게 부여되는 권리로서 그 청구에 의하여 수용효과가 생기는 형성권의 성질을 지니므로, 토지소유자의 토지수용청구를 받아들이지 아니한 토지수용위원회의 재결에 대하여 토지소유자가 불복하여 제기하는 소송은 토지보상법 제85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는 ‘보상금의 증감에 관한 소송’에 해당하고, 그 피고는 토지수용위원회가 아니라 사업시행자로 하여야 한다(대법원 2010. 8. 19. 선고 2008두822 판결 등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① 원고는 피고에게 이 사건 도시계획사업의 사업시행자인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이 사업인정고시가 된 후 3년 이상 이 사건 토지를 사용하였다고 주장하면서 토지보상법 제72조 제1호를 근거로 이 사건 토지의 수용을 청구한 사실, ② 피고는 토지보상법 제72조 제1호의 요건에 해당하지 않음을 이유로 원고의 수용청구를 각하하는 재결을 한 사실, ③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위 각하재결의 취소를 구하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사실관계를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소는 사업시행자인 서울특별시 강서구청장을 피고로 하여야 한다. 따라서 토지수용위원회를 피고로 한 이 사건 소는 부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원심은 이와 달리 이 사건 소가 적법하다고 보아 본안판결에 나아갔는바, 이는 사용하는 토지의 수용청구의 법적 성질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단을 그르친 것이다. 3. 그러므로 원고의 상고이유에 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사건은 대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자판하기로 하여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하며, 소송총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토지수용에 대한 행정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토지수용에 불만이 있을 경우, 바로 사업시행자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절차에 따라 토지수용위원회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토지수용#행정소송#중앙토지수용위원회#사업시행자

일반행정판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 아무렇게나 할 수 없다!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수용은 공익성, 비례의 원칙, 사업시행자의 능력 등 엄격한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 수용권 남용으로 인정되어 수용이 불가능하다.

#공익사업#수용권 남용#공익성#비례의 원칙

일반행정판례

사업시행기간과 토지수용, 그 쟁점들

도시계획시설사업 시행자가 사업시행기간 내에 토지 수용재결을 신청했지만, 그 신청이 기각되었고, 이의신청 중 사업시행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이의재결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

#수용재결#사업시행기간#소송의 이익#토지수용위원회

민사판례

수용보상금, 무조건 받아야 하나요? 거부할 땐 공탁도 가능!

토지 등을 수용할 때, 소유자가 보상금 수령을 거부할 것이 확실하면, 실제로 보상금을 건네주지 않고 법원에 맡기는 것(공탁)만으로도 수용 절차가 적법합니다.

#수용보상금#수령거부#공탁#적법

일반행정판례

공공사업 위한 토지수용, 알아두면 쓸모있는 상식!

국가나 지자체 등이 공익사업을 위해 토지를 수용하기 전에 허락 없이 먼저 사용했더라도 수용 자체는 유효하며, 보상액이 적더라도 정해진 절차에 따라 평가되었다면 수용 자체는 무효가 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수용#무단점용#보상액#적정성

일반행정판례

토지 수용 보상금, 언제 공탁할 수 있을까? 그리고 수용재결서 송달의 효력은?

토지 수용 시 보상금 수령 거절이 명백하면 현실 제공 없이 공탁 가능하며, 수용재결서 송달 지연은 수용 절차의 무효 사유가 아니다.

#토지수용#보상금공탁#수용재결서#송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