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

사건번호:

2016도5814

선고일자:

201610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필로폰을 투약한다는 제보를 받은 경찰관이 제보의 정확성을 사전에 확인한 후에 제보자를 불러 조사하기 위하여 피고인의 주거지를 방문하였다가, 그곳에서 피고인을 발견하고 피고인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여 나오라고 하였으나 응하지 않자 피고인의 집 문을 강제로 열고 들어가 피고인을 긴급체포한 사안에서, 긴급체포가 위법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피고인이 필로폰을 투약한다는 제보를 받은 경찰관이 제보된 주거지에 피고인이 살고 있는지 등 제보의 정확성을 사전에 확인한 후에 제보자를 불러 조사하기 위하여 피고인의 주거지를 방문하였다가, 현관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는 피고인을 발견하고 사진을 찍어 제보자에게 전송하여 사진에 있는 사람이 제보한 대상자가 맞다는 확인을 한 후, 가지고 있던 피고인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여 차량 접촉사고가 났으니 나오라고 하였으나 나오지 않고, 또한 경찰관임을 밝히고 만나자고 하는데도 현재 집에 있지 않다는 취지로 거짓말을 하자 피고인의 집 문을 강제로 열고 들어가 피고인을 긴급체포한 사안에서, 피고인이 마약에 관한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었더라도, 경찰관이 이미 피고인의 신원과 주거지 및 전화번호 등을 모두 파악하고 있었고, 당시 마약 투약의 범죄 증거가 급속하게 소멸될 상황도 아니었던 점 등의 사정을 감안하면, 긴급체포가 미리 체포영장을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경우에 해당하지 않아 위법하다고 본 원심판단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 제3호 (나)목, 제4조 제1항 제1호, 제60조 제1항 제2호, 형사소송법 제200조의3, 제3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창원지법 2016. 4. 7. 선고 2016노6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긴급체포는 긴급을 요하여 체포영장을 받을 수 없는 때에 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 긴급을 요한다 함은 ‘피의자를 우연히 발견한 경우 등과 같이 체포영장을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는 때’를 말한다(형사소송법 제200조의3). 원심은, 피고인이 자기 집에서 마약을 투약한다는 제보를 받은 경찰관이 피고인을 집 밖으로 유인하여 불러내려 하였으나 실패하자 피고인의 주거지 문의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강제로 문을 열고 들어가 수색한 끝에 침대 밑에 숨어 있던 피고인을 긴급체포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당시 피고인을 우연히 맞닥뜨려 긴급히 체포해야 할 상황이었다고 볼 수 없다는 등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긴급체포가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필로폰을 투약하고 동네를 활보하고 다닌다는 제보를 받은 경찰관이 실제 제보된 주거지에 피고인이 살고 있는지 등 제보의 정확성을 사전에 확인한 후에 제보자를 불러 조사하기 위하여 피고인의 주거지를 방문하였다가, 현관에서 담배를 피우고 있는 피고인을 발견하고 사진을 찍어 제보자에게 전송하여 그 사진에 있는 사람이 제보한 대상자가 맞는다는 확인을 한 후, 가지고 있던 피고인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여 차량 접촉사고가 났으니 나오라고 하였으나 나오지 않고, 또한 경찰관임을 밝히고 만나자고 하는데도 현재 집에 있지 않다는 취지로 거짓말을 하자 원심판시와 같이 피고인의 집 문을 강제로 열고 들어가 피고인을 긴급체포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체포의 경위 등을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설령 피고인이 마약에 관한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경찰관이 이미 피고인의 신원과 주거지 및 전화번호 등을 모두 파악하고 있었고, 당시 마약 투약의 범죄 증거가 급속하게 소멸될 상황도 아니었다고 보이는 점 등의 사정을 감안하면, 원심이 피고인에 대한 긴급체포가 미리 체포영장을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경우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본 것은 수긍이 된다.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긴급체포의 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 밖에 긴급체포 당시 피고인의 거동에 대한 원심 증인 공소외인의 법정진술 등을 피고인의 자백에 대한 보강증거가 되기에 부족하다고 본 원심판단도 수긍이 되고, 거기에 자백의 보강법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그러므로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권순일(재판장) 박병대(주심) 박보영 김재형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긴급체포, 언제 정당할까? 긴급성 판단 기준 알아보기

긴급체포는 정말 긴급한 상황에서만 할 수 있다. 체포 당시 알고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판단했을 때, 체포영장을 받을 시간적 여유가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긴급체포가 가능하다. 단순히 체포영장을 받기 귀찮아서 긴급체포를 한 것이 명백한 경우에만 위법한 체포로 인정된다.

#긴급체포#요건#위법성#긴급성

형사판례

긴급체포, 언제 정당할까? 사기 사건 긴급체포 사례 분석

피고인이 사기 혐의로 고소된 후 소재를 감추자 경찰이 긴급체포한 것이 적법한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피고인이 소재를 감추고 도주 및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여 긴급체포한 것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긴급체포#적법성#도주#증거인멸

형사판례

경찰의 체포, 어디까지 정당할까요? - 정당한 체포 vs. 불법체포

경찰이 체포영장을 가지고 있더라도, 체포하기 전에 영장을 제시하고 미란다 원칙을 고지하지 않은 채 체포를 시도하면, 이는 적법한 공무집행이 아니므로, 피의자가 체포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경찰에게 상해를 입혀도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오히려 피의자의 행위는 정당방위로 인정될 수 있다.

#체포영장#영장 제시 의무#미란다 원칙#공무집행방해

민사판례

현행범 체포, 긴급구속, 그리고 경찰서 유치 - 정당한 공권력 행사란 무엇일까?

이 판례는 경찰이 한 남성을 강간 혐의로 체포하고 구금하는 과정에서 현행범 체포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긴급구속 및 유치 절차도 위법하게 진행했음을 밝히고 있습니다.

#현행범 체포#위법 긴급구속#위법 유치#국가 배상 책임

형사판례

경찰서 보호실 유치, 적법할까요? 현행범 체포와 긴급체포, 그리고 경찰의 통지 의무까지 알아보기

경찰관이 영장 없이 피의자를 경찰서 보호실에 유치한 것은 위법하며, 이에 항의하며 나오려는 피의자를 제지하는 행위는 적법한 공무집행으로 볼 수 없어 공무집행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경찰서 보호실#위법 유치#공무집행방해죄 불성립#영장주의

형사판례

검사가 진정인을 긴급체포? 이게 가능해?

이미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던 교통사고 사건에 대해 진정을 제기한 진정인을, 담당 검사가 긴급체포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입니다. 긴급체포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허용되는데, 이 사건에서는 그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판단했습니다.

#긴급체포 위법#기소유예#진정인#검사 직권남용